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속초4.8℃
    맑음5.3℃
    맑음철원5.1℃
    맑음동두천6.3℃
    맑음파주4.0℃
    맑음대관령-0.7℃
    맑음춘천6.2℃
    맑음백령도4.6℃
    맑음북강릉4.1℃
    맑음강릉5.9℃
    맑음동해6.0℃
    맑음서울7.8℃
    맑음인천7.0℃
    맑음원주6.6℃
    맑음울릉도4.8℃
    맑음수원5.4℃
    구름조금영월8.2℃
    구름조금충주8.0℃
    맑음서산3.1℃
    구름많음울진6.2℃
    맑음청주8.6℃
    구름조금대전8.9℃
    맑음추풍령5.6℃
    맑음안동6.9℃
    맑음상주6.5℃
    맑음포항8.0℃
    맑음군산6.4℃
    맑음대구7.5℃
    흐림전주8.5℃
    맑음울산6.2℃
    맑음창원7.9℃
    맑음광주8.5℃
    맑음부산7.9℃
    맑음통영8.0℃
    맑음목포6.5℃
    맑음여수9.6℃
    맑음흑산도5.1℃
    맑음완도5.6℃
    맑음고창5.5℃
    맑음순천4.8℃
    맑음홍성(예)5.0℃
    맑음6.2℃
    맑음제주7.4℃
    구름많음고산7.8℃
    맑음성산7.3℃
    맑음서귀포9.3℃
    맑음진주5.5℃
    맑음강화3.9℃
    맑음양평8.1℃
    맑음이천7.8℃
    맑음인제5.4℃
    맑음홍천6.7℃
    구름많음태백4.1℃
    맑음정선군5.0℃
    구름많음제천6.0℃
    맑음보은6.8℃
    맑음천안5.5℃
    맑음보령3.7℃
    맑음부여6.9℃
    구름조금금산8.0℃
    구름조금7.6℃
    흐림부안7.6℃
    맑음임실7.3℃
    맑음정읍6.4℃
    구름조금남원8.9℃
    흐림장수7.9℃
    맑음고창군5.0℃
    맑음영광군5.0℃
    맑음김해시6.7℃
    맑음순창군7.6℃
    맑음북창원8.7℃
    맑음양산시7.1℃
    맑음보성군4.8℃
    맑음강진군5.7℃
    맑음장흥4.6℃
    맑음해남4.1℃
    구름많음고흥4.1℃
    맑음의령군7.2℃
    구름많음함양군8.7℃
    맑음광양시9.1℃
    맑음진도군3.2℃
    맑음봉화3.1℃
    맑음영주6.3℃
    맑음문경6.5℃
    맑음청송군2.7℃
    구름조금영덕5.3℃
    맑음의성4.9℃
    맑음구미9.8℃
    맑음영천4.7℃
    맑음경주시4.0℃
    구름많음거창7.4℃
    구름조금합천8.8℃
    맑음밀양7.6℃
    구름조금산청7.9℃
    맑음거제8.7℃
    맑음남해6.9℃
    맑음6.5℃
  • 최종편집 2025-04-03(목)
 


12.jpg
블랙스완이 나타났다는 의미는 예측하지 못한 돌발상황을 일컫는 경제 용어로 사용된다.

 

[이호준의 경제 토크]경제 위기 속의 등장한 동물은 불길한 징조?

 

예상못할 충격적인 돌방상황이나 사건을 말할 때 ‘블랙스완이 나타났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IMF 사태와 같은 경우도 해당했다.

17세기 말까지 수천년 동안 유럽인들은 모든 백조는 희다고 생각해왔으나 네덜란드의 한 탐험가가 흑고니를 발견한 후 일반적인 통념이 깨지는 충격을 받은 데서 유래한다. 

경험이나 예측을 벗어난 극단적 상황이 일어나는 일을 말한다. 이 용어는 월가 투자전문가인 나심 니콜라스 탈레브가 그의 저서 '검은 백조(The black swan)'을 통해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예언하면서 두루 쓰이게 됐다.

갑작스런 상황이 벌어졌을 때 ‘블랙스완이 나타났다’라고 한다면. 오랫동안 위험을 경고하며 예측이 가능한 상황을 말 할 때 ‘회색코뿔소가 온다’라고 말한다.

미국의 정치·경제 분야 싱크탱크인 세계정책연구소를 이끄는 미셸 부커는 지난 2013년 1월 다보스포럼에서 이 개념을 처음 발표했다.
 
