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표 브랜드의 독특한 마케팅이 화제다.
MBC ‘나 혼자 산다’에서 배우 서지혜가 편의점에서 곰표맥주를 구매하는 장면이 나오면서 방송 직후 관심이 쏠렸다. 서지혜가 마신 맥주는 곰표 밀맥주로 지난 5월 출시 이후 3일 만에 10만개가 완판되기도 했다. 또 한 달 만에 50만개 판매를 달성할 정도로 큰 인기를 끌었다.

특히 CU는 밀가루 업체 ‘곰표’와 손잡고 올해 5월 곰표 밀맥주를 출시한 데 이어 지난 8일에는 말표 구두약을 제조하는 말표산업, 맥주 제조사 스퀴즈브루어리와 손잡고 ‘말표 흑맥주’를 출시했다. 곰표 밀맥주는 1주일 만에 30만개가 팔렸고, 8월 초에는 누적 판매량이 60만개를 넘어섰다.

세븐브로이는 곰표 맥주에 대해 “달콤하고 향긋한 열대과일향을 풍부하게 느낄 수 있으며 부드러운 거품과 개운한 끝 맛이 특징이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이 맥주에는 패션후르츠추출물, 복숭아추출물, 파인애플추출물 등으로 이뤄진 혼합제제가 함유됐다.
곰표 밀맥주는 전국에 1만4000개 점포를 갖춘 CU 편의점, 소맥분 제조사 대한제분, 수제맥주 제조사 세븐브로이가 손잡고 개발했다. 편의점 업계 최초 컬래버레이션 수제맥주다.
최근 `곰표` 브랜드는 소비자의 `레트로` 감성을 자극했다. 대한제분의 곰표 브랜드는 의류업체 4XR의 `곰표패딩`과 `곰표 밀가루 쿠션` 등 신개념 마케팅을 통해 판매되고 있다. 밀가루 포대처럼 보이는 다소 촌스러운 곰표 패딩은 2030세대의 감수성과 만나면서 펀(Fun·즐거운)한 브랜드로 재탄생됐다.
40대 이상 소비자에게도 잊혀졌던 `곰표 밀가루`의 추억을 소환해오는데 성공했다. 맥주캔에는 대한제분의 백곰 마스코트인 `표곰`과 곰표 밀가루 특유의 복고풍 서체, 패키지 디자인을 그대로 옮겨왔다.

지난해 대한제분은 온라인 쇼핑몰 '4XR'과 협업해 '곰표 패딩', '곰표 맨투맨 그린' 등을 선보여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다. 맨투맨과 후드티도 연이은 판매기록을 통해 완판 행진을 이어오고 있다.
BEST 뉴스
-
DB그룹 경영권 향방 중대 고비…김남호 명예회장, 법률 자문 검토
DB그룹 2세인 김남호 명예회장이 두 달 전 회장직에서 물러난 데 이어 내년 3월 사내이사직까지 내려놓을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본격적인 대응에 나설지 주목된다. 김남호 DB그룹 명예회장 사진=DB그룹 제공/연합 지난 6월 27일, DB그룹은 돌연 ... -
“출산 후 수혈 못 해 아내를 잃었다”…영주 A 병원 예고된 인재
지난 7월, 경북 영주시의 분만취약지 지원병원에서 출산 직후 산모가 과다출혈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해당 병원은 매년 수억 원의 국비·지방비를 지원받는 지역응급의료기관이었지만, 정작 응급 상황에서 사용 가능한 혈액조차 확보하지 못해 비극을 막지 못했다. 이 사고는 한 개인의 불운이 아니라 제도적 허점... -
대한전선-LS전선 해저케이블 분쟁, 1년 넘긴 수사와 재계 파장
LS전선 동해공장 전경 사진=LS전선 제공 대한전선과 LS전선의 해저케이블 기술 유출 의혹을 놓고 진행 중인 경찰 수사가 1년을 넘겼다. 비공개 영업비밀 침해 사건 특성상 혐의 입증이 까다로워 수사가 지연되는 가운데, 이번 사안이 국내 해저케이블 산업 주도권과 재계 구도에 ... -
인천공항 제4활주로서 화물차 사고 사망…공항 안전관리 또 도마 위에
26일 오전 6시쯤 인천 중구 인천국제공항 제4활주로 인근에서 50대 남성 A씨가 몰던 1t 화물차가 공항 외곽 울타리를 들이받는 사고가 발생했다. 인천국제공항 전경 [인천국제공항공사 제공. 연합뉴스] 사고 충격으로 크게 다친 A씨는 인근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결국 숨... -
“유기견 보호소를 ‘실험동물 창고’로…휴벳 사태 전모
전북 익산에 본사를 둔 동물용 의약품 개발사 휴벳과 이 회사가 운영·연계한 동물병원 및 보호소들이 연달아 동물 학대·관리 부실 의혹에 휩싸이고 있다. 정읍 보호소 유기견 안락사 후 카데바(해부 실습용 사체) 사용, 군산 보호센터의 실험 비글 위탁 관리, 돼지 사체 급여 논란이 잇따라 불거지면서, 한 기업과 그와 ... -
ITX 열차 10대 중 7대 ‘미납’… 고의 지연 업체, 입찰 제한 추진
노후 무궁화호 대체를 위해 도입 중인 ITX-마음 열차가 계약 물량의 3분의 2 이상 납품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계약을 따낸 업체의 반복적인 지연에도 실질적인 제재 수단이 없어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8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정준호 의원(더불어민주당·광주 북구갑)이 한국철도공사로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