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에서 가장 비싼 산후조리원 2주 이용 요금이 4,020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강남구 D 산후조리원의 특실 기준으로, 일반실 최고가는 1,700만 원에 달했다. 반면 전북 군산 일반실은 120만 원, 전남 강진군 공공산후조리원 특실은 154만 원으로, 최고가와 최저가의 격차가 33.5배에 이르렀다.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서울 송파구병, 보건복지위원회)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일반실 요금 상위 10곳 중 7곳이 강남구에 몰려 있으며 나머지는 서울 용산·강서구와 경기 성남시에 각각 1곳씩 위치했다. 상위 10곳 평균 이용요금은 1,260만 원으로, 하위 10곳 평균 150.1만 원 대비 8.4배 높았다.
남인순 의원은 “산모 10명 중 8명이 산후조리원을 이용하지만, 전국 산후조리원 수는 2021년 519개소에서 2024년 460개소로 줄었다”며 “시설 수 감소와 이용 요금 상승으로 산모들의 선택권이 제한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공공산후조리원 일반실 평균 이용금액은 약 174만 원으로 민간 대비 절반 수준이지만, 전국 21개소에 불과해 접근성이 낮다”며 “공공산후조리원 확대를 통해 합리적 비용으로 질 높은 산후조리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24년 산후조리 통계’에 따르면, 산모들이 정부에 가장 많이 요구한 정책은 ‘산후조리 비용 지원’(60.1%)이었다. 산후조리원을 선택할 때는 ‘집·병원과 거리’(59.1%)를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꼽았다.
남인순 의원은 “2021년 공공산후조리원 설치·운영 근거를 마련한 「모자보건법 개정안」 시행 이후 8곳이 신규 개소해 21개소로 늘었지만, 전체 산후조리원 중 공공 비율은 5%에도 못 미친다”며 “출산비용 불평등을 완화하고 저출생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가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2021년 2주 특실 최고가는 2,600만 원이었으나 2025년 4,020만 원으로 4년 새 1.55배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BEST 뉴스
-
[단독]삼성 빌트인 냉장고 '물수건만 닦아도 코팅 벗겨졌다'
신축 아파트 입주자들이 선택한 삼성 빌트인 냉장고(모델 BRS665040SR·BRS685050SR)에서 표면 코팅이 물수건만 사용해 닦아도 쉽게 벗겨진다는 불만이 잇따르고 있다. 삼성 빌트인 냉장고 표면 벗겨짐 현상 ... -
아모레퍼시픽 1위…한국콜마 하락·코스맥스 상승
국내 화장품 상장사 브랜드 순위에서 아모레퍼시픽이 1위를 지켰다. 한국콜마는 순위가 내려간 반면, 코스맥스는 상승세를 보이며 상위권 판도를 흔들었다. ‘K-브랜드지수’ 이미지=아시아브래드연구소 제공 빅데이터 평가 기관 아시아브랜드연구소는 16일 ‘K-브랜드지수’ 화장... -
현대건설, 국내 첫 상업용 수전해 수소 생산기지 준공
현대건설이 국내 최초의 상업용 수전해 기반 수소 생산기지를 완공했다. 청정수소를 본격 생산·공급하는 인프라를 갖추면서 에너지 전환 시대 대응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24일(수) 전북 부안 수전해 기반 수소 생산기지 준공식에서 김종훈 전북특별자치도 경제부지사(왼쪽에서 4번째), 권익현... -
“무단 카드결제 피해, 책임은 소비자 아닌 카드사·금감원에” 소비자단체 성명
최근 발생한 무단·부정 카드결제 사건과 관련해 소비자단체가 피해 책임을 소비자에게 전가하는 금융감독원의 결정에 대해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사)소비자와함께는 성명을 내고 “위험을 먼저 감지할 수 있는 주체가 먼저 책임져야 한다”며 즉각적인 시정과 재발 방지 대책을 촉구했다. 성명에서 “새벽 시간대 연... -
강원랜드 ‘콤프’ 5,700억 원 지급, 불법 사용 속수무책
강원랜드가 최근 5년간 카지노 이용 고객에게 지급한 ‘콤프’ 규모가 총 5,700억 원에 달하지만, 불법 사용 사례인 이른바 ‘콤프깡’이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리·감독 체계는 허술해 실효성 없는 제도로 전락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더불어민주당 김동아 의원 사진=연합뉴스 ... -
용인 에버랜드, '케데헌' 분식세트 3만8000원…팬심 바가지 논란
경기 용인 에버랜드가 넷플릭스와 협업해 선보인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 테마존’이 개장 닷새 만에 1만 명이 넘는 방문객을 끌어모으며 흥행몰이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이곳에서 판매되는 ‘헌트릭스 세트(3만8000원)’와 ‘사자보이즈 세트(3만6000원)’의 가격을 두고 “팬심을 이용한 바가지 장사”라는 논란이 제기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