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외조부모상' 경조휴가 제외는 '부계 혈통주의'에 기반한 차별"

  • 박상현 기자
  • 입력 2023.02.17 09:41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경조휴가 중 외조부모 상사를 제외한 것을 차별이라고 국가인권위원회가 밝혔다.  


Screenshot 2023-02-17 at 09.41.17.jpg
사진=연합뉴스

 

국가인권위원회는 지난 14일 친조부모의 상사(喪事)에만 경조휴가·경조금을 주는 사내 복리후생 제도는 '부계혈통주의'에 기반한 차별이라고 말했다.


인권위에 따르면 중소기업에 다니는 A씨는 회사가 직원의 친조부모가 사망했을 때만 경조휴가 3일, 경조금 25만원을 주고 외조부모상에는 이를 적용하지 않는 것은 차별이라고 지난해 6월 인권위에 진정을 제기했다.


이에 회사 측은 경조사 규정은 자체 인사위원회 의결에 따른 것이며, 복리후생 차원의 조치라 외가까지 확대하는 건 부담스럽다고 답했다. 다만 추후 근로기준법을 검토해 개선사항이 있는지 살펴볼 계획이라고 했다.


이를 조사한 인권위는 회사가 외조부모를 친조부모와 다르게 취급하는 행위는 부계혈통주의 관행으로, 가족 상황·성별을 이유로 한 차별행위라고 판단했다. 


민법 제768조는 직계혈족을 '자기의 직계존속과 직계비속'으로 정의하고 있고, 제777조 역시 친족의 범위를 '8촌 이내의 혈족 등'으로 규정해 모(母)의 혈족과 부(父)의 혈족을 구분하지 않고 있다. 법률상 조부모는 외조부모와 친조부모 둘 다 해당하며 모의 직계존속인 외조부모와 부의 직계존속인 친조부모는 동등한 지위를 갖는다.  


인권위 차별시정위원회는 회사 측이 외조부모를 친조부모와 달리 취급하는 행위는 부계혈통주의 관행으로 합리적인 이유가 있다가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인권위는 "호주제도가 폐지되고 가족의 기능·가족원의 역할 분담에 대한 의식이 뚜렷이 달라졌는데도 여전히 부계 혈통의 남성 중심으로 장례가 치러질 것이라는 고정관념에서 비롯된 차별"이라며 헌법에 보장된 평등권에 위배된다고 지적했다.


인권위는 조부모 사망시 경조휴가 부여 및 경조금 지급 규정에 외조부모 상사를 포함하도록 개정할 것을 권고했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 자율규제 참여 매체 870개 넘겨
  • “교촌치킨 송종화 대표, 국감 증인 출석…‘가맹점 보복성 계약거절’ 의혹 추궁”
  • 양손에 ‘서브컬처’ 든 스마일게이트 TGS로 각인
  • 최근 5년간 병역대상자 1만8천여 명 국적 포기… “군 기피 수단 악용 우려”
  • 이동환 고양시장, ‘K-브랜드지수’ 경기도 지자체장 1위
  • 쿠팡, '납치광고' 파트너사 10여곳 형사 고소… “무관용 원칙 적용”
  • 까르마, 창립 26주년 기념 고객 감사 프로모션 실시
  • 국가AI전략위, ‘AI정부’ 전환 TF 출범…아토리서치 정재웅 대표 주목
  • 롯데웰푸드, 중량물 이송 보조기구 ‘플렉스리프트’ 본격 도입
  • 보이스피싱 피해액 5년 만에 4조 돌파… “정부 대응 미온적” 비판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외조부모상' 경조휴가 제외는 '부계 혈통주의'에 기반한 차별"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