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오미크론 변이 감염자 中 3분의2는 재감염자

  • 김세민 기자
  • 입력 2022.01.27 20:54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에 걸린 확진자 중 3분의2는 이전에 코로나19에 감염된 이력이 있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Screenshot 2022-01-27 at 20.53.06.jpg
이미지출처=픽사베이

지난 26일(이하 현지시간) 영국 런던 임페리얼칼리지는 이같은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임페리얼칼리지 연구에 따르면 영국 잉글랜드 지방에서는 이미 오미크론이 델타 변이를 거의 대체했으며 오미크론에 감염된 상당수가 재감염자였다. 오미크론 감염자 3분의2가 이전에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거나 감염이 의심된 이들이었다는 것이다.


영국 정부의 지원으로 진행된 이번 연구는 잉글랜드 지방에서 PCR 검사를 받은 10만607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검체는 지난 5~20일 사이에 수집한 것들이다. 연구에 따르면 잉글랜드 지방은 확진자 99%가 오미크론 변이로 델타변이를 거의 완전히 대체한 것으로 분석했다. 약 1% 정도만이 델타 변이 감염자였다.


1월 중 코로나19 감염이 확인된 3582명 가운데 3분의2는 이전에 코로나19 검사에서 확진을 받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모집단 코로나19 감염자 중 7.5%는 전에 감염된 것으로 의심은 되지만 진단검사를 받지 않아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없었다고 전했다.  


일반적으로 코로나19에 감염됐다가 회복되면 재감염될 확률은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번 연구결과는 기존의 알려진 것과는 달리 오미크론은 재감염 확률이 매우 높다. 지난해 12월에도 영국 보건부 관계자들이 오미크론이 델타 변이에 비해 재감염 위험이 5.4배 높다고 추정한 적이 있다. 


임페리얼칼리지 연구진은 재감염률이 높은 오미크론의 특성으로 최근 코로나19 확진자가 폭증한 이유로 분석하면서 "백신접종이 여전히 코로나19에서 스스로를 보호하는 가장 중요한 전략"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오미크론의 하위 변이 중 하나인 스텔스 오미크론이 등장해 학계에서 조사 중이다. 임페리얼칼리지 연구에서는 양성반응이 나온 감염자 0.4%가 오미크론 하위계보(sublineage) 가운데 하나인 BA.2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조사됐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오미크론은 현재 4개 하위 돌연변이들로 구성돼 있다. 가장 주된 돌연변이는 BA.1이다. 그러나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 덴마크 등에서는 BA.2가 점점 세력을 넓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A.2는 일부 유전자 변이로 인해 PCR(유전자증폭) 검사에서 델타 등 다른 변이종과 잘 구별되지 않아 흔히 '스텔스 오미크론'으로 불린다.


국내에서 스텔스 오미크론 감염자가 발생한 적은 없다. 다만, 해외에서 유입된 확진자 중 4.5%는 오미크론 변이의 하위 유형인 'BA.2' 감염자인 스텔스 오미크론으로 파악됐다.


학계에 따르면 스텔스 변이가 오미크론 변이보다 감염력이 더 강하다. 일본의 한 연구진은 스텔스 변이 감염력이 오미크론 변이보다 18% 강하다고 주장했다. 영국 보건안전청에서도 스텔스 변이 감염 사례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면서 최근 조사대상으로 지정한 바 있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UAM 도입 앞둔 인천, 국가중요시설 간 드론 대응 수준 ‘불균형’
  • 국립등대박물관 안내 앱, 개발비 수억 들었지만 이용은 미미
  • 이디야커피, 보이넥스트도어 협업 음료 출시 직후 품절 행렬
  • 한국전력기술, 협력사와 함께하는 ‘2025 품질의 날’ 개최
  • 거리에서 무대로… ‘청춘마이크’ 10년 여정 기록
  • 영국과 미국 헤리티지의 만남… 바버, 리바이스와 협업 컬렉션 출시
  • 국민연금 책임투자 자산 중 97% ‘ESG 워싱’ 논란
  • 웅진식품, ‘2025 JTBC 서울마라톤’ 공식 음료로 참여
  • 신상정보 등록 성범죄자 202명 소재불명… 120명은 1년 넘게 미검거
  • ‘유령 인력’ 된 외국인 요양보호사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오미크론 변이 감염자 中 3분의2는 재감염자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