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Home > 전체 > 국제
-
트럼프 "北김정은과 어느 시점에 뭔가 할 것…소통 있다"
김정은과 연락할 것이냐는 질문에 "그럴 것…북한은 핵국가" '김정은과의 소통'에 대해 자세하게 언급은 안해 트럼프 대통령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31일(현지시간)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관련, "우리는 어느 시점에 무엇인가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김 위원장에게 연락(reach out)할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 "그렇다(Well, I do)"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여러분은 이 말을 듣기를 싫어하지만, 나는 김정은과 좋은 관계를 갖고 있다"라면서 "나는 그와 환상적으로 잘 지냈다. 이것은 매우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그는 2017년 집권 1기 초기에 김 위원장을 '리틀 로켓맨(little rocket man)'으로 언급했던 상황 등을 거론하면서 "어느 날 그들이 만나고 싶다는 전화를 받았다. 우리는 만났고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소통하고 있다(we have, there is communication)"라면서 "그것은 매우 중요하다. 알다시피 그는 큰 핵 국가(big nuclear nation)이고 매우 스마트하다"라고 말했다. 그는 '소통'과 관련해서 추가로 자세한 설명은 하지 않았다. 연합뉴스
-
"트럼프 협상의 기술 '실패하는 중'…전쟁의 복잡성 이해못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휴전 논의에서 사실상 아무것도 양보하지 않으면서 협상 전문가를 자처해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평화 노력이 흔들리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푸틴과 트럼프, 젤렌스키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19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와 중동에서 전쟁을 끝내겠다는 공언에 대해 '실패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이전부터 본인이 협상하면 우크라이나 전쟁을 금세 끝낼 수 있다며 '조기 종전론'을 띄웠고 실제로 취임 직후 전쟁 종식 협의에 적극 개입하면서 종전 협상이 급물살을 탔다. 그러나 전날 푸틴 대통령과의 통화는 트럼프 대통령의 조기 종전론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모두 수용할 만한 실행 가능한 협정으로 전환하는 일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보여준다. 푸틴 대통령은 30일간 에너지 인프라 시설 공격 중단과 전쟁포로 교환과 같이 러시아로서는 손해 볼 것 없는 부분만 동의했다. 또한 우크라이나에 대한 안보 지원 중단과 이 지역 안보와 관련한 러시아의 '정당한 이익' 보전이라는 종전 조건을 거듭 강조했다. 이는 우크라이나의 무장 해제와 동유럽에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의 후퇴를 뜻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1기 때 국가안보회의(NSC) 유럽·러시아 담당 선임보좌관을 지낸 피오나 힐 브루킹스연구소 선임위원은 "푸틴은 실제로는 아무것도 양보하지 않았지만 트럼프에게 약간의 양보를 한 것처럼 보이게 만드는데 성공했다"고 말했다. 둘의 통화 불과 몇 시간 전,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휴전은 파국을 맞았다. 가자지구 전쟁 재개는 미국이 예멘의 친이란 반군 후티를 공습하고 이란에 여러 차례 경고를 날린 직후 일어났다고 FT는 짚었다. 