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까다로운 식성을 보이는 이유 6가지가 제시됐다. 일반적으로 아이의 먹는 양이 지나치게 적거나 특정 식품을 거부하거나 특정 조리법을 선호하면 까다로운 입맛을 가진 것으로 간주한다.

대전대 식품영양학과 심재은 교수가 국내외 연구 논문 검색 사이트(PubMedㆍGoogle Scholar)에서 2009∼2021년 1월 ‘picky eating’ㆍ‘fussy eating’ㆍ‘children’의 키워드 검색해 관련 문헌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 결과(까다로운 식습관과 식품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는 동아시아식생활학회 최근호에 실렸다.
아이의 까다로운 입맛을 갖게 되는 이유 첫 번째는 선천적으로 신맛ㆍ쓴맛을 싫어하고 단맛을 선호한다는 것이다. 맛(taste)은 단맛(sweet)ㆍ짠맛(salty)ㆍ신맛(sour)ㆍ쓴맛(bitter) 등 4가지 기본적인 맛과 감칠맛(umami, savoury)을 가리킨다.
4가지 기본 맛에 관한 연구에서 신생아는 단맛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신맛ㆍ쓴맛은 거부했다. 짠맛에 대해선 크게 선호하지도, 싫어하지도 않는 반응을 보였다. 다른 연구에선 신생아에게 글루탐산(감칠맛)을 첨가한 수프를 먹였을 때 단맛과 비슷한 반응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이가 자라면서 맛 선호도가 바뀌는 것과도 관련이 있다. 신생아에서 영아로 발달하면서 짠맛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한다. 짠맛 선호도는 생후 4개월께 시작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어린이의 단맛 선호는 신체적 성장이 끝나는 사춘기 무렵에 성인 수준으로 감소한다.
심 교수는 논문에서 “아이의 씹는 기능이 좋아지는 생후 6∼10개월 사이엔 다양한 질감의 식품을 경험하게 할 필요가 있다”며 “생후 10개월까지 덩어리 음식을 섭취해보지 못한 아이는 이후 다양한 질감의 식품을 잘 받아들이지 못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있다”고 소개했다.
셋째, 아이마다 맛을 감지하는 맛봉오리와 신경의 밀도 등이 유전적으로 다를 수 있다. PROP이란 쓴맛 물질에 민감한 어린이는 시금치ㆍ브로콜리 등 쓴맛을 가진 채소와 우유를 피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런 아이는 맛이 강한 음식을 싫어하고 기피 음식의 종류도 많았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 쓴맛을 거부하는 아이는 단 음식을 선호했고, 설탕 등 첨가당의 섭취가 많았다.
넷째, 아이의 성격 등 기질도 까다로운 입맛에 영향을 미쳤다. 까다로운 기질은 일반적으로 새로운 자극에 회피 반응을 보이고, 변화 적응에 시간이 필요하며, 부정적인 기분을 강하게 나타낸다.
다섯째, 푸드 네오포비아(food neophobia)다. 이는 잠재적으로 해로운 물질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인간의 본능에 가깝다. 다른 잡식성 동물에서도 관찰된다.
푸드 네오포비아는 아이가 스스로 먹을 것을 찾아 섭취하기 시작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한다. 푸드 네오포비아는 이유 무렵부터 급격히 증가 만 2∼6세 사이에 최고조를 나타낸 후 곧 감소한다.
여섯째, 아이의 생리적 수용력이 떨어지는 것도 입맛이 까다로워지는 이유다. 특히 소화 기능은 아이의 식욕에 영향을 미친다. 아이의 배변이 원활하지 않을 때도 입이 까다로워질 수 있다.
BEST 뉴스
-
[단독] "LG전자, 직원 10명 중 4명 잘린다…초대형 희망퇴직"
LG전자가 대규모 감원에 돌입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LG전자 직원만 가입할 수 있는 폐쇄형 커뮤니티 블라인드에는 최근 이에 대한 구체적 내용을 담아 "기사화를 부탁한다"는 글이 올라왔다. 이 글의 작성자는 LG전자 소속을 인증한 LG전자 직원으로 추정된다는 점에서 신빙성 있는 자료로 분석된다. ... -
DB그룹 경영권 향방 중대 고비…김남호 명예회장, 법률 자문 검토
DB그룹 2세인 김남호 명예회장이 두 달 전 회장직에서 물러난 데 이어 내년 3월 사내이사직까지 내려놓을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본격적인 대응에 나설지 주목된다. 김남호 DB그룹 명예회장 사진=DB그룹 제공/연합 지난 6월 27일, DB그룹은 돌연 ... -
“출산 후 수혈 못 해 아내를 잃었다”…영주 A 병원 예고된 인재
지난 7월, 경북 영주시의 분만취약지 지원병원에서 출산 직후 산모가 과다출혈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해당 병원은 매년 수억 원의 국비·지방비를 지원받는 지역응급의료기관이었지만, 정작 응급 상황에서 사용 가능한 혈액조차 확보하지 못해 비극을 막지 못했다. 이 사고는 한 개인의 불운이 아니라 제도적 허점... -
대한전선-LS전선 해저케이블 분쟁, 1년 넘긴 수사와 재계 파장
LS전선 동해공장 전경 사진=LS전선 제공 대한전선과 LS전선의 해저케이블 기술 유출 의혹을 놓고 진행 중인 경찰 수사가 1년을 넘겼다. 비공개 영업비밀 침해 사건 특성상 혐의 입증이 까다로워 수사가 지연되는 가운데, 이번 사안이 국내 해저케이블 산업 주도권과 재계 구도에 ... -
박주민 “오세훈, 비(非)강남 버렸다”…경전철 공약 ‘빈 껍데기’ 전락
오세훈 서울시장 사진=연합뉴스 서울시가 추진해 온 강북·동북권 경전철 사업이 잇따라 좌초하면서 오세훈 시장의 균형발전 공약이 사실상 공염불에 그쳤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서울시당과 ‘새로운서울준비특별위원회’(위원장 박주민)는 21일 열린 ‘오세훈 시정 3... -
인천공항 제4활주로서 화물차 사고 사망…공항 안전관리 또 도마 위에
26일 오전 6시쯤 인천 중구 인천국제공항 제4활주로 인근에서 50대 남성 A씨가 몰던 1t 화물차가 공항 외곽 울타리를 들이받는 사고가 발생했다. 인천국제공항 전경 [인천국제공항공사 제공. 연합뉴스] 사고 충격으로 크게 다친 A씨는 인근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결국 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