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속초3.6℃
    구름많음2.3℃
    맑음철원0.0℃
    구름조금동두천3.0℃
    맑음파주0.0℃
    맑음대관령-3.5℃
    구름많음춘천2.8℃
    박무백령도4.1℃
    맑음북강릉3.7℃
    맑음강릉4.2℃
    맑음동해5.2℃
    박무서울6.2℃
    박무인천5.5℃
    맑음원주3.6℃
    구름조금울릉도5.2℃
    박무수원4.3℃
    맑음영월1.7℃
    구름많음충주3.7℃
    맑음서산0.5℃
    구름조금울진5.0℃
    연무청주7.1℃
    흐림대전7.0℃
    구름조금추풍령4.6℃
    맑음안동0.7℃
    구름많음상주3.7℃
    맑음포항4.7℃
    맑음군산4.5℃
    박무대구3.6℃
    박무전주6.6℃
    맑음울산3.1℃
    맑음창원5.5℃
    박무광주6.1℃
    맑음부산6.7℃
    맑음통영4.9℃
    안개목포4.4℃
    맑음여수7.3℃
    박무흑산도5.1℃
    맑음완도4.0℃
    맑음고창0.6℃
    구름많음순천1.1℃
    박무홍성(예)3.6℃
    흐림5.7℃
    구름많음제주7.1℃
    맑음고산7.9℃
    맑음성산6.6℃
    구름조금서귀포7.7℃
    맑음진주2.5℃
    맑음강화3.9℃
    구름많음양평4.0℃
    구름많음이천5.1℃
    구름많음인제0.9℃
    구름많음홍천2.5℃
    맑음태백-2.0℃
    맑음정선군-0.8℃
    구름많음제천0.9℃
    구름많음보은3.0℃
    흐림천안3.4℃
    맑음보령2.8℃
    구름조금부여4.8℃
    구름많음금산6.6℃
    구름많음5.6℃
    맑음부안3.8℃
    맑음임실3.5℃
    맑음정읍2.9℃
    맑음남원4.3℃
    맑음장수3.5℃
    맑음고창군1.7℃
    맑음영광군1.0℃
    맑음김해시4.4℃
    맑음순창군2.8℃
    맑음북창원5.8℃
    맑음양산시4.0℃
    구름많음보성군3.8℃
    맑음강진군2.0℃
    맑음장흥1.2℃
    맑음해남-0.6℃
    구름조금고흥2.0℃
    맑음의령군1.8℃
    맑음함양군2.9℃
    맑음광양시6.2℃
    맑음진도군2.1℃
    맑음봉화-2.4℃
    맑음영주0.5℃
    흐림문경3.4℃
    맑음청송군-1.7℃
    맑음영덕3.9℃
    맑음의성-0.1℃
    맑음구미2.8℃
    맑음영천0.1℃
    맑음경주시0.6℃
    맑음거창2.6℃
    맑음합천3.1℃
    맑음밀양3.4℃
    맑음산청2.2℃
    맑음거제4.3℃
    구름조금남해5.8℃
    맑음2.5℃
  • 최종편집 2025-04-03(목)
 

SK하이닉스의 고대역폭 메모리(HBM) 기술 담당 임원인 권언오 부사장은 향후 HBM 시장에 대해 "고객이 원하는 가치를 담은 제품으로 전문화(specialized)되고 고객 맞춤화(customized)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AKR20240328048300003_01_i_org.jpg
SK하이닉스 권언오 부사장 [SK하이닉스 제공. 연합뉴스]

 

권 부사장은 28일 SK하이닉스 뉴스룸에 공개된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히고, 차세대 HBM이 기능적 우수함은 물론 고객별로 차별화한 역량을 갖추고 메모리 이상의 역할을 하는 형태로 진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SK하이닉스가 업계를 선도하는 HBM은 D램 여러 개를 수직으로 연결해 데이터 처리 속도를 혁신적으로 끌어올린 고성능 메모리다. 방대한 데이터를 신속하고 끊임없이 처리해야 하는 생성형 인공지능(AI)을 구동하려면 HBM과 같은 고성능 메모리가 반드시 필요하다.


SK하이닉스는 HBM 4세대인 HBM3 시장의 90%를 점유하고 있으며, 5세대 HBM인 HBM3E를 세계 최초로 양산해 이달 말부터 AI 칩 선두주자인 엔비디아에 공급한다.


권 부사장은 "향후 AI용 메모리는 현재와 같은 데이터센터향 외에도 특정 목적에 맞춰 성능과 효율성을 높인 주문형 반도체(ASIC)나 고객 제품에 최적화한 온디바이스(기기 자체적으로 AI를 구동하는 방식) 형태로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HBM뿐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D램이 AI용 메모리로 사용될 것이고, 전통적 특성 외에 다양한 조건으로 특화된 소자 개발이 필요할 것"이라며 "이런 격변기에는 여러 기술을 융합해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시야를 넓히고, 도전이 실패하더라도 그 경험을 바탕으로 다시 도전하는 자세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권 부사장은 D램 개발 연구위원으로 있던 2022년 세계 최초로 모바일용 D램인 LPDDR에 공정 속도를 높이면서도 소모 전력을 줄이는 HKMG 공정을 도입했고, 초고속·초저전력 특성을 동시에 구현한 LPDDR5X와 LPDDR5T 개발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그는 작년 말 단행된 임원 인사에서 SK하이닉스가 신설한 'AI 인프라' 조직에 합류해 HBM 기술 로드맵을 완성하는 중책을 맡았다. 연합뉴스

태그

전체댓글 0

  • 85163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SK하이닉스 HBM 기술임원 "차세대 HBM, 전문화·고객 맞춤화"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

SK하이닉스 HBM 기술임원 "차세대 HBM, 전문화·고객 맞춤화"

권언오 부사장 "AI용 메모리, 주문형 반도체·온디바이스 형태로 확대될 것"

Home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4.03.28 11:01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