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좋은 거지?"
지난 16일, 용인 AMG 스피드웨이에서 열린 BYD SEAL Dynamic AWD(이하 ‘씰’) 시승회에 참가한 자동차 기자들에게서 나온 한결같은 반응이다. 중국차에 대한 선입견을 가지고 있었던 이들도, 막상 씰을 직접 몰아본 뒤엔 고개를 갸우뚱했다. ‘싼맛’이라는 고정관념을 단숨에 지워버릴 만큼, 차는 놀라운 완성도를 보여줬다.

이번 시승은 트랙·슬라럼·일반 국도 주행 등 3개 코스를 번갈아 체험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BYD 코리아가 굳이 AMG 스피드웨이라는 고성능 트랙을 택한 배경엔 ‘씰의 퍼포먼스를 자신 있게 보여주겠다’는 의지가 읽혔다.
기자는 지난해 중국 선전의 BYD 본사와 충칭 배터리 공장을 직접 둘러본 경험이 있다. 당시에도 블레이드 배터리의 안전성과 CTB(Cell-to-Body) 기술의 구조적 강건함에 깊은 인상을 받았지만, 양산차에 그 모든 기술이 체화된 모습은 ‘씰’을 통해 비로소 확인할 수 있었다.
바다에서 온 디자인, 면도날 같은 주행감

씰은 바다의 유려한 곡선을 본뜬 디자인이 시선을 잡아끈다. 특히 전면부의 낮고 날렵한 ‘Ocean X Face’는 마치 바다를 가르는 돌고래를 연상케 한다. 볼프강 에거가 이끈 BYD 글로벌 디자인팀은 이 모델을 통해 ‘중국차 디자인은 촌스럽다’는 편견을 정면으로 반박했다.
공기저항계수(Cd)는 0.219로, 전기차 중 최상위권이다. 이 수치는 단순한 수치가 아니다. 곧바로 제로백 3.8초(AWD 기준)라는 실주행 성능으로 이어진다. 기자가 직접 느낀 가속감은 고성능 스포츠카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었다. 코너를 돌아나갈 때의 밀림 없는 접지력, 가벼운 핸들링은 시승 내내 ‘전기차는 재미없다’는 인식을 무너뜨렸다.

트랙에서 증명한 퍼포먼스… 그리고 정숙성
슬라럼 구간에서는 주파수 가변 댐핑 서스펜션(FSD)이 빛을 발했다. 노면이 거친 곳을 지나도 충격은 말끔히 걸러졌다. 고속에서도 차체가 유연하게 반응하며 땅을 단단히 붙잡았다.
iTAC(지능형 토크 제어 시스템)은 예상보다 민감하게 개입해, 차량의 자세를 놀라울 정도로 정교하게 유지해줬다. 과거 ESP 수준이 아닌, 미세한 노면 슬립도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수준이다.
실내는 고급스럽고 단단했다. 전자식 기어노브는 물방울에서 영감을 받은 크리스털 스타일로, 감성 품질이 꽤 높다. 나파가죽 시트, 헤드레스트 일체형 스포츠 버킷 시트 등도 ‘가성비’가 아닌 ‘프리미엄’을 노렸다는 인상을 줬다.

특히 인상 깊었던 건 센터 디스플레이다. 버튼 한 번으로 가로·세로 회전이 가능한 12.8인치 터치 스크린은 BYD만의 ‘유저 중심 설계’가 돋보인 부분. 내비게이션은 세로로, 미디어는 가로로 최적화된 UI를 제공했다.
전장 4,800mm, 휠베이스 2,920mm의 중형 세단이지만, 배터리를 차체와 일체화한 CTB 기술 덕에 실내 공간 활용도는 동급 최고 수준이다. 뒷좌석은 다소 높은 바닥이 아쉽긴 하지만, 시트를 뒤로 젖히면 조수석은 거의 라운지석처럼 누울 수 있을 정도로 여유로운 공간이 펼쳐진다.

400L의 트렁크와 53L의 프렁크, 파노라믹 글라스 루프, 무선충전 듀얼 패드, 디지털 키, 티맵 내비게이션, 다인오디오 12스피커 사운드 시스템까지. 가격만 제외하면 “없는 게 없는 전기차”라는 말이 실감났다.
씰은 중국 전기차의 수준이 어디까지 왔는지 보여주는 대표작이다. 고성능 듀얼모터, 정교한 AWD 시스템, 첨단 ADAS, 안전도 최고등급까지. ‘성능’, ‘디자인’, ‘공간’, ‘안전’, ‘가격’ 어느 하나 빠지는 게 없다.
중국차에 대한 편견은 이제는 ‘무지’에 가까운 오류일지도 모른다. 씰은 '싸서 사는 차'가 아니라, '좋아서 사는 차'에 가까워지고 있다.
BEST 뉴스
-
[단독] 환율 미쳤다…미국 공항서 달러당 2100원에 거래 중
미국에서 1달러를 매입하려면 한화를 2000원 이상 지불해야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만큼 원화 가치가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일러스트=픽사베이 13일 미국 캘리포니아 현지 관계자에 따르면, 12일(현지시간) LA LAX공항 내부 환전소에서 교민들이 달러를 구입할 ... -
신길5동 지주택, 500억 횡령 의혹…조합원들 “10년 기다렸는데 빚더미”
서울 영등포구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조합장 장세웅)에 또다시 충격적인 의혹이 제기됐다.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 시위 현장 사진출처=지역주택조합 SNS 25일 JTBC 보도에 따르면 서울시가 파견한 공공 변호사와 회계사 실태조사에서 최소 500억 원 규모의 자금 유용 정황... -
올림픽대로 끝자락 ‘스테이지28’ 민간 표지판이 9개나?
서울 강동구 고덕동, 올림픽대로의 끝자락을 달리다 보면 눈에 띄는 표지판이 있다. KB뉴스영상 화면 갈무리 출처=KBS ‘3차로로 진입하세요’라는 안내 바로 옆에 ‘스테이지28 방향’이라는 글씨가 붙어 있다. 분기점에도, 진입로에도, 측도에도 같은 표지판이 반복된다. 세어보니 ... -
[단독] 삼성 갤럭시폰, 이미지 파일로 원격 해킹 가능?
반고흐 미술관의 오디오 가이드 기기로 사용되는 갤럭시 S25+를 사용하는 모습 사진=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의 갤럭시폰에서 제로데이 보안 취약점(CVE-2025-21043)이 확인됐다. 제로데이 공격은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을 때 그 문제의 존재 자체가 널리 공표되기도 전에 ... -
신원근 진학사 대표, 국감 증인 출석… ‘스타트업 기술탈취’ 의혹 도마에
신원근 진학사 대표가 22대 국회 국정감사 증인으로 출석해 중소기업 기술탈취 관련 질의를 받게 됐다. 29일 국회에 따르면 신 대표는 오는 10월 14일에 열리는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산자위)의 국정감사에 출석요구될 증인 명단에 포함됐다. 신원근 진학사 대표 사진출차=SNS ... -
국가AI전략위, ‘AI정부’ 전환 TF 출범…아토리서치 정재웅 대표 주목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정부 시스템이 마비된 사태 이후, 정부가 근본적 해결책 마련에 나섰다. 대통령 직속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위원장 이재명 대통령, 이하 위원회)는 29일 ‘AI 인프라 거버넌스·혁신 TF’ 구성을 공식화했다. 이 TF의 공동 리더로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 겸 CA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