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속초8.1℃
    비6.4℃
    흐림철원7.7℃
    흐림동두천6.1℃
    흐림파주6.5℃
    구름많음대관령2.5℃
    흐림춘천7.3℃
    구름많음백령도5.7℃
    흐림북강릉8.3℃
    흐림강릉9.3℃
    흐림동해8.9℃
    흐림서울9.1℃
    구름많음인천7.5℃
    흐림원주7.2℃
    구름많음울릉도7.5℃
    흐림수원8.4℃
    흐림영월5.3℃
    흐림충주7.2℃
    흐림서산7.2℃
    구름많음울진8.9℃
    흐림청주8.5℃
    구름많음대전9.0℃
    흐림추풍령5.4℃
    흐림안동11.0℃
    흐림상주6.0℃
    구름많음포항9.5℃
    구름조금군산7.9℃
    비대구8.6℃
    흐림전주8.9℃
    흐림울산8.5℃
    비창원10.8℃
    구름조금광주9.9℃
    구름많음부산9.6℃
    구름많음통영10.4℃
    맑음목포8.4℃
    맑음여수11.1℃
    맑음흑산도8.1℃
    맑음완도9.1℃
    구름조금고창7.5℃
    맑음순천8.1℃
    구름많음홍성(예)7.3℃
    흐림8.9℃
    맑음제주11.4℃
    맑음고산10.4℃
    구름조금성산9.8℃
    맑음서귀포12.2℃
    구름많음진주10.7℃
    흐림강화6.8℃
    흐림양평7.3℃
    흐림이천5.2℃
    흐림인제6.6℃
    흐림홍천8.4℃
    구름많음태백5.2℃
    흐림정선군5.7℃
    흐림제천5.4℃
    구름많음보은6.5℃
    흐림천안7.9℃
    구름많음보령7.6℃
    구름조금부여7.2℃
    구름많음금산8.6℃
    구름조금7.9℃
    구름많음부안8.6℃
    구름많음임실7.9℃
    구름많음정읍8.2℃
    구름많음남원9.0℃
    맑음장수6.5℃
    맑음고창군8.3℃
    맑음영광군8.6℃
    흐림김해시10.1℃
    맑음순창군7.7℃
    구름많음북창원11.5℃
    구름많음양산시11.1℃
    맑음보성군9.4℃
    맑음강진군9.8℃
    맑음장흥8.0℃
    맑음해남8.5℃
    맑음고흥9.6℃
    구름많음의령군12.4℃
    구름조금함양군9.7℃
    맑음광양시10.4℃
    맑음진도군6.0℃
    흐림봉화8.0℃
    흐림영주9.4℃
    흐림문경6.7℃
    흐림청송군8.1℃
    구름많음영덕7.4℃
    구름많음의성10.6℃
    흐림구미8.5℃
    흐림영천9.3℃
    흐림경주시10.0℃
    구름많음거창9.2℃
    흐림합천13.0℃
    흐림밀양11.8℃
    구름조금산청9.6℃
    흐림거제10.7℃
    맑음남해11.7℃
    구름많음11.0℃
  • 최종편집 2025-04-02(수)
 

최근 모바일 앱을 통해 광고를 보거나 특정 미션을 수행하면 금전적 보상을 해주는 이른바 앱테크가 유행함에 따라 금융 앱도 소비자 락인(Lock-in) 효과를 위해 앱테크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다.


apps-2558373_640.jpg
이미지=픽사베이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이 주요 금융 앱 9곳의 앱테크 서비스를 조사한 결과, 적립한 포인트의 계좌 입금이 불가하거나 계좌 입금 시 수수료를 공제하는 사례가 확인됐다. 또한, 미션 수행 과정에서 제공해야 하는 개인정보가 지나치게 많은 경우가 있어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소비자원이 조사한 금융 앱 9곳은 신한 SOL뱅크, 신한 SOL페이, 카카오뱅크, 카카오페이, 토스, 페이북, 하나머니, KB PAY, monimo이며 선정기준은 월간활성이용자수(MAU) 1백만 이상인 금융 앱 중 ‘출석체크’ 및 ‘보상형 광고’ 앱테크 유형이 모두 탑재된 앱이 대상이다.


