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1.5℃
    맑음철원-1.9℃
    맑음동두천0.0℃
    맑음파주-0.9℃
    맑음대관령-2.8℃
    맑음춘천-1.0℃
    박무백령도5.4℃
    맑음북강릉0.6℃
    맑음강릉3.5℃
    맑음동해3.6℃
    맑음서울2.7℃
    맑음인천4.5℃
    맑음원주-0.1℃
    구름조금울릉도5.1℃
    맑음수원1.3℃
    맑음영월-0.7℃
    맑음충주0.5℃
    구름많음서산1.7℃
    맑음울진2.5℃
    맑음청주4.0℃
    맑음대전2.9℃
    맑음추풍령3.4℃
    맑음안동1.7℃
    맑음상주3.6℃
    맑음포항5.1℃
    맑음군산5.1℃
    맑음대구5.1℃
    맑음전주4.8℃
    맑음울산4.4℃
    맑음창원5.5℃
    구름조금광주5.3℃
    맑음부산5.9℃
    맑음통영4.8℃
    구름조금목포6.6℃
    맑음여수5.8℃
    맑음흑산도6.3℃
    맑음완도6.5℃
    맑음고창4.8℃
    구름많음순천3.9℃
    구름조금홍성(예)4.3℃
    맑음3.0℃
    구름많음제주8.5℃
    구름조금고산8.3℃
    맑음성산7.6℃
    맑음서귀포7.5℃
    맑음진주1.2℃
    맑음강화4.4℃
    맑음양평1.1℃
    맑음이천2.0℃
    맑음인제-1.1℃
    맑음홍천0.2℃
    맑음태백-0.4℃
    맑음정선군-1.1℃
    맑음제천-0.9℃
    구름많음보은1.2℃
    맑음천안1.0℃
    구름많음보령5.8℃
    맑음부여1.3℃
    맑음금산2.0℃
    맑음2.6℃
    맑음부안6.5℃
    구름많음임실4.1℃
    맑음정읍4.8℃
    흐림남원3.9℃
    흐림장수2.9℃
    맑음고창군3.9℃
    맑음영광군6.0℃
    맑음김해시5.1℃
    맑음순창군3.7℃
    맑음북창원6.0℃
    맑음양산시6.5℃
    맑음보성군5.1℃
    맑음강진군6.8℃
    구름조금장흥6.3℃
    맑음해남6.0℃
    맑음고흥5.8℃
    맑음의령군2.9℃
    맑음함양군4.0℃
    맑음광양시4.8℃
    맑음진도군7.0℃
    맑음봉화-1.4℃
    맑음영주3.7℃
    맑음문경3.6℃
    맑음청송군0.0℃
    맑음영덕2.9℃
    맑음의성1.1℃
    맑음구미3.8℃
    맑음영천4.3℃
    맑음경주시4.8℃
    맑음거창2.0℃
    맑음합천4.5℃
    맑음밀양4.3℃
    맑음산청5.1℃
    맑음거제5.9℃
    맑음남해5.7℃
    맑음4.6℃
    맑음속초3.2℃
  • 최종편집 2025-04-14(월)

통합검색

검색형태 :
기간 :
직접입력 :
~

전체 검색결과

  • 2025년 대통령 보궐선거 비용 4,949억 원 추산…역대 최대 규모
    2025년에 치러질 가능성이 있는 대통령 보궐선거의 총비용이 약 4,949억 4,200만 원으로 추산됐다. 이는 역대 보궐선거 중 최대 규모로, 막대한 국민 세금이 투입될 전망이다. 지난해 5월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신임 민정수석 인사 발표 뒤 퇴장하는 윤 전 대통령 [연합뉴스 자료사진]   이번 보궐선거는 윤석열 대통령의 내란 및 위헌 사유에 따른 것으로, 원래 예정됐던 2027년 대선보다 2년 앞당겨진 선거다.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에는 같은 해 12월로 예정돼 있던 대선 일정에 따라 별도의 보궐선거 비용이 발생하지 않았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번 선거는 전혀 계획되지 않았던 예산 지출이라는 점에서 그 파장이 크다. 강서구청장 보궐선거와 비교해도 그 규모의 차이는 압도적이다. 지난해 치러진 강서구청장 보궐선거의 비용은 약 40억 원으로, 대통령 보궐선거 비용은 그 125배에 달한다. 당시 국민의힘 후보는 이를 “애교 수준”이라고 발언해 논란을 빚은 바 있으며, 대통령 선거처럼 대규모 국가 예산이 투입되는 상황에서 같은 정당이 책임을 회피할 경우 국민적 비판은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아이러니하게도, 국민의힘은 제21대 국회에서 재보궐선거의 원인을 제공한 인사와 정당에 대해 책임을 묻는 법안을 대표발의한 바 있다. 해당 법안에는 ▲소속 정당의 선거 추천권 제한 ▲선거비용 반환 ▲재보궐선거 원인 제공자 소속 정당명 홈페이지 공표 ▲피선거권 박탈 등이 포함돼 있다. 해당 법안은 안병길, 박수영, 최형두, 한무경, 윤주경, 이태규, 이종배 의원 등이 공동 발의했다. 이에 따라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번 보궐선거로 발생하는 막대한 세금 낭비에 대한 책임을 윤석열 정부와 국민의힘이 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국민의힘이 과거 주장해왔던 “보궐선거 원인 제공 정당은 후보를 내지 말아야 한다”는 원칙에 따라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는 요구도 제기되고 있다. 국민 혈세의 낭비와 정당성 논란이 맞물린 이번 보궐선거는, 향후 정치적 심판의 핵심 쟁점으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 전체
    • 정치
    • 국회/정당
    2025-04-07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