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는 11월, 아시아유럽 정상회의(ASEM)에 대비해 일본 자금과 중국의 기술로 확장하는 비엔티안 와타이국제공항
라오스는 오는 11월 5일 개최하는 아셈회의를 앞두고 수도 비엔티안에 초대형 컨벤션센터와 대규모 숙박시설을 조성하고 있다.
또 일본 ODA자금으로 와타이 국제공항을 확장·보수하고, 반경 8km이내의 시내 전 지역의 도로를 확장하거나 개보수하는 등 전면 대수술에 들어갔다.
또 본회의가 열리는 초대형 컨벤션센터 신축과 외국 정상들이 사용하게 될 메콩강 숙박시설, 수천 명의 수행원들이 묵게 될 락뺏(8km) 대규모 빌라단지 등 각종 시설물 건설에 온 도시가 몸살을 앓고 있다.
시간이 촉박해진 라오스정부는 그동안 시내 진입을 제한했던 공사용 덤프트럭의 출입을 해제하면서 까지 아셈 개최일자를 맞추기 위해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초대형 컨벤션센터와 최고급 숙박시설 등 대부분 중국 자본이 투입되는 이 대규모 시설물들이 완공될 경우 국제적으로 라오스 비엔티안의 위상을 높이고 분위기를 완전히 바꿔 놓을 것으로 보인다.

▲ 라오스 비엔티안 전 지역이 아시아유럽 정상회의(ASEM) 개최에 따라 대대적인 공사에 들어갔다. 사진은 우리나라 흥화(HHI)가 조성 중인 메콩강 제방공사 현장
이는 경제발전과 함께 꾸준히 상승세를 유지하던 비엔티안 부동산시장에 오는 연말 고급주택과 빌라 등 수백 채가 무더기로 쏟아져 나오면서 공급과잉 현상으로 인해 부동산 폭락까지 가져올 수 있다는 분석이다.
또 손에 꼽을 정도인 라오스정부의 국제관련 회의 등 굵직굵직한 행사가 없을 경우, 비엔티안 시내 요지를 차지한 각종 건축물들이 높은 유지비용으로 관리부실을 초래, 자칫 쓸모 없는 공간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비엔티안에 거주하는 한국인 K씨(43)는 “국제회의가 몇 년에 한 번씩 열리는 비엔티안에 거대한 컨벤션센터는 아직은 시기상조인 것 같다”면서 “대형 건축물 조성이 문제가 아니라 관리가 안 될 경우 아이텍처럼 애물단지로 전락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라오스의 농업이나 자원 개발 등 1차 산업을 제외한 기간산업과 부동산, 서비스, 제조업 등에 투자하려는 한국인들은 아셈 개최 이후의 변화를 예의 주시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정보 취득에 한계가 있는 라오스에 대한 국내 일부 언론과 기관의 무분별한 분석을 믿고 섣불리 투자를 결정할 경우 낭패를 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어서, 한국투자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망되고 있다. 자료제공=아세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