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조금속초5.4℃
    맑음4.9℃
    맑음철원3.1℃
    맑음동두천6.1℃
    맑음파주2.4℃
    구름조금대관령0.6℃
    맑음춘천6.2℃
    맑음백령도6.8℃
    구름조금북강릉6.7℃
    구름조금강릉8.4℃
    맑음동해6.4℃
    맑음서울8.7℃
    맑음인천6.7℃
    맑음원주7.2℃
    맑음울릉도5.8℃
    맑음수원5.8℃
    맑음영월6.6℃
    맑음충주7.1℃
    맑음서산3.5℃
    맑음울진4.1℃
    맑음청주10.1℃
    맑음대전8.4℃
    맑음추풍령6.0℃
    맑음안동7.2℃
    맑음상주8.6℃
    맑음포항7.8℃
    맑음군산5.3℃
    맑음대구8.3℃
    맑음전주8.0℃
    맑음울산6.9℃
    맑음창원8.9℃
    맑음광주9.4℃
    맑음부산8.3℃
    맑음통영8.0℃
    맑음목포6.2℃
    맑음여수8.6℃
    맑음흑산도6.1℃
    맑음완도6.8℃
    맑음고창3.1℃
    맑음순천3.1℃
    맑음홍성(예)4.1℃
    맑음7.3℃
    맑음제주9.6℃
    맑음고산9.7℃
    맑음성산8.5℃
    맑음서귀포10.8℃
    맑음진주4.3℃
    맑음강화2.3℃
    맑음양평8.0℃
    맑음이천7.2℃
    맑음인제4.0℃
    구름조금홍천6.2℃
    맑음태백0.1℃
    맑음정선군4.3℃
    맑음제천3.3℃
    맑음보은4.5℃
    맑음천안6.0℃
    맑음보령3.5℃
    맑음부여4.5℃
    맑음금산6.1℃
    맑음7.6℃
    맑음부안5.0℃
    맑음임실3.6℃
    맑음정읍4.9℃
    맑음남원5.3℃
    맑음장수2.0℃
    맑음고창군3.9℃
    맑음영광군3.7℃
    맑음김해시8.4℃
    맑음순창군4.8℃
    맑음북창원9.1℃
    맑음양산시8.7℃
    맑음보성군3.5℃
    맑음강진군5.1℃
    맑음장흥3.3℃
    맑음해남2.9℃
    맑음고흥3.1℃
    맑음의령군4.5℃
    맑음함양군4.1℃
    맑음광양시7.7℃
    맑음진도군3.3℃
    맑음봉화1.0℃
    맑음영주3.9℃
    맑음문경6.8℃
    맑음청송군2.0℃
    맑음영덕3.6℃
    맑음의성4.9℃
    맑음구미10.5℃
    맑음영천4.7℃
    맑음경주시3.7℃
    맑음거창4.2℃
    맑음합천6.6℃
    맑음밀양5.6℃
    맑음산청6.2℃
    맑음거제6.5℃
    맑음남해7.3℃
    맑음8.1℃
  • 최종편집 2025-04-01(화)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이하 ‘OTT’) 이용률이 매년 증가하면서 관련 소비자 상담이 지속적으로 접수되고 있다. 


tablet-7025355_640.jpg
사진=픽사베이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과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의원실(경기 안양시 동안구갑)이 공동으로 국내 이용률 상위 6개 OTT 사업자의 서비스 실태를 조사한 결과, 소비자가 해지 과정에서 해지 당월의 잔여 이용료를 환급받을 수 있는 중도해지를 선택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부 사업자는 과오납금 환급 기준, 서비스 장애 등에 대한 구체적인 보상 기준이 미흡해 개선이 필요했다.


□ 소비자 상담, ‘계약해제·해지/위약금’ 관련 상담이 가장 많아


최근 3년간(2021~2023년)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OTT 관련 소비자 상담은 총 1,166건이었다. 


이 중 조사대상 사업자 관련 소비자 상담 732건을 상담 사유별로 분석한 결과, ‘계약해제·해지/위약금’ 관련 문의가 47.0%(344건)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부당 요금 결제, 구독료 중복 청구’ 28.9%(211건), ‘콘텐츠 이용 장애’ 7.1%(52건) 등의 순이었다.


□ 온라인상 중도해지 선택 불가, 중도해지시 전화·채팅 등 요구

  

조사대상 6개 사업자 모두 온라인 해지 신청 기능이 있었다. 그러나 소비자가 온라인으로 해지를 신청하면 사업자들은 즉시 이에 응하지 않고 계약 기간 만료까지 서비스를 유지한 후 환불 없이 계약을 종료했다. 소비자가 중도해지 및 잔여 대금의 환불을 받기 위해서는 전화나 채팅 상담 등 별도 절차를 이용해야 했다.

  

소비자들이 해지 과정에서 잔여 이용료의 환불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해지 절차를 간소화하거나 중도해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충분한 안내가 필요했다.

  

한편, 넷플릭스는 약관상 결제일로부터 7일이 지나면 중도해지 및 대금의 환불을 허용하지 않아 개선이 필요했다.


□ 과오납금 환불 방법 및 절차 마련 필요

  

소비자 상담을 살펴보면, 기존 계정 소유자가 이동통신사의 OTT 결합상품 가입 등의 사유로 요금을 중복 납부하거나, 계약이 해지된 후에도 요금이 청구되어 납부한 사례도 있었다. 과오납금은 환불에 소요되는 수수료 등을 제외하고 환급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일부 사업자(3개)의 경우 과오납금의 환불 방법 및 절차에 관한 약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시스템상 시청 이력이 6개월까지만 확인된다는 등의 이유로 과오납금의 환급 범위를 6개월로 제한하는 사업자도 있어 개선이 필요했다.


□ 콘텐츠 결함 등 서비스 장애에 대한 구체적 보상 기준 필요

  

서비스 장애 등에 관한 소비자 상담도 접수되었는데, 일부 사업자(4개)의 경우 서비스 중지·장애에 대한 피해보상 기준이 구체적으로 안내되어 있지 않았다. 소비자 보호를 위해 콘텐츠 결함 등에 따른 이용자 피해보상의 기준·범위·방법 및 절차에 관한 약관을 마련하고, 소비자에게 알릴 필요가 있었다.


□ 소비자들의 68.3%는 OTT 구독료 비싸다고 응답

  

소비자 설문조사(총 1,200명) 결과, 소비자들은 평균 2.4개의 OTT 서비스를 유료로 이용하고 있었으며, 이를 위해 한 달에 평균 20,348원을 지불했다. 설문 응답자 중 68.3%(820명)는 OTT 서비스 국내 구독료가 비싸다고 응답했다. 

  

한편, 유튜브의 경우 국외에서는 학생 멤버십, 가족 요금제 등의 할인 요금제를 운영 중이나 국내에서는 유튜브 프리미엄 단일 요금제만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돼, 국내에도 할인 요금제 도입 등을 통해 소비자 선택권을 확대할 필요가 있었다.

  

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OTT 사업자들에게 ▲ 중도해지권 보장 및 안내 강화, ▲ 과오납금 환불 보장 및 약관 마련, ▲ 소비자 피해보상 기준 구체화, ▲ 할인 요금제 도입 검토 등을 권고했다.

  

또한,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의원은 “소비자 친화적인 디지털 콘텐츠 시장을 만들어나가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태그

전체댓글 0

  • 24755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중도해지·환급 어려운 OTT, 선택권 강화해야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
Home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4.10.08 21:51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