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속초16.0℃
    맑음15.7℃
    맑음철원14.9℃
    맑음동두천15.0℃
    맑음파주14.6℃
    구름많음대관령9.2℃
    맑음춘천15.5℃
    맑음백령도12.2℃
    구름많음북강릉16.5℃
    구름조금강릉17.0℃
    구름조금동해17.8℃
    맑음서울15.2℃
    맑음인천11.4℃
    맑음원주14.2℃
    맑음울릉도13.5℃
    맑음수원14.7℃
    구름조금영월14.6℃
    맑음충주15.3℃
    맑음서산14.2℃
    구름조금울진13.6℃
    맑음청주17.5℃
    맑음대전17.0℃
    맑음추풍령15.0℃
    맑음안동16.0℃
    맑음상주16.2℃
    구름조금포항18.2℃
    맑음군산13.2℃
    맑음대구17.4℃
    맑음전주15.0℃
    맑음울산17.1℃
    맑음창원20.2℃
    맑음광주17.7℃
    맑음부산16.6℃
    맑음통영16.3℃
    맑음목포14.0℃
    맑음여수17.9℃
    맑음흑산도15.1℃
    맑음완도17.3℃
    맑음고창14.1℃
    맑음순천16.0℃
    맑음홍성(예)15.0℃
    맑음17.7℃
    맑음제주16.3℃
    맑음고산15.7℃
    맑음성산16.6℃
    맑음서귀포17.5℃
    맑음진주18.9℃
    맑음강화12.0℃
    맑음양평16.2℃
    맑음이천16.7℃
    맑음인제13.3℃
    맑음홍천15.4℃
    구름조금태백11.7℃
    맑음정선군14.1℃
    맑음제천13.3℃
    맑음보은15.7℃
    맑음천안16.5℃
    맑음보령13.0℃
    맑음부여16.4℃
    맑음금산16.1℃
    맑음16.8℃
    맑음부안14.5℃
    맑음임실16.3℃
    맑음정읍15.7℃
    맑음남원16.9℃
    맑음장수13.3℃
    맑음고창군15.9℃
    맑음영광군14.9℃
    맑음김해시19.4℃
    맑음순창군16.3℃
    맑음북창원19.4℃
    맑음양산시19.7℃
    맑음보성군18.7℃
    맑음강진군17.5℃
    맑음장흥18.1℃
    맑음해남16.0℃
    맑음고흥18.2℃
    맑음의령군20.4℃
    맑음함양군17.1℃
    맑음광양시20.2℃
    맑음진도군13.9℃
    맑음봉화14.0℃
    맑음영주13.9℃
    맑음문경15.0℃
    맑음청송군15.7℃
    맑음영덕16.7℃
    맑음의성17.0℃
    맑음구미18.3℃
    맑음영천18.1℃
    맑음경주시18.5℃
    맑음거창16.2℃
    맑음합천19.6℃
    맑음밀양19.5℃
    맑음산청17.7℃
    맑음거제16.1℃
    맑음남해18.8℃
    맑음19.5℃
  • 최종편집 2025-04-06(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이용수 할머니가 위안부 성금이 어디에 쓰이는지 모르며, 30년 가까이 관련 단체에 이용만 당했다며 정의기억연대와 윤미향 전 정의기억연대 이사장이자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 당선인을 비판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이자, 영화 '아이캔스피크'의 실제 모델이기도 한 이용수 할머니는 수요집회에서 모금된 기부금이 피해자 할머니들에게 지급된 적이 없으며 당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윤미향 대표가 성금 사용 내역이 불투명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총선 전후로 이루어진 인터뷰에서 윤미향 당선인이 언급한 자신과 관련된 미담은 거짓이라고 주장하면서 “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되놈이 버느냐”고 비난했다.


이용수 할머니는 7일 대구 남구 한 찻집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992년부터 수요집회에 가면 초등학생, 중학생들이 부모님에게 받은 용돈을 모아서 줬는데 마음이 너무 아팠다”며 “이걸 할머니들한테 쓴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또 “수요집회를 없애야 한다”며 “다음 주부터 수요집회에 참석하지 않겠다. 집회가 학생들 고생시키고 푼돈만 없애고 교육도 제대로 안 된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이용수 할머니는 한일 위안부 합의금 10억 엔에 대한 정보를 제대로 제공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2015년 한일 위반부 합의 당시 10억 엔이 일본에서 들어오는 걸 윤미향 당선인만 미리 알고 있었다는 주장은 외교적 파장으로 불거질 수 있는 대목이다. 


이 할머니는 30년 가까이 위안부 대책 관련 단체에 이용만 당했다고 주장했다. “2015년 한일협정 당시 10억 엔이 일본에서 들어오는데 대표만 알고 있었다”며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다. 내가 알았다면 돌려보냈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대해 정의기억연대와 윤미향 당선인은 “할머니의 기억이 달라져 있다”며 비판 내용에 대해 사실과 다르다고 해명했다.