에런 데이비드 밀러 카네기국제평화재단 선임연구원은 "트럼프는 위대한 협상가로서 본인 이미지와 이런 분쟁의 암울한 현실을 조화시킬 수 없을 것"이라며 "트럼프의 세계에서 모든 것의 중심 역할을 하는 그의 개인기는 통하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트럼프 대통령이 푸틴 대통령과 협상에서 사실상 진 것이라는 평가가 잇따르는 가운데 그의 측근들은 기존 약속보다 오래 걸릴지언정 트럼프 행정부의 외교 정책 목표는 예정대로 가고 있다고 주장한다. 우크라이나·러시아 특사 키스 켈로그는 엑스(X·옛 트위터)에 "트럼프 대통령은 진정으로 말하고, 말한 대로 하는 대통령임을 증명하고 있다"며 "그는 이 전쟁을 종식으로 이끌 것"이라고 썼다. 그러나 여러 당사국이 얽힌 전쟁의 복잡성을 이해하지 못한 채 역학관계를 급변시킬 수 있다고 믿는 트럼프 대통령의 외교 접근법 자체에 결함이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막스 베르크만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유럽·러시아·유라시아 국장은 "종전 협상이란 지난하고 지루한 과정으로 비교적 수용 가능한 방안을 찾기까지 엄청난 인내와 창의력을 요한다"며 "트럼프 행정부는 그저 전쟁에서 빠져나가기를 원하는 것처럼 보인다"고 지적했다. 핵심 동맹국들을 몰아세우느라 미국의 협상력을 스스로 떨어뜨린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한 전직 국무부 고위 관리는 "그는 우리 동맹국과 협력국들을 몰아세우는 데 더 관심을 두는데, 그러면 세계에서 우리 힘이 약해지는 것"이라며 "세계에서 힘이 약해지면 그가 원하는 거래를 못 하게 된다"고 말했다. 우파 성향 미국기업연구소의 코리 샤키 외교정책·국방연구국장도 "트럼프 대통령은 빠른 승리를 얻으려는 절박함에 친구를 벌주고 적에게 상을 줌으로써 본인의 영향력의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푸틴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의 등을 받치고 있는 유럽을 제치고 미국과 '직거래'를 이어가려 하고 있다. 전날도 크렘린궁은 "양자 모드로 우크라이나 문제 해결"을 강조했다. 유럽 주요국은 미·러 정상 통화 직후 대외적으로는 30일 인프라 휴전을 환영한다고 밝히면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비판을 자제하고 있으나 유럽 자력 방어 노력에 박차를 가하려는 모습이다. 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푸틴 대통령처럼 트럼프 대통령도 강대국의 영향권으로 나뉜 세상을 머릿속에 그리는 듯하다"며 "그럴수록 불안한 유럽은 우크라이나를 돕고 스스로를 지키려 안간힘을 쓰고 있다"고 전했다. 크리스텐 미크할 에스토니아 총리는 전날 엑스에 내년 국방비를 국내총생산(GDP)의 최소 5%로 늘리겠다며 "러시아는 목적과 제국주의적 야욕을 바꾸지 않았다. 이것은 유럽과 나토에 실제적 위협"이라고 적었다. 연합뉴스
-
美, 한국 민감국가 지정…원자로 수출 등에 직격탄 우려
미국 정부가 지난 1월 원자력, 인공지능(AI) 등 협력을 제한할 수 있는 '민감국가 리스트'에 한국을 추가한 것으로 14일(현지시간) 확인되며 양국 첨단기술 협력에도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미국 에너지부 건물 [UPI 연합뉴스 자료사진] 특히 에너지와 원자력 관련 정책을 총괄하는 미 에너지부 주재로 리스트 추가가 이뤄진 만큼 양국의 첨단 기술 협력에 직접적 제동이 걸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우려가 나온다. 미 에너지부는 산하 17개 국립연구소를 통해 AI·원자력·양자 등 각종 첨단과학 연구를 수행하고 있어 한국의 주요 과기협력 대상 가운데 하나다. 에너지부는 한미 간 과학기술 협력에 새 제한은 없다고 밝혔지만, 실제적 협력에는 유무형의 제한이 걸릴 것이란 우려가 과학기술계에서는 이미 제기된다. 민감국가로 지정되면 에너지부가 연구 협력에서 원자력을 비롯해 국가 안보와 관련한 기술을 공유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고, 인력 교류 및 공동 연구, 프로젝트 참여도 제한할 수 있는 만큼 연구진 간 협력 과정에서 심리적 압박이 커질 수 있다. 또 에너지부 프로그램에 참여하거나 관련 시설을 방문할 때 승인 요청 기한이 길어지는 등 실제 협력 장애 요소들도 발생하게 된다. 특히 한국이 최근 공들인 과기분야 협력의 중심이 미국이고, 그중에서도 에너지부 산하 국립연구소가 핵심 기관들이었던 만큼 우려가 크다. 