KakaoTalk_20200219_192007332.jpg
회색코뿔소는 예측가능하지만 간과하게 되는 위험을 의미한다.

 

‘회색 코뿔소’란 '개연성이 높고 그것이 미칠 충격이 엄청난 위험을 상징'하며 “당연히 알아채야 하지만 자주 놓치는 위험 혹은 보고도 못 보는 척하는 위험'이다. 

코뿔소는 사람을 몹시 경계하는 습성이 있는 만큼, 그 접근은 당연히 경계 대상이다. 하지만 코를 비비거나 꼬리를 흔드는 등의 행동을 친근감의 표현이라고 기대한다면 착각이다. 

코뿔소의 접근은 오로지 공격으로 이어질 뿐이니 가까이 다가온다고 느껴지면 멀찌감치 피해야 한다.

미셸 부커는 “코뿔소는 이름이 흰 코뿔소든 검은 코뿔소든 혹은 수마트라 코뿔소든 자바 코뿔소든 인도 코뿔소든 모두 회색”이라고 말했다.
 
풀어보면 정치·경제·인권·군사·환경 등 어떤 영역에서 어떤 색깔로 출현하든 코뿔소가 주는 충격은 대단하다는 경고다.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맞은 미국은 사실상 국가부도를 맞았다. 그 이후의 경제 재건 방법은 양적완화(달러를 시중에 푸는 정책)였다. 제로금리로 달러를 마구 풀자 브라질, 아르헨티나, 중국 같은 신흥국들은 그 달러를 빌려갔다.

신흥국들은 정경유착의 부패고리가 깊었던 터라 인프라나 공공재정에 쓰기보다는 돈놀이에 탕진했다.

당시 중국의 일부 국영기업들은 기업의 특성상 싼 이자를 주고 빌린 돈을 일반인들에게 고금리로 대출해주는 황당한 비즈니스까지했다고 전해진다.

그리고 그 돈은 결국 부동산으로 흘러들어가 투기세력들의 돈놀이 파티로 변화 했던 것이다. 세계의 공장이었던 중국의 인건비는 결국 오르기 시작했고 많은 공장들이 문을 닫고 중국을 떠났다.

그러니 중국의 성장동력은 멈춰 서기 시작했던 것. 중국과 신흥국들의 경제성장은 미국에서 풀어준 달러를 가지고 돈놀이를 해 유지 됐었던 버블이었다. 

2013년 제네바 리포트, 2016년 IMF 에서는 이들 신흥국의 달러 만기도래에 관해 경고를 날리기 시작했다. 미국의 금융회사들을 통해 경기가 살아난 미국은 그 달러를 회수할 시기가 온 것이었다.

경제 전문가들은 눈앞에 회색 코뿔소가 나타났다고 경고를 하기 시작 했지만 그들은 아직도 멀었다며 눈을 감아 버렸다.

아르헨티나정부가 달러유출을 막는 자본통제에 들어갔고 거기에다 콜롬비아의 하이퍼 인플레이션, 터키의 금융위기도 이 상황과 퀘를 같이 한다.

최근 중국은 자국 여행객들을 통제하면서 달러의 유출을 막고 있었던 상황이다. 미국과의 무역전쟁으로 피로감이 높은 상태였다. 그러다가 코로나19로 카운터펀치를 맞은 상태다.
 
어찌 보면 ‘회색코뿔소가 온다’는 경고와 예측기사를 사람들은 수차례 들었지만 의외로 무방비 상태에 일상을 살아간다. ‘블랙스완’이든 ‘회색코불소’든 동물이 들어간 경제학 용어는 왠지 불길한 내용들이다.
 
이번  중국의 우한에서 전파된 코로나19가 박쥐와 천산갑에서 유래되었다하니 이 동물들도 향후 불길한 경제상황을 설명하는 또하나의 사례로 인용될수도 있지 않을까?
 


11111.jpg

이호준 칼럼리스트
태그

전체댓글 1

  • 54786
심재미

경제이야기는 어렵긴 해도
코로나19로 요즘 경제가 어려운 상황을 잘 비유해 주셨네요.
유익하게 잘 읽었습니다.

댓글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이호준의 문화ZIP] 경제용어에 동물이름이 등장하면 위험의 징조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
Home
댓글 1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0.02.19 22:58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