이용수 할머니는 특히 윤미향 당선인에 대해 비판의 날을 세웠다. 이 할머니는 “윤미향씨 국회의원 하면 안 된다”며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했다. 


0003734304_002_20200508101004043.png
윤미향 당선인 SNS 캡쳐

 

윤미향 당선인은 바로 자신의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정의연은 1992년부터 할머니들께 드린 지원금 등의 영수증을 할머니들 지장이 찍힌 채로 보관하고 있다”며 “보관할 당시에는 할머니들의 기억에 확인용으로 보관했지만, 어느 새 그 기록들은 사료가 되어 있다”고 해명했다.


윤미향 당선인은 “이용수 할머니와 통화를 하는 중에 할머니의 기억이 달라져 있음을 알았다”고 전했다.


이어 “다시 기억을 끄집어 내 설명을 드렸으나 아니라고 하셔서 더 이상 대화를 이어갈 수가 없었다”고 토로했다. 또 ‘이용만 당했다’는 이 할머니의 주장에 대해서도 “이용수 할머니는 누구에게도 이용당하지 않을, 누구보다도 주체적이고 용기있고, 씩씩한 영웅으로, 인권운동가로 활동해 왔다”고 해명했다.


우희종 더불어시민당 대표는 8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이용수 할머니가 정의기억연대를 비판한 것과 관련해 "저희가 파악한 바로는 할머니의 주변에 계신 분에 의해 조금 기억이 왜곡된 것 같다"고 말했다


윤미향 당선인은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간사, 사무국장, 사무총장을 역임하고 2008년부터 정대협 상임대표를 역임한 바 있다. 이후 2015년 박근혜 정부의 한일 위안부 합의에 반대하며 일본으로부터 받은 10억 엔을 반환하기 위해 정의기억재단과 정대협이 통합한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의 이사장을 맡다가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시민당 비례 7번을 받아 국회의원에 당선됐다.


윤미향 당선인의 남편 김삼석씨에 대한 간첩 혐의가 논란이 된 적이 있다. 김삼석씨와 그의 여동생 김은주씨가 국내 동향과 군사기밀을 재일한국민주통일연합이라는 단체에 넘기고 600만엔을 받은 '1993년 남매간첩단' 사건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군사기밀 넘긴 혐의는 무죄 판결을 받았지만 재일한국민주통일연합으로부터 금품을 받은 것은 유죄로 징역2년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받은 바 있다. 


또한, 남편 김삼석은 지난 해 지역언론 '수원시민신문'을 운영하면서 16개 대학교를 상대로 과도한 정보공개 청구를 한 후 6000만원을 갈취한 혐의로 1심에서 유죄판결을 받고 현재 항소 중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한 일간지에서는 윤미향 당선인의 딸이 미국 명문대에서 유학중인 것으로 확인됐다는 기사가 나왔다. 기사에 의하면 윤씨의 딸은 현재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주립대(UCLA) 음대에서 유학, 피아노 관련 전공을 하고 있다. UCLA 음대의 1년 학비는 비시민권자의 경우 4만달러(약 4800만원) 내외로 알려져 있다. 이 학교 졸업생은 “생활비까지 포함해 1년에 못해도 7000~8000만원은 필요할 것”이라고 했다.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 7번으로 당선이 유력했던 윤미향 당선인은 그동안 여러 차례 반미(反美)목소리를 높여왔다. 윤미향 당선인은 진보 시민단체 대표로 있으면서 평소 반미 구호를 앞장서서 외쳐왔다. 윤미향 당선인은 2017년 4월 페이스북에서 미군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를 두고 “미국의 무기장사 시장 바닥”이라 깎아내렸고, 같은 달 세월호 참사 관련 기사를 공유하며 ‘미국이 삭제된 국무부 보고서 일부를 공개해야 한다’는 취지의 음모론을 제기하기도 했다.

정치권에선 이를 두고 “반미를 외치면서 자식은 미국 유학 보낸 건 좌파적 내로남불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한편 수요집회는 1992년 1월 8일 수요일에 미야자와 기이치(宮澤喜一) 일본 총리 방한을 항의하기 위해 시작됐다. 이후 1995년 일본 고베 대지진 때와 2011년 3월 동일본 대지진 때를 제외하고 매주 수요일 서울 종로구 옛 일본 대사관 앞에서 열렸다. 지난 6일까지 총 1438차를 맞았다. 이 할머니도 28년간 수요집회에 참석했다.


이 할머니는 "더는 어떤 단체와도 함께하지 않을 것"이라며 "수요집회도 참석 안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체댓글 0

  • 26312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아이캔스피크 이용수 할머니, 수요집회 윤미향 의혹 폭로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
Home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0.05.08 11:48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