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속초14.6℃
    맑음16.6℃
    맑음철원14.8℃
    맑음동두천15.0℃
    맑음파주14.0℃
    구름조금대관령10.0℃
    맑음춘천16.4℃
    맑음백령도12.2℃
    구름조금북강릉16.8℃
    맑음강릉16.9℃
    구름조금동해13.1℃
    맑음서울14.4℃
    맑음인천10.8℃
    맑음원주15.6℃
    맑음울릉도12.1℃
    맑음수원13.3℃
    맑음영월15.3℃
    맑음충주16.2℃
    맑음서산13.0℃
    맑음울진12.7℃
    맑음청주16.6℃
    맑음대전15.4℃
    맑음추풍령15.1℃
    맑음안동16.8℃
    맑음상주17.3℃
    맑음포항18.5℃
    맑음군산13.7℃
    맑음대구18.4℃
    맑음전주14.5℃
    맑음울산18.0℃
    맑음창원18.1℃
    맑음광주15.8℃
    맑음부산15.0℃
    맑음통영15.8℃
    맑음목포14.1℃
    맑음여수18.3℃
    맑음흑산도14.5℃
    맑음완도16.9℃
    맑음고창14.3℃
    맑음순천15.8℃
    맑음홍성(예)13.3℃
    맑음16.5℃
    맑음제주16.2℃
    맑음고산12.7℃
    맑음성산16.5℃
    맑음서귀포17.4℃
    맑음진주18.5℃
    맑음강화10.2℃
    맑음양평15.7℃
    맑음이천15.1℃
    구름조금인제15.2℃
    맑음홍천16.2℃
    맑음태백11.2℃
    맑음정선군14.3℃
    맑음제천14.1℃
    맑음보은15.6℃
    맑음천안15.1℃
    맑음보령11.8℃
    맑음부여15.0℃
    맑음금산14.9℃
    맑음15.1℃
    맑음부안14.2℃
    맑음임실15.1℃
    맑음정읍14.3℃
    맑음남원16.4℃
    맑음장수12.8℃
    맑음고창군14.8℃
    맑음영광군13.8℃
    맑음김해시16.8℃
    맑음순창군15.9℃
    맑음북창원18.2℃
    맑음양산시16.6℃
    맑음보성군17.8℃
    맑음강진군16.6℃
    맑음장흥16.9℃
    맑음해남15.7℃
    맑음고흥18.5℃
    맑음의령군19.6℃
    맑음함양군16.7℃
    맑음광양시18.9℃
    맑음진도군14.2℃
    맑음봉화14.1℃
    맑음영주15.6℃
    맑음문경16.6℃
    맑음청송군16.4℃
    맑음영덕17.1℃
    맑음의성17.8℃
    맑음구미18.5℃
    맑음영천17.6℃
    맑음경주시18.7℃
    맑음거창15.7℃
    맑음합천18.3℃
    맑음밀양19.4℃
    맑음산청17.3℃
    맑음거제14.5℃
    맑음남해19.1℃
    맑음15.0℃
  • 최종편집 2025-04-06(일)
 

농약과 합성 비료를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 농업이 기후 변화 위기의 해결사로 환경오염을 줄여 줄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greenhouse-2139526_1280 (1).jpg
상추 수경 재배 사진=픽사베이

 

29일 서울 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친환경 농업의 공익성 바로 알기 언론인 대상 교육’에서 친환경 농업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인한 식량 부족 현상을 극복하는데도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주제 발표를 한 친환경자조금의무관리위원회 강용 전 위원장은 “친환경 농업의 공익성은 크게 다섯 가지”이며 “토양ㆍ물ㆍ농산물의 농약 오염으로 인한 생태계 위협을 막아주고 환경 보전ㆍ가치 소비ㆍ농업의 지속 가능성을 높여주며, 기후온난화(탄소 배출 억제)를 늦춰준다”고 말했다.  


특히 친환경 농업은 기후위기의 해결에 도움을 주고 있다. 강 전 위원장은 “기후위기라고 하면 석유ㆍ석탄 등 화석연료나 자동차 배기가스를 떠올리는 사람이 많지만, 식품도 밀접하게 관련돼 있다"면서 "먹거리 생산과정은 본질에서 기후위기와 관련돼 있다”는  미국의 타라 가넷 기후변화연구소 설립자의 말을 인용했다. 


식품 공급 체계에서 기후위기의 ‘주범’인 전체 온실가스의 3분의 1 정도가 배출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식량 재배를 위해 물과 토지를 잘못 사용하면서 환경이 더 심각하게 오염되고 있다는 주장이다.  

 

강 전 위원장은 “기후위기는 인류의 먹거리를 위협하고 있으며. 기후위기의 해결 방법도 농산물 등 식품 공급 체계에서 찾을 수 있다”며 “이미 많은 나라가 친환경 농업의 중요성을 공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세계경제포럼(WEF)도 기후위기의 주요 원인으로 '현재의 식량 생산 시스템과 소비패턴'을 지목했다. 기후위기를 해결하려면 현재의 먹거리 공급 시스템을 친환경 농업 중심으로 바꿔야 한다. 강 전 위원장은 “화학비료나 농약을 뿌리지 않는 친환경 농업은 토양을 보호한다”며 “친환경 농업을 실천하면 토양 생물의 다양성을 보전할 수 있다”고 강변했다. 

 

세계자연기금(WWF)은 ‘지구 생명보고서 2020’에서 “토양이 지구상에서 가장 큰 ‘생물 다양성 저장고’ 중 하나여서 토양의 생물 다양성이 떨어지면 육상 생태계는 붕괴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토양 오염은 탄소 배출로 연결돼 대기 오염까지 일으킬 수 있다. 살충제 등 농약 때문에 토양 미생물이 줄어들어 토양의 질이 나빠지면 식물이 토양에 가둬 둔 탄소가 다시 대기로 배출된다.

 

친환경 농업 방식으로 밀을 재배하면 토지 1헥타르(㏊)당 배출하는 온실가스의 양이 60%나 줄어든다는 유럽ㆍ지중해 기후변화센터(CMCC)의 연구결과도 이를 뒷받침한다. 2018년 국제기후변화협의회(IPCC) 총회에선 “친환경 농업을 실천하면 토양이 이산화탄소를 효과적으로 흡수해 대기권 온실가스를 최대 40%까지 줄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기도 했다. 


친환경 농업은 토양과 대기에 이어 수질오염도 줄일 수 있다. 친환경인증을 받기 위해선 오염된 물을 농업용수로 쓰거나 유해 화학물질을 사용할 수 없어, 물로 흘러 들어가는 오염도 막아준다. 코로나 19의 장기화로 인해 촉발된 전 세계의 식량안보 위기의 해결에도 친환경 농업이 중요하다. 

 

강 전 위원장은 “코로나 19 유행 이후 우리나라와 미국에서 친환경농산물의 수요가 많이 늘어났다”며 “식량자급률이 매우 낮은 우리나라는 친환경 농업의 육성을 통해 미래에도 지속 가능한 농업을 실현해야 한다”고 전했다.

태그

전체댓글 0

  • 43793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친환경 농업도 ESG] 친환경 농업, 환경오염 줄여 기후위기 해결사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
Home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1.11.29 17:37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