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일본, 올해도 노벨상 2관왕… 한국은 여전히 ‘노벨의 벽’ 앞에

  • 김세민 기자
  • 입력 2025.10.09 12:31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10월 초부터 이어진 2025년 노벨상 발표가 10일 평화상과 13일 경제학상만을 남겨두고 막바지에 접어들면서, 일본이 다시 한 번 ‘노벨 강국’의 위상을 확인했다.


KakaoTalk_20251009_104935283.jpg
노벨상 수상자에게 수여되는 메달.사진= AP연합뉴스

 

올해 일본에서는 사카구치 시몬(오사카대) 교수가 노벨 생리의학상을, 기타가와 스스무(교토대) 교수가 화학상을 수상하며 과학 분야에서 2관왕을 차지했다. 이로써 일본의 누적 노벨상 수상자는 31명에 이르렀다.


사카구치 교수는 면역체계가 자기 조직을 공격하지 않도록 조절하는 ‘면역 관용(immune tolerance)’의 핵심 원리를 규명했고, 기타가와 교수는 금속과 유기물이 결합한 다공성 소재인 ‘금속-유기 골격체(MOFs)’를 개발해 환경과 에너지 산업의 응용 가능성을 열었다.


두 연구는 산업적 성과보다는 순수 기초과학에 대한 장기적인 집중과 투자가 낳은 결과로, 일본의 오랜 연구 생태계 구축 노력이 결실을 맺은 사례로 평가된다.


반면 한국의 역대 노벨상 수상자는 여전히 단 두 명에 머물고 있다.


2000년 김대중 전 대통령이 한반도 평화 정책으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고, 2024년에는 한강 작가가 소설 ‘작별하지 않는다’로 노벨 문학상을 받았다.


과학 분야에서는 아직 수상자가 없다. 전문가들은 일본의 올해 성과가 기초과학에 대한 국가적 투자와 연구 환경의 지속성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다고 분석한다.


또한 한국도 단기성과 중심의 구조에서 벗어나 장기적 연구 지원, 젊은 연구자 보호, 안정적 실험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한편 일본 내부에서는 노벨상 수상 행진이 이어지는 와중에도 과학기술의 ‘산업화 한계’가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기초과학 분야의 성취는 여전히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이를 산업과 혁신으로 연결하는 능력은 미국이나 한국, 중국보다 뒤처졌다는 평가가 많다.


도쿄대와 교토대 등 주요 대학의 연구 성과가 실제 기업 기술로 이전되는 비율은 10%에도 미치지 못하며, 젊은 연구자들의 처우 악화와 연구비 경쟁 심화로 인해 우수 인재의 해외 유출이 가속화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이에 대해 국내 학계에서는 “일본의 노벨상 수상은 과거 수십 년간 이어진 꾸준한 기초연구 투자 덕분이며, 이러한 정책적 일관성이 결국 결실을 맺은 것”이라며 “한국도 지금부터 연구 생태계를 꾸준히 다져 나간다면 머지않아 충분히 세계적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먹튀주유소 5년간 675억 탈세… 실제 추징은 고작 1%”
  • 마사회, 마권 구매한도 ‘1회 10만원’ 위반 1만여건… 솜방망이 처분
  • 추석 선물, 중고로 팔았다가 ‘범법자’ 될 수도
  • 추석 명절 음식  칼로리 1위는?
  • K-뷰티 호황 속, 에이피알 원가보다 마케팅 비용이 더 크다고?
  • 명절 고속도로 사고 5년간 194건…“전방주시태만 가장 많아”
  • 해외 보이스피싱 급증, 범죄지 동남아 전역으로 확산
  • 강원랜드 ‘콤프’ 5,700억 원 지급, 불법 사용 속수무책
  • 새마을금고 금융사고 6년간 440억…임직원 제재공시 350건 넘어
  • 중소기업 돕는다더니…공공기관, ‘수수료 100억 챙기기’ 논란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일본, 올해도 노벨상 2관왕… 한국은 여전히 ‘노벨의 벽’ 앞에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