한미 양국은 전임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 시절부터 과학기술 분야 협력 확대에 한층 드라이브를 걸었다. 2023년 한미일 정상회담에서 3국 간 연구기관 협력 파트너로 에너지부 산하 국립연구소들이 지정되기도 했으며, 과기정통부도 지난해 11월 에너지부와 차관 면담을 통해 핵융합과 양자, AI 등 주요 전략기술과 관련한 공동연구 확대를 제안하는 등 러브콜을 꾸준히 보내왔다. 이런 기술들은 미국이 벽을 높이는 기술패권 경쟁에서 안보에 영향을 미치는 전략기술로 지목받고 있는 만큼, 안보 기술 공유를 규제하는 조치에 영향을 받지 않으리란 보장이 없다. 특히 한국의 수출형 연구용 원자로(연구로) 개발, 파이로프로세싱(사용 후 핵연료 재활용 기술) 등 주요 원자력 기술 상당수가 미 에너지부 협조 없이는 이뤄질 수 없는 상황이라 원자력 분야 협력은 자칫하면 큰 타격을 받을 수도 있다. 일례로 에너지부 및 산하 국립핵안보청은 전 세계 핵 비확산을 목표로 하면서 지난해 4월 한국의 수출형 연구로에도 핵확산 저항성 최적화 사업을 적용하기 위한 공동성명을 체결했는데, 후속 절차에 어려움을 겪는다면 연구로 수출 등에도 먹구름이 낄 수 있는 상황이다. 이미 에너지부 산하 기관과 협력을 진행 중인 출연연들도 상대측의 별다른 응답이 없는 상황에서 불안한 속내를 애써 감추는 모양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2019년부터 로런스 리버모어 연구소와 연구 협력을 이어오고 있고, 아르곤 국립연구소, 브룩헤이븐 국립연구소 등과도 차세대 이차전지 공동연구를 추진 중이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바이오 파운드리 분야에서 로런스버클리 국립연구소와 협력하고 있고, 올해 1월에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아르곤국립연구소와 업무협약을 맺고 차세대 반도체 기술 협력에 나서기로 하는 등 협력 범위를 넓혀 왔다. 정부는 아직 공식 외교채널로 확인된 바가 없는 만큼 상황 파악 등을 진행 중이라는 입장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외교부 등 관계부처와 협의 중이다"고 말했다. 미 에너지부 대변인은 이날 최근 에너지부가 한국을 민감국가로 분류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진 것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는 연합뉴스 질의에 "DOE는 광범위한 '민감국가 및 기타 지정국가 목록'(SCL)을 유지하고 있다"면서 "이전 정부는 2025년 1월 초 한국을 SCL의 최하위 범주인 '기타 지정 국가'에 추가했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 한국과의 양자간 과학·기술 협력에 대한 새로운 제한은 없다"며 "에너지부는 한국과의 협력을 통해 상호 이익을 증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연합
실시간 국제 기사
-
- 라오스 비엔티안, ‘ASEM’ 개최 이후 공동화 우려
- ▲ 오는 11월, 아시아유럽 정상회의(ASEM)에 대비해 일본 자금과 중국의 기술로 확장하는 비엔티안 와타이국제공항라오스 비엔티안이 아시아·유럽 정상회의인 ‘아셈(ASEM)’ 개최 이후 공동화가 우려되고 있다. 라오스는 오는 11월 5일 개최하는 아셈회의를 앞두고 수도 비엔티안에 초대형 컨벤션센터와 대규모 숙박시설을 조성하고 있다. 또 일본 ODA자금으로 와타이 국제공항을 확장·보수하고, 반경 8km이내의 시내 전 지역의 도로를 확장하거나 개보수하는 등 전면 대수술에 들어갔다. 또 본회의가 열리는 초대형 컨벤션센터 신축과 외국 정상들이 사용하게 될 메콩강 숙박시설, 수천 명의 수행원들이 묵게 될 락뺏(8km) 대규모 빌라단지 등 각종 시설물 건설에 온 도시가 몸살을 앓고 있다. 시간이 촉박해진 라오스정부는 그동안 시내 진입을 제한했던 공사용 덤프트럭의 출입을 해제하면서 까지 아셈 개최일자를 맞추기 위해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초대형 컨벤션센터와 최고급 숙박시설 등 대부분 중국 자본이 투입되는 이 대규모 시설물들이 완공될 경우 국제적으로 라오스 비엔티안의 위상을 높이고 분위기를 완전히 바꿔 놓을 것으로 보인다. ▲ 라오스 비엔티안 전 지역이 아시아유럽 정상회의(ASEM) 개최에 따라 대대적인 공사에 들어갔다. 