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대규모 예산을 투입해 강행한 ‘한강버스’ 사업이 출항 이틀 만에 중단되면서 혈세 낭비 논란이 커지고 있다.

서울시에 따르면 지금까지 한강버스에는 총 926억 원이 투입됐다. 애초 총사업비는 542억 원으로 계획됐지만, 이후 1,288억 원으로 증액됐고, 최종적으로는 민간 투자까지 포함해 약 1,500억 원이 투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당초 계획 대비 3배 가까운 규모다.문제는 막대한 예산에도 불구하고 사업성이 불투명하다는 점이다. 연간 운영비만 200억 원에 달하지만, 탑승 요금 수익은 50억 원 수준에 그친다.
서울시는 나머지 150억 원을 광고·편의시설 운영 등으로 충당하겠다는 방침이지만, 수익 구조가 안정적이지 않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실제 한강버스는 지난 18일 첫 운항을 시작했으나, 이틀 만인 20일 팔당댐 방류량이 초당 3,300톤에 이르면서 서울시 매뉴얼에 따라 전면 중단됐다. 잠수교 수위 상승으로 교량 통과 기준치(7.3m)를 충족하지 못한 것도 중단 사유다.
운항이 멈췄지만 비용은 계속 나간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한강버스의 하루 평균 운영비는 약 5억5천만 원에 달한다. 이 가운데 연료비와 일부 시간제 인건비 등 변동비를 제외하더라도, 선박 감가상각, 보험료, 정박 관리비, 항만 사용료, 상주 인건비 등 고정비만 하루 3억~4억 원대가 지출된다. 즉, 운항이 멈춘 상태에서도 하루 수억 원이 그대로 빠져나가는 셈이다.
서울시의회 이영실 의원은 “총사업비가 처음 542억 원에서 1,288억 원으로 증액되더니, 민간 투자까지 합치면 약 1,500억 원이 들어가는 구조가 됐다”며 “한강버스는 시내버스처럼 준공영제로 운영되기 때문에 적자가 발생하면 결국 시 재정으로 보전해야 한다. 무능하거나 무모한 행정의 실패를 시민 세금으로 메우는 대표적인 부조리”라고 지적했다.
시민사회에서도 비판이 거세다. “수익성은 불투명한데 고정비 부담만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며 “안전 문제로 멈춘다고 해도 세금이 계속 투입되는 구조”라는 우려가 나온다. 반면 서울시는 “사업 초기라 수익 구조가 불안정하지만 광고·편의시설 운영 등 부대수입을 통해 적자를 보완할 계획”이라며 “시민 안전을 위해 운항을 조정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출항 이틀 만의 중단 사태는 향후 한강버스의 타당성과 지속 가능성 논란을 더욱 키울 것으로 보인다.
BEST 뉴스
-
DB그룹 경영권 향방 중대 고비…김남호 명예회장, 법률 자문 검토
DB그룹 2세인 김남호 명예회장이 두 달 전 회장직에서 물러난 데 이어 내년 3월 사내이사직까지 내려놓을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본격적인 대응에 나설지 주목된다. 김남호 DB그룹 명예회장 사진=DB그룹 제공/연합 지난 6월 27일, DB그룹은 돌연 ... -
“출산 후 수혈 못 해 아내를 잃었다”…영주 A 병원 예고된 인재
지난 7월, 경북 영주시의 분만취약지 지원병원에서 출산 직후 산모가 과다출혈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해당 병원은 매년 수억 원의 국비·지방비를 지원받는 지역응급의료기관이었지만, 정작 응급 상황에서 사용 가능한 혈액조차 확보하지 못해 비극을 막지 못했다. 이 사고는 한 개인의 불운이 아니라 제도적 허점... -
대한전선-LS전선 해저케이블 분쟁, 1년 넘긴 수사와 재계 파장
LS전선 동해공장 전경 사진=LS전선 제공 대한전선과 LS전선의 해저케이블 기술 유출 의혹을 놓고 진행 중인 경찰 수사가 1년을 넘겼다. 비공개 영업비밀 침해 사건 특성상 혐의 입증이 까다로워 수사가 지연되는 가운데, 이번 사안이 국내 해저케이블 산업 주도권과 재계 구도에 ... -
인천공항 제4활주로서 화물차 사고 사망…공항 안전관리 또 도마 위에
26일 오전 6시쯤 인천 중구 인천국제공항 제4활주로 인근에서 50대 남성 A씨가 몰던 1t 화물차가 공항 외곽 울타리를 들이받는 사고가 발생했다. 인천국제공항 전경 [인천국제공항공사 제공. 연합뉴스] 사고 충격으로 크게 다친 A씨는 인근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결국 숨... -
“유기견 보호소를 ‘실험동물 창고’로…휴벳 사태 전모
전북 익산에 본사를 둔 동물용 의약품 개발사 휴벳과 이 회사가 운영·연계한 동물병원 및 보호소들이 연달아 동물 학대·관리 부실 의혹에 휩싸이고 있다. 정읍 보호소 유기견 안락사 후 카데바(해부 실습용 사체) 사용, 군산 보호센터의 실험 비글 위탁 관리, 돼지 사체 급여 논란이 잇따라 불거지면서, 한 기업과 그와 ... -
ITX 열차 10대 중 7대 ‘미납’… 고의 지연 업체, 입찰 제한 추진
노후 무궁화호 대체를 위해 도입 중인 ITX-마음 열차가 계약 물량의 3분의 2 이상 납품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계약을 따낸 업체의 반복적인 지연에도 실질적인 제재 수단이 없어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8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정준호 의원(더불어민주당·광주 북구갑)이 한국철도공사로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