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속초5.9℃
    맑음3.3℃
    맑음철원1.7℃
    맑음동두천4.8℃
    맑음파주2.5℃
    맑음대관령-1.8℃
    맑음춘천4.3℃
    맑음백령도4.6℃
    맑음북강릉3.4℃
    맑음강릉4.8℃
    맑음동해4.9℃
    구름많음서울7.2℃
    구름조금인천6.6℃
    구름조금원주5.3℃
    맑음울릉도4.5℃
    구름조금수원5.1℃
    구름조금영월6.4℃
    맑음충주4.6℃
    맑음서산3.6℃
    구름조금울진5.2℃
    구름많음청주8.2℃
    구름많음대전8.4℃
    맑음추풍령4.0℃
    맑음안동4.7℃
    맑음상주4.9℃
    맑음포항6.8℃
    구름많음군산7.2℃
    맑음대구6.5℃
    구름많음전주8.0℃
    맑음울산4.7℃
    맑음창원6.9℃
    맑음광주8.1℃
    맑음부산8.1℃
    맑음통영7.3℃
    맑음목포5.9℃
    맑음여수9.0℃
    맑음흑산도5.3℃
    맑음완도5.7℃
    맑음고창3.3℃
    흐림순천4.8℃
    구름많음홍성(예)5.0℃
    구름많음6.0℃
    맑음제주7.2℃
    구름많음고산8.1℃
    구름많음성산7.4℃
    맑음서귀포9.1℃
    맑음진주4.1℃
    맑음강화3.5℃
    구름많음양평6.3℃
    구름많음이천6.7℃
    맑음인제2.8℃
    맑음홍천4.1℃
    구름조금태백1.3℃
    맑음정선군2.9℃
    맑음제천2.7℃
    맑음보은4.2℃
    구름많음천안4.6℃
    구름많음보령5.1℃
    흐림부여7.1℃
    구름많음금산7.8℃
    구름많음7.1℃
    맑음부안6.4℃
    구름많음임실6.5℃
    맑음정읍5.0℃
    맑음남원6.2℃
    흐림장수7.2℃
    맑음고창군4.0℃
    맑음영광군4.6℃
    맑음김해시6.6℃
    맑음순창군5.1℃
    맑음북창원7.6℃
    맑음양산시6.4℃
    구름많음보성군6.5℃
    맑음강진군4.4℃
    맑음장흥3.2℃
    맑음해남2.4℃
    맑음고흥5.6℃
    맑음의령군5.2℃
    맑음함양군6.8℃
    맑음광양시9.0℃
    맑음진도군2.5℃
    맑음봉화1.4℃
    맑음영주3.7℃
    맑음문경5.3℃
    맑음청송군0.9℃
    맑음영덕3.8℃
    맑음의성2.8℃
    맑음구미6.5℃
    맑음영천2.8℃
    맑음경주시2.6℃
    맑음거창4.7℃
    구름많음합천7.0℃
    맑음밀양5.6℃
    구름많음산청6.3℃
    맑음거제6.4℃
    맑음남해6.6℃
    맑음5.1℃
  • 최종편집 2025-04-03(목)
 

5일, 국토교통부가 서울과 서울 경계로부터 약 10㎞ 이내 지역 4곳에 5만 호 규모의 신규 택지 후보지를 발표하며 내놓은 이유가 궁색하기 짝이 없다.


PYH2024110510730001300.jpg
정부가 서울을 포함해 수도권 일대 그린벨트 해제 및 주택 공급계획을 발표한 5일 서울 서초구 염곡동 개발제한구역 모습. 사진=연합뉴스

 

국토교통부가 이번에 발표한 후보지는 서울의 경우 선호도가 높은 강남 생활권인 서초에 서리풀 지구(2만 호)이며 경기도는 고양 대곡 역세권(0.9만 호)과 의왕 오전왕곡(1.4만호),의정부 용현(0.7만 호) 등 3개 지구 3만 호다.


국토부는 해당 지역이 이미 훼손되어 환경적 보전가치가 낮은 개발제한구역과 공장·창고 등이 난립하여 난개발이 발생 중이거나 우려되는 지역 또는  군부대가 입지하여 오랫동안 개발되지 못한 곳으로 계획적·체계적 개발이 필요한 곳이라고 했다.


황당한 것은 이번 국토부의 보도자료에는 '그린벨트'라는 용어는 전혀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스스로 그린벨트 지역을 해제하면서 무언가 켕기는 것이 있지는 않았을까.


그린벨트 해제 이유도 마찬가지다. 해당 지역이 훼손되어 있어 환경적 보전가치가 낮은 게 해제 사류라니 이는 마치 누군가에게 '그린벨트 푸는 법'에 대한 일타 강의를 하는 모양새다.


환경적 보전가치가 낮도록 훼손하면 된다고 부추기는 꼴 아닐 수 없다. 땅이 개발되면 가격이 오르는 것을 싫어 하는 사람이 어디에 있을까. 이번 정부의 의견대로라면 향후 우리나라 국토에 남아날 수 있는 그린벨트 지역이 어디 있을까.


정부의 이번 조치에 경실련도 강력한 규탄의 목소리를 냈다. 그린벨트 보호에는 어떤 핑계도 들이댈 수 없다. 


경실련은 지금 정부가 빼먹기 좋은 곶감처럼 생각하는 그린벨트나 국공유지는 지금 사람들의 성과물이 아니라고 했다. 


몇십 년 동안 개인의 재산권을 강제하면서 지정하고 오랜 기간 토지 소유자들의 희생을 무릅쓰고 어렵게 지켜온 정책인데 공공개발, 공공택지 등의 공익성을 앞세워 지속적으로 해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경실련 관계자는 "미래세대들에게 전해야 할 중요한 보존 자산을 눈앞의 이익 때문에 요리해 판매하는 잘못을 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태그

전체댓글 0

  • 56716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국토부의 궁색한 변명…'그린밸드 해제 이유 이미 훼손됐기 때문'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
Home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4.11.05 22:07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