사진은 우리나라 흥화(HHI)가 조성 중인 메콩강 제방공사 현장그러나 일각에서는 아셈 이후 국제사회의 영향력이 낮고 경제 기반이 취약한 라오스정부가 이 시설물들의 적절한 용도를 찾지 못할 경우 애물단지로 전락할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이는 경제발전과 함께 꾸준히 상승세를 유지하던 비엔티안 부동산시장에 오는 연말 고급주택과 빌라 등 수백 채가 무더기로 쏟아져 나오면서 공급과잉 현상으로 인해 부동산 폭락까지 가져올 수 있다는 분석이다. 또 손에 꼽을 정도인 라오스정부의 국제관련 회의 등 굵직굵직한 행사가 없을 경우, 비엔티안 시내 요지를 차지한 각종 건축물들이 높은 유지비용으로 관리부실을 초래, 자칫 쓸모 없는 공간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비엔티안에 거주하는 한국인 K씨(43)는 “국제회의가 몇 년에 한 번씩 열리는 비엔티안에 거대한 컨벤션센터는 아직은 시기상조인 것 같다”면서 “대형 건축물 조성이 문제가 아니라 관리가 안 될 경우 아이텍처럼 애물단지로 전락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라오스의 농업이나 자원 개발 등 1차 산업을 제외한 기간산업과 부동산, 서비스, 제조업 등에 투자하려는 한국인들은 아셈 개최 이후의 변화를 예의 주시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정보 취득에 한계가 있는 라오스에 대한 국내 일부 언론과 기관의 무분별한 분석을 믿고 섣불리 투자를 결정할 경우 낭패를 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어서, 한국투자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망되고 있다. 자료제공=아세안투데이
-
- 전체
- 국제
- 아시아
-
- CJ 비비고 런던 1호점, 영국 ‘핫플레이스’로 각광
- CJ 비비고 영국 런던점이 스포츠 스타 플레이어와 엔터테이너들이 사랑하는 ‘핫 플레이스’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국내 최고 생활문화 기업 CJ(회장 이재현)의 글로벌 한식 브랜드 비비고(www.bibigo.com)는 최근 영국에서 오픈한 런던 1호점이 세계인의 축제인 올림픽을 계기로 스포츠 스타들과 엔터테이너들이 즐겨 찾는 인기 장소로 각광받고 있다고 9일 밝혔다. 지난 3일에는 올림픽 양궁 금메달 리스트인 기보배와 오진혁 선수를 비롯한 대한민국 양궁선수단이 영국 비비고 런던에 직접 찾았다. 이들은 ‘문어 담은 청포묵’을 비롯 ‘숯불고기’와 ‘보쌈’, ‘매운 낙지볶음’, ‘핫스톤 갈비’, ‘구운 해산물’ 등의 비비고 영국 런던점의 코스 메뉴를 즐겼다. 비비고 런던 담당자는 “현지에 맞춘 모던한 한식을 무척 좋아했으며 특히 한국의 매운 음식을 느끼고 싶어서 그런지 매운 낙지볶음과 한국의 전통음식 숯불고기, 보쌈 등의 메뉴에 손이 많이 가는 것 같았다”고 전했다. SBS 인기 토크쇼인 <힐링캠프>에서는 올림픽 특집 ‘한순철 선수편’의 감동 스토리를 비비고 런던1호점에서 촬영을 했으며 지난 4일 방영된 프로그램에서 13%(AGB닐슨) 이상의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다. 이날 방송에서는 한혜진과 김제동이 진행자로 출연했으며 경기를 막 바로 마치고 나온 한순철 선수에게 힐링을 추천하며 비비고 런던만의 특별한 한식인 ‘육회비빔밥’과 ‘문어 담은 청포묵’ 등을 제공해 좋은 평가를 받았다. 푸드라이프스타일 채널 올’리브 TV의 <마스터셰프 코리아>의 공동심사위원인 노희영, 김소희, 강레오는 비비고 런던점에 함께 모였던 장면이 파파라치 샷에 걸려 인터넷을 뜨겁게 달구기도 했다.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레스토랑 가이드북인 자갓(Zagat) 블로그에 비비고 런던1호점이 직접적으로 소개되는가 하면 블룸버그 음식 전문 비평가인 리차드 바인(Richard Vines)을 비롯 영국 현지 유명인들의 트위터에 비비고 런칭 소식이 알려지는 등 현지에서의 영향력을 높이고 있다. 케이터러 앤 호텔키퍼(CATERER AND HOTEL KEEPER)라는 업계에서 높은 인지도를 갖고 있는 매체에서는 비비고를 한국에서 가장 큰 식품 회사인 CJ 그룹이 운영하는 브랜드로 런던 1호점의 컨셉과 현지 마케팅 전략들을 소개하고 있다. 