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속초12.0℃
    구름조금11.2℃
    구름많음철원9.9℃
    구름조금동두천8.3℃
    맑음파주7.9℃
    맑음대관령5.0℃
    구름조금춘천11.4℃
    구름조금백령도7.5℃
    맑음북강릉11.4℃
    맑음강릉13.2℃
    맑음동해12.1℃
    맑음서울8.8℃
    맑음인천7.6℃
    맑음원주9.3℃
    맑음울릉도7.9℃
    맑음수원7.6℃
    구름조금영월9.0℃
    맑음충주9.7℃
    맑음서산7.5℃
    맑음울진10.3℃
    맑음청주10.6℃
    맑음대전9.3℃
    맑음추풍령9.1℃
    맑음안동11.2℃
    맑음상주10.5℃
    맑음포항13.5℃
    맑음군산8.8℃
    맑음대구13.1℃
    맑음전주9.2℃
    맑음울산12.4℃
    맑음창원13.6℃
    맑음광주10.9℃
    맑음부산11.7℃
    맑음통영12.0℃
    맑음목포10.0℃
    맑음여수12.4℃
    맑음흑산도8.8℃
    맑음완도10.3℃
    맑음고창8.1℃
    맑음순천9.6℃
    맑음홍성(예)7.8℃
    맑음9.9℃
    맑음제주13.2℃
    맑음고산11.8℃
    맑음성산11.3℃
    맑음서귀포12.3℃
    맑음진주9.8℃
    맑음강화7.2℃
    구름조금양평10.2℃
    맑음이천8.8℃
    구름조금인제10.5℃
    구름조금홍천10.9℃
    맑음태백5.6℃
    구름조금정선군8.5℃
    구름많음제천8.6℃
    맑음보은9.5℃
    맑음천안9.3℃
    맑음보령7.1℃
    맑음부여8.0℃
    맑음금산8.7℃
    맑음8.9℃
    맑음부안8.7℃
    맑음임실8.0℃
    맑음정읍8.6℃
    맑음남원9.7℃
    맑음장수7.3℃
    맑음고창군8.1℃
    맑음영광군8.6℃
    맑음김해시13.4℃
    맑음순창군9.4℃
    맑음북창원13.8℃
    맑음양산시12.6℃
    맑음보성군9.9℃
    맑음강진군10.7℃
    맑음장흥9.2℃
    맑음해남8.9℃
    맑음고흥11.0℃
    맑음의령군12.7℃
    맑음함양군10.5℃
    맑음광양시11.4℃
    맑음진도군8.5℃
    맑음봉화5.5℃
    맑음영주9.8℃
    맑음문경10.5℃
    맑음청송군10.0℃
    맑음영덕12.6℃
    맑음의성11.7℃
    맑음구미11.4℃
    맑음영천11.9℃
    맑음경주시11.9℃
    맑음거창9.4℃
    맑음합천13.0℃
    맑음밀양12.1℃
    맑음산청11.9℃
    맑음거제11.4℃
    맑음남해12.4℃
    맑음12.0℃
  • 최종편집 2025-04-14(월)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로 사용되는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추출물, 대두이소플라본 등 기능성 원료 9종에 대한 안전성과 기능성을 재평가하고 그 결과를 발표한다고 밝혔다.


NISI20221124_0001138141_web_20221124174655_20221124175105749.jpg
식약처 사진출처=식약처 누리집

 

재평가 원료는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추출물, 대두이소플라본, 구아바잎 추출물, 달맞이꽃종자 추출물, 레시틴, 헤마토코쿠스 추출물, 뮤코다당·단백, 영지버섯 자실체 추출물, 콜라겐펩타이드 총 9종이다.


2024년에는 이상사례 보고 등으로 안전성·기능성 평가가 필요한 원료(가르시니아캄보지아 추출물 등 2종)와 기능성 원료로 인정 후 10년이 경과한 원료(대두이소플라본 등 7종)를 대상으로 인정 당시의 안전성‧기능성 자료와 인정 이후 관련 정보를 종합적으로 재검토했다. 


재평가 결과,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추출물 제조업체 또는 소비자가 다른 ‘체지방 감소’ 기능성 원료와 함께 제조하거나 섭취하지 않도록 하는 제조·섭취 시 주의사항을 추가한다.


또한 원재료별 기능성과 안전성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레시틴’, ‘뮤코다당·단백’의 원재료 등 제조기준을 변경하고, ‘대두이소플라본’, ‘레시틴’, ‘헤마토코쿠스 추출물’ 및 ‘뮤코다당ˑ단백’의 일일섭취량 범위를 재설정한다.


아울러 재평가 결과 기능성이 확인되지 않은 ‘영지버섯자실체 추출물’을 기능성 원료에서 제외하고, 유해물질의 안전관리를 위해 ‘레시틴’의 납 규격을 2.0 ㎎/㎏ 이하에서 0.5 mg/㎏ 이하로 강화한다. 


 그 외 이번에 재평가한 기능성 원료의 이상사례 보고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이상사례 발생 시 섭취를 중단하고 전문가와 상담할 것’이라는 문구를 제품에 표시하도록 하고, 기능성 원료별로 민감할 수 있는 연령층, 알레르기 체질 등에 대한 섭취 시 주의해야 할 사항도 추가한다.


 참고로 식약처는 국민이 보다 안전하고 우수한 건강기능식품을 소비할 수 있도록 2017년부터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에 대한 재평가를 매년 실시하고 있으며, 작년까지 총 82개 원료에 대한 재평가 결과 81개 원료에 대해 기준‧규격을 개정하는 등 지속적으로 안전성‧기능성을 관리해 오고 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최신의 과학적 정보를 바탕으로 건강기능식품의 안전성과 기능성을 재평가하고, 그 결과를 건강기능식품의 기준‧규격에 반영하여 국민이 우수한 건강기능식품을 안심하고 소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태그

전체댓글 0

  • 84632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건기식 주요성분'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추출물 ‘섭취시 주의사항’ 추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
Home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5.01.07 10:07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