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베 켈러(Uwe Keller) 메르세데스 벤츠 전기차 배터리 개발 총괄이 내년부터 한국에서 세계 최초로 도입하는 배터리 안전 사전 인증제에 대해서 지지한다고 밝혔다.

우베 켈러 총괄은 지난 21일(현지시간) 독일 슈투트가르트 운터튀르크하임 본사에서 진행한 한국 기자단과의 인터뷰에서 "한국의 새로운 배터리 인증제에 대해서 오히려 지지하는 입장이다. 왜냐하면 이게 벤츠에만 적용되는 게 아니고 결국 모두를 위한 더 높은 표준을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특히 안전 기준과 관련해서는 시장을 구분을 하지 않는다. 어떤 국가의 규정과 상관없이 최고의 배터리 안전 기준을 적용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날 진행된 라운드 인터뷰에선 한국 기자단의 날선 질문이 계속 쏟아졌다. 인천 아파트 지하주차장 화재 차량이 메르세데스 벤츠 EQE 차량에 저가의 중국산 파라시스 배터리를 사용했다는 점에서 논란은 현재진행형이기 때문이다.
결국 이날 자리에선 인천 화재와 관련해 기대했던 명쾌한 답변은 나오지 않았다. 우베 켈러 총괄은 기자들의 질문에 "현재 조사가 마무리되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자세한 말씀 못 드리는 점 양해 부탁드린다"라며 질문의 요지를 회피했다.
반복된 질문에도 벤츠 측은 방어적인 태도를 유지했다. 다만 우베 켈러 총괄은 "메르세데스 벤츠는 모든 충돌 테스트를 진행을 하고 있다. 저희는 배터리가 견딜 수 있는 외부의 힘을 확인하기 위해서도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것이 메르세데스 벤츠가 하고 있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중국 파라시스 배터리를 계속 탑재할 것이냐'는 질문에는 '그렇다'면서도 향후 변경 가능성도 엿볼수 있는 답변이 나왔다.
우베 켈러 총괄은 "원칙적으로 말씀을 드리면 조사가 진행 중이라 현재 상황 그대로 간다고 보시면 될 것 같다. 현재 상위급 전기 차량은 두 개의 공급사 전략을 따르고 있다. 메르세데스-벤츠는 마켓 별로 변화를 주거나 차별을 두고 있지 않다"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마티아스 바이틀 메르세데스 벤츠 코리아 대표는 "우베 켈러 박사가 이야기하신 것처럼, 현재 두 개의 공급사 전략을 취하고 있긴 하나, (현재 한국의 상황을) 매우 중요하게 살펴보고 있고 향후 전략을 위해서, 고객의 요구 사항들은 고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우베 켈러 총괄은 "현재로서는, 이번 사고와 관련된 내용에 대해 파악한 부분이 매우 제한적이다. 메르세데스 벤츠는 사고 직후부터 한국 당국에 최대한 협조하며 저희 전문가들을 현장에 파견하는 등 다양한 노력들을 기울이고 있다. 안전 그리고 소비자는 메르세데스-벤츠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이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해서 굉장히 신경을 쓰고 진지하게 생각을 하고 있다. 모두에게 굉장히 유감스러운 일이기 때문에 상황 파악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운터튀르크하임(독일)=류근원 기자
BEST 뉴스
-
신길5동 지주택, 500억 횡령 의혹…조합원들 “10년 기다렸는데 빚더미”
서울 영등포구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조합장 장세웅)에 또다시 충격적인 의혹이 제기됐다.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 시위 현장 사진출처=지역주택조합 SNS 25일 JTBC 보도에 따르면 서울시가 파견한 공공 변호사와 회계사 실태조사에서 최소 500억 원 규모의 자금 유용 정황... -
대한전선-LS전선 해저케이블 분쟁, 1년 넘긴 수사와 재계 파장
LS전선 동해공장 전경 사진=LS전선 제공 대한전선과 LS전선의 해저케이블 기술 유출 의혹을 놓고 진행 중인 경찰 수사가 1년을 넘겼다. 비공개 영업비밀 침해 사건 특성상 혐의 입증이 까다로워 수사가 지연되는 가운데, 이번 사안이 국내 해저케이블 산업 주도권과 재계 구도에 ... -
“티웨이보단 나을줄 알았다…분노의 대한항공 결항기”
지난해 티웨이항공이 이른바 ‘항공기 바꿔치기’가 항공업계의 역대급 결항 사태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가운데, 당시 사건을 뺨치는 사태가 발생했다. 심지어 LCC가 아니라 FSC인 대한항공이라는 점에서 승객들의 비판이 커지고 있다. 대한항공 사진=연합뉴스 항공업계에 따르면, 지난... -
[단독] 삼성 갤럭시폰, 이미지 파일로 원격 해킹 가능?
반고흐 미술관의 오디오 가이드 기기로 사용되는 갤럭시 S25+를 사용하는 모습 사진=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의 갤럭시폰에서 제로데이 보안 취약점(CVE-2025-21043)이 확인됐다. 제로데이 공격은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을 때 그 문제의 존재 자체가 널리 공표되기도 전에 ... -
“유기견 보호소를 ‘실험동물 창고’로…휴벳 사태 전모
전북 익산에 본사를 둔 동물용 의약품 개발사 휴벳과 이 회사가 운영·연계한 동물병원 및 보호소들이 연달아 동물 학대·관리 부실 의혹에 휩싸이고 있다. 정읍 보호소 유기견 안락사 후 카데바(해부 실습용 사체) 사용, 군산 보호센터의 실험 비글 위탁 관리, 돼지 사체 급여 논란이 잇따라 불거지면서, 한 기업과 그와 ... -
ITX 열차 10대 중 7대 ‘미납’… 고의 지연 업체, 입찰 제한 추진
노후 무궁화호 대체를 위해 도입 중인 ITX-마음 열차가 계약 물량의 3분의 2 이상 납품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계약을 따낸 업체의 반복적인 지연에도 실질적인 제재 수단이 없어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8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정준호 의원(더불어민주당·광주 북구갑)이 한국철도공사로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