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명절을 지나며 선물 받은 상품을 중고 거래로 처분하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그러나 선물세트라고 해서 무심코 판매했다가 자칫 법을 위반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주류, 화장품 샘플, 도수 있는 렌즈나 안경 등은 ‘면허 없이 판매할 수 없는 품목’으로 분류돼, 중고거래 플랫폼에서 거래하면 형사 처벌을 받을 수 있다.

최근 온라인 중고거래 플랫폼인 당근마켓, 번개장터 등에는 “추석 선물로 받은 위스키 판매합니다”, “홍삼세트 미개봉 판매” 등의 글이 잇따라 올라오고 있다. 그러나 주세법에 따르면 주류판매 면허 없이 술을 판매할 경우 3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다. 단순히 선물 받은 술이라도 ‘소유권 이전’이 이루어지면 법적으로 판매 행위로 간주될 수 있다.
화장품도 예외가 아니다. 화장품법은 증정용 샘플이나 비매품을 판매하거나, 화장품을 소분해 판매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다. 위반 시 1년 이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하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 특히 명절마다 선물로 많이 주고받는 고가 화장품 세트나 샘플 키트는 중고거래 게시판에서 인기가 높지만, ‘비매품’ 표기가 되어 있다면 판매 자체가 불법이다.
도수가 있는 안경이나 콘택트렌즈 역시 의료기기법상 판매 자격이 필요한 품목이다. 안경사 면허 없이 이를 판매하면 불법으로 간주되며, 처벌 대상이 된다. 단, 도수가 없는 안경테나 패션용 선글라스 등은 예외적으로 거래가 가능하다.
한편, 건강기능식품의 경우는 제한적으로 허용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현재 홍삼, 비타민, 유산균 등 건강기능식품의 중고거래를 당근마켓과 번개장터에 한해 시범 허용하고 있다. 다만 미개봉 제품이어야 하고, 유통기한이 충분히 남아 있어야 하며, 판매 글을 등록할 때 반드시 ‘건강기능식품 전용 카테고리’를 선택해야 한다.
이 조건을 벗어나거나 다른 플랫폼(예: 중고나라, 쿠팡플레이스 등)에서 거래할 경우 여전히 불법으로 간주될 수 있다.
법률 전문가들은 “중고거래는 소비자 간 거래로 인식되지만, 특정 품목은 국가의 허가·인증 체계 아래 있어 개인이 마음대로 팔 수 없다”며 “명절 이후 선물세트 처분을 고려하는 소비자들은 해당 품목의 거래 가능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결국 ‘선물’이라도 함부로 팔면 ‘위법’이 된다. 올 추석, 잠시의 용돈벌이보다 법 위반 위험을 피하는 신중함이 필요하다.
BEST 뉴스
-
신길5동 지주택, 500억 횡령 의혹…조합원들 “10년 기다렸는데 빚더미”
서울 영등포구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조합장 장세웅)에 또다시 충격적인 의혹이 제기됐다.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 시위 현장 사진출처=지역주택조합 SNS 25일 JTBC 보도에 따르면 서울시가 파견한 공공 변호사와 회계사 실태조사에서 최소 500억 원 규모의 자금 유용 정황... -
대한전선-LS전선 해저케이블 분쟁, 1년 넘긴 수사와 재계 파장
LS전선 동해공장 전경 사진=LS전선 제공 대한전선과 LS전선의 해저케이블 기술 유출 의혹을 놓고 진행 중인 경찰 수사가 1년을 넘겼다. 비공개 영업비밀 침해 사건 특성상 혐의 입증이 까다로워 수사가 지연되는 가운데, 이번 사안이 국내 해저케이블 산업 주도권과 재계 구도에 ... -
[단독] 삼성 갤럭시폰, 이미지 파일로 원격 해킹 가능?
반고흐 미술관의 오디오 가이드 기기로 사용되는 갤럭시 S25+를 사용하는 모습 사진=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의 갤럭시폰에서 제로데이 보안 취약점(CVE-2025-21043)이 확인됐다. 제로데이 공격은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을 때 그 문제의 존재 자체가 널리 공표되기도 전에 ... -
“티웨이보단 나을줄 알았다…분노의 대한항공 결항기”
지난해 티웨이항공이 이른바 ‘항공기 바꿔치기’가 항공업계의 역대급 결항 사태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가운데, 당시 사건을 뺨치는 사태가 발생했다. 심지어 LCC가 아니라 FSC인 대한항공이라는 점에서 승객들의 비판이 커지고 있다. 대한항공 사진=연합뉴스 항공업계에 따르면, 지난... -
“유기견 보호소를 ‘실험동물 창고’로…휴벳 사태 전모
전북 익산에 본사를 둔 동물용 의약품 개발사 휴벳과 이 회사가 운영·연계한 동물병원 및 보호소들이 연달아 동물 학대·관리 부실 의혹에 휩싸이고 있다. 정읍 보호소 유기견 안락사 후 카데바(해부 실습용 사체) 사용, 군산 보호센터의 실험 비글 위탁 관리, 돼지 사체 급여 논란이 잇따라 불거지면서, 한 기업과 그와 ... -
ITX 열차 10대 중 7대 ‘미납’… 고의 지연 업체, 입찰 제한 추진
노후 무궁화호 대체를 위해 도입 중인 ITX-마음 열차가 계약 물량의 3분의 2 이상 납품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계약을 따낸 업체의 반복적인 지연에도 실질적인 제재 수단이 없어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8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정준호 의원(더불어민주당·광주 북구갑)이 한국철도공사로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