이처럼 런던 1호점이 오픈 하자 마자 높은 인기를 끌고 있는 것은 한식의 유니크(Unique)함과 헬시앤드프레시(Healthy&Fresh) 컨셉트의 프리미엄 이미지를 강조한 바앤다이닝(Bar&Dining) 형태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정립하고 동시에 한식의 무한한 가능성과 매력을 전달할 수 있는 플래그십 스토어(Flagship Store)로 운영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CJ 관계자는 “CJ 비비고는 지난 10여 년이 넘도록 한식 세계화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며 “이재현 회장은 런던이 세계적인 문화도시인 만큼 비비고를 통해 한식 세계화의 중요 거점으로 만들라고 지시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CJ는 글로벌 한식 위해 전 세계를 대상으로 비비고 매장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달 중에 미국과 중국, 싱가포르에 추가로 오픈 할 것이며 연말까지 20여 개 매장을 해외에 열 계획이다.
-
- 전체
- 국제
- 유럽
-
- 화제의 댄스남~
- 유투브에 올라온 화제의 동영상.
-
- 전체
- 국제
- 미국/중남미
-
- Nakchun, a specialized company in Makgeolli, presents two kinds of Gijangsoo Makgeolli at famous department stores
- A Makgeolli brewer of Korea, Nakchun (CEO, Sung, Jae-Gi, www.nakchun.co.kr) started to sell two kinds of their Makgeolli products at Lotte Department Stores and Shinsegae Department Stores in Seoul and Gyeonggi areas. What they present at liquor shops in department stores now are 멠umpkin Makgeolli?and 멌ameo Makgeolli?made of Gijangsoo ?red clay sinking water ?which contains minerals of red clay bedrock layer, and both of them are sterilized raw rice wine with 6 months of shelf life. Nakchun is the one and only brewer of Makgeolli by using Gijangsoo, which has been steadily used in oriental medicine, according to the prescription in 멏ong-eui-bo-gam? First of all, Pumpkin Makgeolli is brewed with natural Gijangsoo for differentiated fermentation, and features yellow color and tastes gentle and sweet. Pumpkin contains potassium and vitamin which are good for eye fatigue and blood circulation, and is good for clear skin and strengthening immunity for which it is popular among women. Especially, it has fresh idea of enabling bottle cap as glass. Cameo Makgeolli is made of Gijangsoo and 100% homegrown rice; it is popular among people who want fresh Makgeolli with its smooth and gentle taste. Exclusive glass bottle design attracts the eyes. Meanwhile, Nakchun is a Makgeolli brewer located in Gangwon region; they brew hygienic and tasty high quality Makgeolli by developing advanced brewage with up-to-date facility of automated line. Thanks to in-house laboratory, they maintain the best quality and conduct stable fermentation management.
