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속초3.7℃
    맑음1.8℃
    맑음철원0.5℃
    맑음동두천3.7℃
    맑음파주-0.4℃
    맑음대관령-2.5℃
    맑음춘천3.1℃
    구름조금백령도6.1℃
    맑음북강릉4.5℃
    맑음강릉5.5℃
    맑음동해5.3℃
    맑음서울6.9℃
    맑음인천5.8℃
    맑음원주4.1℃
    맑음울릉도5.7℃
    맑음수원4.1℃
    맑음영월2.3℃
    맑음충주3.7℃
    맑음서산1.9℃
    맑음울진2.1℃
    맑음청주7.4℃
    맑음대전5.8℃
    맑음추풍령2.3℃
    맑음안동2.6℃
    맑음상주4.6℃
    맑음포항6.1℃
    맑음군산2.8℃
    맑음대구5.5℃
    맑음전주5.8℃
    맑음울산6.2℃
    맑음창원6.1℃
    맑음광주6.7℃
    맑음부산7.0℃
    맑음통영5.9℃
    맑음목포5.1℃
    맑음여수7.5℃
    맑음흑산도6.7℃
    맑음완도4.7℃
    맑음고창0.7℃
    맑음순천0.1℃
    맑음홍성(예)1.6℃
    맑음3.4℃
    맑음제주8.4℃
    맑음고산9.4℃
    맑음성산7.7℃
    맑음서귀포9.9℃
    맑음진주0.9℃
    맑음강화1.1℃
    맑음양평4.7℃
    맑음이천4.0℃
    맑음인제1.2℃
    맑음홍천2.9℃
    맑음태백-2.3℃
    맑음정선군0.6℃
    맑음제천0.4℃
    맑음보은2.1℃
    맑음천안2.3℃
    맑음보령1.8℃
    맑음부여2.4℃
    맑음금산2.8℃
    맑음4.3℃
    맑음부안2.9℃
    맑음임실0.4℃
    맑음정읍2.6℃
    맑음남원2.7℃
    맑음장수-0.3℃
    맑음고창군2.1℃
    맑음영광군2.2℃
    맑음김해시6.5℃
    맑음순창군1.3℃
    맑음북창원6.6℃
    맑음양산시6.7℃
    맑음보성군2.4℃
    맑음강진군2.8℃
    맑음장흥0.7℃
    맑음해남0.5℃
    맑음고흥0.8℃
    맑음의령군1.0℃
    맑음함양군0.9℃
    맑음광양시7.9℃
    맑음진도군0.7℃
    맑음봉화-2.1℃
    맑음영주1.7℃
    맑음문경4.4℃
    맑음청송군-1.0℃
    맑음영덕2.6℃
    맑음의성1.2℃
    맑음구미3.3℃
    맑음영천1.6℃
    맑음경주시1.5℃
    맑음거창1.5℃
    맑음합천2.9℃
    맑음밀양2.7℃
    맑음산청2.5℃
    맑음거제4.3℃
    맑음남해6.3℃
    맑음7.0℃
  • 최종편집 2025-04-01(화)
 

교수들이 뽑은 2023년 올해의 사자성어는 ‘견리망의(見利忘義)’다. 교수신문에 따르면 '견리망의'는 ‘이로움을 보자 의로움을 잊다’라는 뜻으로 전국 대학교수 1,315명 중 30%인 396명이 선택해 1위를 차지했다. 


Screenshot 2023-12-10 at 14.28.14.JPG
견리망의를 추천한 김병기 교수가 직접 쓴 '견리망의'. 사진=교수신문

 

견리망의는 김병기 전북대 명예교수(중어중문학과)가 추천했다. 김 명예교수는 “오늘 우리나라의 정치인은 바르게 이끌기보다 자신이 속한 편의 이익을 더 생각하는 것 같다”라며 “출세와 권력이라는 이익을 얻기 위해 자기편에게 이로운 방향으로 정책을 입안하고 시행한 경우로 의심되는 사례가 적잖이 거론되고 있다”고 추천 이유를 밝히면서 "견리망의가 난무해 나라 전체가 마치 각자도생의 싸움판이 된 것 같다"고 덧붙였다.


견리망의를 선정한 교수들은 대통령의 친인척과 정치인들이 이익 앞에 떳떳하지 못하고, 고위공직자의 개인 투자와 자녀 학교 폭력에 대한 대응, 개인의 이익을 핑계로 가족과 친구도 버리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고 꼬집었다.


김 교수는 분양사기, 전세사기, 보이스 피싱, 교권침해 등에 대해 “나만 잘 살면 된다는 생각이 정당화되다시피 해 씁쓸한 사기 사건도 많이 일어났다”고 세태를 비판했다. 이어 “당장 내 아이의 편익을 위해 다른 아이나 선생님의 피해를 당연시하는 사건들이 많이 보도됐다"면서 "아이들에게 당장 눈앞의 점수나 이익을 위해 사람의 도리를 뒤로하라고 가르치고 있지는 않은지 생각해 봐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견리망의를 선택한 한 교수는 대통령의 친인척과 정치인들이 이익 앞에 떳떳하지 못하고, 고위공직자의 개인 투자와 자녀 학교 폭력에 대한 대응, 개인의 이익을 핑계로 가족과 친구도 버리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며 선정 이유를 전했다.


이번 올해의 사자성어 설문에서 ‘적반하장(賊反荷杖)’이 335표(25.5%)를 얻어 2위를 차지했다. 적반하장은 ‘도둑이 도리어 매를 든다’는 말로 이승환 고려대 명예교수(동양철학)가 추천했다. 이 교수는 “국제외교 무대에서 비속어와 막말해 놓고 기자 탓과 언론 탓, 무능한 국정운영의 책임은 언제나 전 정부 탓, 언론자유는 탄압하면서 기회만 되면 자유를 외쳐대는 자기 기만을 반성해야 한다”라고 현 정부를 정면비판했다. 


3위를 차지한 ‘남우충수(濫竽充數)’는 ‘피리를 불 줄도 모르면서 함부로 피리 부는 악사들 틈에 끼어 인원수를 채운다’는 뜻으로 323표(24.6%)를 얻었다. 남우충수를 추천한 김승룡 부산대 교수(한문학과)는 “실력 없는 사람이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것을 비유한 것”이라며 “속임수는 결국 자기 자신을 해롭게 할 뿐”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에는 '잘못하고도 고치지 않는다'라는 뜻의 '과이불개'(過而不改)를 올해의 사자성어로 선정된 바 있다. 

태그

전체댓글 0

  • 15774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올해 사자성어 '견리망의(見利忘義)'...이로움을 보자 의로움을 잊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
Home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3.12.10 14:25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