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22대 국회의원, 주식 매각·백지신탁 효과 ‘미미’

  • 박상현 기자
  • 입력 2025.09.09 23:31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9일 22대 국회의원 주식 보유와 매각·백지신탁 실태를 조사한 결과를 발표하며, 현행 제도가 유명무실하다고 지적했다.

 

46302_2988978_1757384502260772134.jpg
사진=경실련 제공


조사에 따르면 2024년 3월 총선 후보 시절 의원 149명의 증권 보유액은 총 2,575억 원으로 1인당 평균 17억 원이었다.


2025년 3월 공개 자료 기준 증권 보유 신고액은 166명 2,008억 원, 1인당 12억 원으로 감소했지만, 74명은 오히려 보유액이 늘었다. 매각·백지신탁 신고액은 총 171억 원으로 전체 보유액의 6.7%에 불과했다. 상당수는 기존 보유분 정리가 아닌, 반복 매매 과정에서 신고된 것으로 실효성은 낮았다.


특히 2025년 8월, 이춘석 의원이 보좌관 명의로 주식을 거래한 사실이 드러나 국민적 불신을 키웠다. 현행 공직자윤리법은 연 1회 신고만 요구해 수시 매매와 차익 실현 내역은 확인이 어렵고,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의 심사도 부실하다는 비판이 나온다. 


주식백지신탁제도 역시 직무관련성 예외 규정을 활용해 과도한 주식 보유가 여전히 가능하다.


경실련은 △주식·부동산 매매 내역 신고제 도입 △공직자윤리위원회 심사 강화 및 국회의장 직접 점검 △백지신탁 심사 기준 공개 △독립적 윤리조사국 설치 등 4대 개선 과제를 촉구했다.


서휘원 경실련 정치입법팀장은 “현행 제도로는 의원들의 주식 거래와 이해충돌을 제대로 감시할 수 없다”며 “이재명 대통령 공약인 ‘주식 거래내역 신고·공개제’ 입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사는 경실련 강당에서 배정현 간사의 사회로 진행됐으며, 발표는 서 팀장이 맡았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복지 사각지대’ 가족돌봄아동에 손 건넨다
  • 이들이 별을 너무 따서 이제 없다네…
  • [신박사의 신박한 컨설팅] 도시재생사업, 낡은 공간을 넘어 ‘삶의 플랫폼’으로
  • 동서식품 ‘맥심골목’, ‘광고주가 뽑은 올해의 마케터상’ 수상
  • UAM 도입 앞둔 인천, 국가중요시설 간 드론 대응 수준 ‘불균형’
  • 국립등대박물관 안내 앱, 개발비 수억 들었지만 이용은 미미
  • 이디야커피, 보이넥스트도어 협업 음료 출시 직후 품절 행렬
  • 한국전력기술, 협력사와 함께하는 ‘2025 품질의 날’ 개최
  • 거리에서 무대로… ‘청춘마이크’ 10년 여정 기록
  • 영국과 미국 헤리티지의 만남… 바버, 리바이스와 협업 컬렉션 출시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22대 국회의원, 주식 매각·백지신탁 효과 ‘미미’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