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속초6.9℃
    맑음1.6℃
    맑음철원1.1℃
    맑음동두천4.0℃
    맑음파주1.2℃
    맑음대관령-2.8℃
    맑음춘천3.0℃
    박무백령도4.7℃
    맑음북강릉4.0℃
    맑음강릉6.3℃
    맑음동해3.9℃
    연무서울6.9℃
    박무인천6.0℃
    구름많음원주5.2℃
    맑음울릉도4.3℃
    박무수원4.2℃
    맑음영월3.8℃
    구름많음충주5.3℃
    맑음서산2.4℃
    맑음울진6.8℃
    연무청주7.2℃
    연무대전7.5℃
    구름많음추풍령4.3℃
    맑음안동3.4℃
    구름조금상주3.5℃
    맑음포항5.5℃
    맑음군산5.6℃
    맑음대구4.7℃
    박무전주7.5℃
    맑음울산3.8℃
    맑음창원6.0℃
    연무광주7.1℃
    맑음부산7.2℃
    맑음통영6.2℃
    박무목포4.9℃
    맑음여수8.1℃
    박무흑산도5.2℃
    맑음완도4.4℃
    맑음고창2.0℃
    맑음순천2.6℃
    박무홍성(예)5.3℃
    구름조금5.3℃
    맑음제주7.1℃
    구름많음고산8.4℃
    맑음성산6.7℃
    구름많음서귀포8.1℃
    맑음진주2.9℃
    맑음강화5.8℃
    구름많음양평5.5℃
    구름많음이천6.2℃
    맑음인제1.4℃
    구름많음홍천3.3℃
    맑음태백-0.6℃
    맑음정선군1.0℃
    맑음제천1.8℃
    맑음보은2.7℃
    구름많음천안4.0℃
    맑음보령2.9℃
    흐림부여7.0℃
    흐림금산7.5℃
    구름많음5.8℃
    맑음부안4.1℃
    흐림임실5.9℃
    구름많음정읍4.0℃
    구름많음남원6.3℃
    흐림장수6.5℃
    맑음고창군2.2℃
    맑음영광군3.5℃
    맑음김해시5.1℃
    구름조금순창군5.1℃
    맑음북창원6.4℃
    맑음양산시4.9℃
    구름많음보성군6.3℃
    맑음강진군3.1℃
    맑음장흥2.4℃
    맑음해남0.9℃
    구름조금고흥5.0℃
    맑음의령군3.8℃
    맑음함양군5.4℃
    맑음광양시7.2℃
    맑음진도군3.1℃
    맑음봉화-0.8℃
    맑음영주1.8℃
    맑음문경3.7℃
    맑음청송군-0.1℃
    구름조금영덕3.3℃
    맑음의성1.7℃
    맑음구미4.8℃
    맑음영천1.7℃
    맑음경주시1.5℃
    흐림거창5.4℃
    맑음합천5.8℃
    맑음밀양5.3℃
    맑음산청4.1℃
    맑음거제5.4℃
    맑음남해6.8℃
    맑음3.9℃
  • 최종편집 2025-04-03(목)
 

 혼자 살다 쓸쓸히 세상을 떠나 뒤늦게 발견된 이들이 지난해에만 3378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C0A8CA3C0000015F7FA9A84900018BE1.jpg
[제작 최자윤, 이태호] 일러스트 =연합뉴스 제공

 

해마다 9%가량씩 늘어난 것으로, 50∼60대 남성 사망자가 특히 많았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5년(2017∼2021년)의 고독사 발생 현황과 특징을 조사해 13일 '2022년 고독사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4월 시행된 '고독사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고독사 예방법)에 근거해 실시된 것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경찰청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경제적 문제, 사회와의 단절, 1인 가구 증가 등 여러 요인에 의해 갈수록 늘어난다고 추정되는 고독사 실태를 국가 차원에서 조사해 공식 통계를 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고독사 예방법에 따르면 '고독사'는 가족, 친척 등 주변 사람들과 단절된 채 홀로 사는 사람이 자살·병사 등으로 혼자 임종을 맞고 일정한 시간이 흐른 뒤 시신이 발견되는 죽음을 가리킨다.