-
- 전체
- 국제
- 아시아
-
- Spatech, ‘Nano Treatment System N Care’ Working for Skin/Scalp Management
- Treatment System N Care appeals to various kinds of skin care shop, beauty shop, oriental medical clinic, and plastic surgery as well as scalp and hair clinics, scalp care instructor academy, scalp and hair product company, and hotel spa. N Care, developed by Spatech(CEO Lee, Joung-Dong, www.spatech.co.kr), is skin and scalp treatment system using Nano Technology; it granulates bioactive substance and active component into the product in smaller size than pore by using Nano-gun spray so as to permeate them deep into scarfskin when sprayed upon skin tissue. There has been an issue pointed out that some beauty treatment devices don’t spray fine particle of medicine making it stay on the horny layer of skin surface. N Care is applied with the principle of Electroporation (gene transfer method using electric pulse to make fine hole on the cell membrane) based on the Nano Technology and Iontophoresis which can increase ionic medicine’s permeation into skin. In this way, N Care can make any ingredient permeate into cell through epidermis increasing the effect of active component, and is effective in improving dry, aging and other problematic skins. This skin permeation increasing method acquired a patent in last 2009. In addition, N Care administers low level laser to increase blood flow and antibody, and increases the activation of immunocyte and effect of anticancer activity. Besides, N Care has diagnosis functions on the state of scalp and hair which is suitable for those who are concerned about hair damage or loss. N Care informs us about the shape of pore and hair bulb fallen out, color and smell of scalp, infection, sebum secretion rate, and demodex folliculorum state, and enables us to make correct diagnosis on the hair thickness and damage state, scalp disease and physical disease, genetic predisposition, and hair loss type and degree. CEO, Lee, Jeong-Dong said that “N Care was developed by applying the knowhow and technologies that Spatech has built so far” and added that “it is very effective in skin reconstruction and anti-aging as it can granulate bioactive substance and active component into Nano-size.” (Inquiries: 82-33-748-9064, spatech@paran.com) News Source: Spatech
-
- 전체
- 국제
- 아시아
-
- SBS 박선영앵커, 가디언지에 사진 실려 '깜놀'
- SBS 박선영앵커가 영국 가디언지를 대대적으로 장식하며 화제의 인물로 떠올랐다. 박선영 앵커는 지난 7월 25일 오전(영국시각) '런던 2012 특집 8시 뉴스' 진행을 위해 런던의 대표적인 상징물인 타워브리지 앞에서 섰다. 특히, 이 모습이 26일 발간된 영국의 유력 일간지인 가디언지(the guardian)에 무려 두면에 걸쳐 실리면서 화제가 되고 있는 것. 런던올림픽 특집으로 마련된 이 신문 속에서 분홍빛 드레스를 입은 박앵커는 오륜기로 장식된 타워브리지를 뒤로하고서 환한 웃음을 짓고 있었고, 이를 촬영하는 'SBS 8뉴스'라고 새겨진 카메라의 모습도 선명하게 보여지면서 영국에서도 '올림픽채널 SBS'를 과시한 것이다. 자신의 모습이 담긴 신문을 본 박선영앵커는 "내 모습이 영국신문에 이렇게 크게 실린 걸 보고는 깜짝 놀랐다"며 "나에 대한 관심이라기 보다 영국인들의 한국과 한국인을 향한 관심이라 생각하니 더욱 기분이 좋다. 부디 우리 한국 선수들도 많은 분들의 관심속에서 좋은 성적을 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겸손해 했다.
-
- 전체
- 국제
- 유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