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속초4.4℃
    맑음2.7℃
    맑음철원1.9℃
    맑음동두천4.0℃
    맑음파주1.1℃
    맑음대관령-1.6℃
    맑음춘천3.5℃
    구름조금백령도7.2℃
    맑음북강릉6.7℃
    맑음강릉6.2℃
    맑음동해5.0℃
    맑음서울7.2℃
    맑음인천5.9℃
    맑음원주5.6℃
    맑음울릉도5.8℃
    맑음수원4.9℃
    맑음영월4.0℃
    맑음충주4.5℃
    맑음서산1.9℃
    맑음울진2.8℃
    맑음청주8.3℃
    맑음대전6.2℃
    맑음추풍령3.5℃
    맑음안동5.0℃
    맑음상주4.9℃
    맑음포항6.9℃
    맑음군산3.8℃
    맑음대구6.9℃
    맑음전주6.3℃
    맑음울산5.7℃
    맑음창원6.9℃
    맑음광주7.6℃
    맑음부산7.4℃
    맑음통영6.2℃
    맑음목포5.8℃
    맑음여수8.0℃
    맑음흑산도6.4℃
    맑음완도6.1℃
    맑음고창1.5℃
    맑음순천1.0℃
    맑음홍성(예)2.6℃
    맑음3.5℃
    맑음제주8.8℃
    맑음고산9.2℃
    맑음성산7.8℃
    맑음서귀포9.8℃
    맑음진주1.8℃
    맑음강화2.0℃
    맑음양평5.9℃
    맑음이천5.9℃
    맑음인제2.0℃
    맑음홍천3.8℃
    맑음태백-1.7℃
    맑음정선군1.6℃
    맑음제천1.4℃
    맑음보은2.6℃
    맑음천안3.4℃
    맑음보령1.8℃
    맑음부여3.6℃
    맑음금산3.7℃
    맑음5.0℃
    맑음부안4.0℃
    맑음임실1.3℃
    맑음정읍3.1℃
    맑음남원3.5℃
    맑음장수0.7℃
    맑음고창군2.7℃
    맑음영광군3.0℃
    맑음김해시7.0℃
    맑음순창군2.8℃
    맑음북창원7.9℃
    맑음양산시7.6℃
    맑음보성군3.4℃
    맑음강진군3.3℃
    맑음장흥1.3℃
    맑음해남1.2℃
    맑음고흥1.6℃
    맑음의령군2.7℃
    맑음함양군2.0℃
    맑음광양시7.7℃
    맑음진도군1.8℃
    맑음봉화-1.1℃
    맑음영주3.0℃
    맑음문경5.3℃
    맑음청송군0.1℃
    맑음영덕2.8℃
    맑음의성2.1℃
    맑음구미4.2℃
    맑음영천2.5℃
    맑음경주시2.2℃
    맑음거창2.6℃
    맑음합천4.1℃
    맑음밀양3.1℃
    맑음산청3.7℃
    맑음거제5.4℃
    맑음남해6.2℃
    맑음8.5℃
  • 최종편집 2025-04-01(화)
 

지공거사(地空居士)라는 말이 있다. 지하철을 공짜로 타고 다니는 노인을 일컫는 말이다. 


Screenshot 2023-10-16 at 16.40.29.JPG
지하철 종로3가역 개찰구. 사진=연합뉴스

 

우리나라에선 65세 이상이 되면 지하철 무료 승차 혜택을 제공한다. 노인을 위한 특별한 복지혜택이다보니 지난 9월 미국 일간지 뉴욕타임스(NYT)에서 자세히 조명하기도 했다.


NYT는 지난달 23일(현지시간)자 지면에 "나이 든 지하철 탑승자들이 여행에서 기쁨을 찾는다"는 제목의 서울발 기사를 '지공거사'들의 일상을 담아냈다. 


8월의 어느 날 85세 이진호 씨는 집 근처 4호선 수유역에서 지하철을 타고 1차례 환승해 1시간여 만에 1호선 종점인 소요산역에 도착했다. 이씨는 역 근처를 거닐다 그늘에서 잠시 휴식을 취한 뒤 다시 남쪽으로 향하는 열차에 올라탔다.


이씨는 시간을 때우는데 공짜 지하철 타기만큼 좋은 것이 없다며 "집에 있으면 지루하고 누워만 있게 된다"고 전했다. 


NYT는 많은 노인이 이씨처럼 지하철을 타고 종착역까지 가거나 혹은 특별한 목적지 없이 다니다 집에 돌아오며 하루를 보낸다고 전했다.


지공거사에게 지하철은 특별한 교통수단이다. 지하철은 무더운 여름을 시원하게 보낼 수 있는 피서지이기도 하고 가고 싶은 곳에 무료로 다닐 수 있는 이동수단이기도 하다. 무료 지하철은 '오아시스'이며 또 다른 이에겐 '휴식처'같은 곳이다. 무덥거나 추운 날씨일 경우 지하철은 폭염과 혹한으로부터의 피난처가 된다. 


Screenshot 2023-10-16 at 16.40.21.JPG
지하철 개찰구. 사진=픽사베이

 

국내 노인 인구가 증가하면서 서울 지하철 무료승차 대상은 연간 승객의 15%를 차지하고 있다.


지하철 이용객의 15%를 차지하는 노인들에게 무료로 지하철을 이용하는 사람이라는 '지공거사(地空居士)'라는 별명이 생길 정도로 사회적 관심은 커졌다.  


관심만큼 '지공거사'들은 나름 민폐를 끼치지 않기 위한 에티켓을 가지고 있다. 사람들이 몰리는 출퇴근 시간대는 피한다거나 젊은 사람들이 앉아 있을 경우 자리 양보에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그 앞에 서있지 않아야 한다. 


그럼에도 해마다 지하철공사가 적자로 시름하고 있기 때문에 노인 무료 승차를 폐지하거나 기준 연령을 올려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노인 빈곤율이 일본이나 미국의 두배에 달하는 우리나라에서 지하철 1회 요금 1500원은 상당한 비용으로 여겨진다. 


지난 2월 서울시 관련 토론회에서 김호일 대한노인회장은 노인들이 지하철 무료 승차를 이용해 활동을 계속하게 되면 국가적으로 의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며 지하철 무료 승차의 간접적인 효과를 강조했다. 지공거사 중 누군가에게는 지하철이 '헬스장'일 수도 있다.  


살다보면 언젠가는 누구나 노인이 된다. '지공거사'에 대한 논란은 지속되겠지만 '적자경영'을 해소하기 위한 목표에만 집착하지 말고 세대갈등보다는 사회적 합의를 통해 슬기롭게 해결해 나갔으면 한다.   

전체댓글 0

  • 52038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외신이 주목한 '지공거사', "민폐를 끼치지 않기 위한 에티켓 있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
Home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3.10.16 16:40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