금융 앱을 통한 앱테크 경험이 있는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앱테크를 통해 한 달 평균 6,947포인트를 적립하고, 응답자의 73.5%는 적립한 포인트를 은행 계좌로 송금해 현금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태조사 결과, 조사대상 9곳 모두 앱테크로 적립한 포인트를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으나 그 정도에는 차이가 있었다. 9곳 중 8곳은 은행 계좌로 포인트 송금이 가능하고, 1곳(카카오페이)은 불가능했다. 그리고 계좌 송금이 가능한 8곳 중 1곳(토스)은 수수료(10%)를 공제했다.


이에 대해 소비자원은 카카오페이는 온·오프라인 쇼핑, 편의점, 백화점 등 다양한 결제처에서 현금처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충분한 결제처를 확보하고 활용성을 보장한다고 회신해 왔으며 토스도 포인트를 활용한 대금 결제 시에는 수수료를 공제하지 않고 있음을 회신해왔다고 밝혔다.


적립한 포인트의 유효기간의 약관을 살펴본 결과, 9곳 중 8곳은 5년 이상이나, 1곳(카카오페이)은 1년으로 정하고 있었다. 유효기간이 있는 8곳 모두 소비자에게 유효기간 도래를 개별 안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카오페이 약관에서는 포인트 유효기간을 1년으로 표시하고 있으나, 참여 미션에 따라 포인트 유효기간을 달리 부여(1년~5년)하고 있으며, 상당수의 유효기간이 5년임을 밝혔다.


☐ 일부 보상형 광고는 요구하는 개인정보가 많을 수 있어 주의해야

  

금융 앱을 통한 앱테크 유형으로는 앱에 접속하면 보상받는 ‘출석체크’, 특정 걸음 수를 충족하면 보상받는 ‘만보기’, 광고 보기 등 미션을 충족하면 보상받는 ‘보상형 광고’가 대표적이다.


보상형 광고 대행 업체와 앱(플랫폼)이 계약을 체결하고, 이용자는 보상형 광고에서 요구하는 미션(광고 시청, 앱 다운로드, 보험 가입 등)을 수행하여 보상받는 방식이다.


조사대상 금융 앱의 보상형 광고 유형 중 ‘무료체험 신청’ 및 ‘포인트·환급금 조회‘ 미션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최소 5개에서 최대 52개의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설문 결과, 소비자들은 개인정보 제3자 제공에 동의하는 앱테크 미션 수행 시 제공하는 개인정보 수를 평균 5.7개로 인식하고 있어 실제와 차이가 컸다.

  

한편, 개인정보 제공 등에 동의해야 이용할 수 있는 앱테크 서비스 13개 중 10개(76.9%)는 앱에서도 동의 철회가 가능하나, 3개(21.1%)는 앱에서 동의 철회가 불가했다. 소비자가 손쉽게 앱에서 동의 철회가 가능토록 절차 마련이 필요하다.


☐ 이용자 만족도, ’적립 포인트 수준‘과 ’개인정보 제공 동의‘에서 낮아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42.8%(428명)는 앱테크 이용 과정에서 불만이 있다고 응답했다. 주요 불만으로는 ’포인트 사용이 다소 제한적‘(207명), ’이전보다 더 많은 광고 문자, 전화 등을 받음‘(183명), ’지나치게 많은 개인정보를 요구함‘(174명) 등이었다. 항목별 만족도는 ‘시간·노력 대비 적립되는 포인트 수준’(2.7점), ‘개인정보 제공 동의’(2.5점)가 낮게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조사대상 사업자에게 ▲포인트 이용 방법을 소비자 지향적으로 개선할 것과 ▲개인정보 제공 동의에 대한 철회 절차를 마련할 것 등을 권고했다"면서 "소비자에게는 포인트 적립을 위한 미션 수행 과정에서 인식하고 있는 수준보다도 더 많은 개인정보를 제공해야 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주의를 요한다"고 당부했다.

태그

전체댓글 0

  • 33254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금융 앱테크 이용 실태조사해보니 …이용 방법 등 개선 필요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
Home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4.07.30 15:01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