이 정의에 부합하는 사망 사례는 2017년 2412건, 2018년 3천48건, 2019년 2천949건, 2020년 3279건, 지난해 3378건 등 총 1만5066건이었다. 지난 5년 사이 연평균 8.8%씩 증가했다.


지난해의 경우 전체 사망자 중 31만7680명 중 고독사가 차지하는 비율이 1.1%에 달했다. 사망자 100명 중 1명 이상이 쓸쓸한 죽음을 맞은 셈이었다.


이같은 고독사 증가세는 1인 가구 중심으로 가족 구조가 변화하고 주변 사람들과의 단절이 늘어나기 때문이라고 정부는 분석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인 가구는 전년보다 7.9% 증가해 전체 가구의 33.4%를 차지했다.


AKR20221214027300530_01_i_org.jpg
인포그래픽=연합뉴스

 

5년간 고독사 현황을 지역별로 보면 경기(3185명), 서울(2748명), 부산(1408명) 순으로 고독사가 많이 발생했고, 연평균 증가율이 높은 지역은 제주(38.4%), 대전(23.0%), 강원(13.2%), 전남(12.7%) 등이었다.


인구 10만명당 고독사 발생 건수는 지난해 기준으로 부산(9.8명), 대전(8.8명), 인천(8.5명), 충남(8.3명), 광주(7.7명) 순이었으며 전체 사망자 중 고독사 비중이 높은 지역은 대전(1.6%), 인천(1.5%), 부산·광주(이상 1.4%) 등이었다.


성별로는 남성 사망자가 여성보다 4배 이상 많았다. 지난해의 경우 남성 고독사 사망자(2천817명)가 여성(529명)의 5.3배였다.


연평균 고독사 증가율도 남성(10.0%)이 여성(5.6%)보다 높았다.


우리나라 전체 사망자 중엔 80대 이상 고령자의 비중이 가장 크지만, 고독사 사망자 중엔 50∼60대 중장년층이 매년 50∼60%를 차지했다. 지난해의 경우 50대 남성(26.6%)과 60대 남성(25.5%)이 전체의 절반 이상이었다.


20∼30대의 비중은 해마다 약 6.3∼8.4% 수준이다.


GYH2022121400060004400.jpg
인포그래픽=연합뉴스

 

고독사 발생 장소는 단독주택과 다세대주택, 빌라 등을 포함한 주택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아파트와 원룸 순이었다.


고독사 최초 발견자는 지난해 기준 형제·자매 22.4%, 임대인 21.9%, 이웃 주민 16.6%, 지인 13.6% 순으로 많았으며, 택배기사나 경비원, 직장 동료 등이 발견하고 신고하는 경우도 있었다.


고독사 중 극단적 선택으로 인한 사망의 비중은 매년 16.5∼19.5% 수준이다. 연령이 낮을수록 비중이 높아 20대 고독사의 절반 이상은 자살로 인한 것이었다.


복지부는 "50∼60대 남성에 대한 고독사 예방 서비스가 시급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이들은 건강관리와 가사노동에 익숙지 못하며 실직·이혼 등으로 삶의 만족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연령대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청년층에 대한 고독사 예방 정책은 정신·심리지원 등 자살 예방 정책과 적극적인 연계·추진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정부는 이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미애 의원실과 함께 국회에서 사회적 고립 및 고독사 예방을 위한 공청회를 열고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날 수렴된 의견 등을 바탕으로 고독사 예방·관리를 위한 5개년 기본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태그

전체댓글 0

  • 19685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국내 고독사 실태조사...작년에만 3378명 '쓸쓸한 죽음'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
Home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2.12.14 15:14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