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OECD 원자력기구 “韓 SMR, 세계적 수준”… i-SMR 10위·스마트100 13위

  • 류근원 기자
  • 입력 2025.09.09 00:56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 황정아 “특별법 제정해 체계적 지원할 것”

PCM20241014000359063.jpg
황정아 의원(더불어민주당·대전 유성을) 사진=연합뉴스

 

한국이 개발 중인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i-SMR)와 한국형 소형원자로 ‘스마트 100’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산하 원자력기구(NEA) 평가에서 세계적으로 높은 순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황정아 의원(더불어민주당·대전 유성을)이 국회입법조사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NEA가 지난달 발간한 보고서에서 i-SMR은 평균(17.38점)보다 높은 22점을 받으며 전체 74개 노형 가운데 10위에 올랐다. 스마트 100 역시 19점을 받아 13위를 기록했다.


PCM20220928000115063.jpg
세계 최초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 스마트(SMART)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연합뉴스]

 

NEA는 전 세계 18개국에서 개발 중인 74개 SMR 노형을 인허가, 부지, 파이낸싱, 공급망, 참여, 핵연료 등 6개 항목(각 6점 만점)으로 나눠 평가했다. 현재 운영 중이거나 건설 중인 7개 노형을 제외하면 한국형 노형은 사실상 최상위권에 속한다. 국내 SMR은 인허가와 부지 항목을 제외한 대부분 분야에서 고른 성과를 보였다.


이번 보고서는 앞선 NEA 평가에 포함됐던 51개 노형보다 평균 점수가 1.94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 전 세계적으로 SMR 개발이 진전을 보이고 있다는 점도 확인됐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전 세계 SMR 관련 국가별 공약을 기준으로 할 때 2050년까지 1,000기 이상이 도입될 전망이다. 이때 누적 투자 규모는 약 6,700억 달러(약 933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전문가들은 “한국은 원전 수출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확대되는 SMR 시장에 신속히 진입할 수 있는 유리한 위치에 있다”고 평가한다.


이재명 대통령도 지난달 21일 빌 게이츠 게이츠재단 이사장을 만난 자리에서 “한국은 SMR의 강자가 될 수 있다”며 “정부와 기업이 모두 준비를 하고 있으며, 해외 시장에서도 경쟁력이 크다”고 언급했다.


황정아 의원은 “SMR은 인공지능(AI) 시대 전력 수요를 감당할 핵심 에너지 인프라이자,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차세대 기술”이라며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이 선도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국회 차원에서 SMR 특별법을 신속히 제정해 체계적인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동서식품, ‘컬러 오브 맥심’ 한정판 패키지 출시
  • KBS, 실제 적자 1,850억 원... 제작비 깎아 ‘적자 축소’ 논란
  • 기아, 라파엘 나달과 21년 동행… 글로벌 파트너십 연장
  • 감성과 기술의 융합, 감정의 파동을 깨우는 앱 ‘컬러힐링알람’ 출시
  • 김병곤 박사 “저속노화, 결국 운동이 전부다”
  • [신박사의 신박한컨설팅] 소상공인의 지속가능한 디지털 전환, 기술보다 중요한 것들
  • 시속 300km 질주 중 ‘쾅’… 자갈 튀어 고속열차 유리창 663건 파손
  • ‘K-컬처 300조’ 외치지만… 박물관엔 ‘빈 지갑’뿐
  • 발달장애 청년 돕는 착한 팝업 성수에 열린다
  • 경주서 ‘APEC 정상회의’ 맞이 특별전… 한국 미술의 전통과 현대 한자리에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OECD 원자력기구 “韓 SMR, 세계적 수준”… i-SMR 10위·스마트100 13위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