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조금속초6.1℃
    구름조금5.0℃
    구름많음철원3.2℃
    구름많음동두천4.5℃
    구름많음파주5.3℃
    구름조금대관령-0.5℃
    구름많음춘천5.5℃
    맑음백령도6.2℃
    구름조금북강릉6.5℃
    구름조금강릉7.4℃
    맑음동해6.3℃
    눈서울5.1℃
    눈인천4.8℃
    구름조금원주5.4℃
    구름많음울릉도3.0℃
    흐림수원6.1℃
    구름조금영월5.4℃
    구름조금충주6.8℃
    구름많음서산6.0℃
    맑음울진5.7℃
    구름조금청주7.9℃
    구름조금대전8.2℃
    맑음추풍령5.0℃
    맑음안동6.2℃
    맑음상주8.9℃
    맑음포항7.6℃
    구름조금군산6.4℃
    구름조금대구7.0℃
    구름조금전주8.3℃
    맑음울산6.2℃
    구름많음창원8.0℃
    흐림광주7.7℃
    구름많음부산9.0℃
    구름많음통영7.0℃
    흐림목포6.4℃
    구름많음여수7.1℃
    구름많음흑산도9.2℃
    구름많음완도9.8℃
    흐림고창6.3℃
    흐림순천5.7℃
    눈홍성(예)6.2℃
    구름많음8.4℃
    구름조금제주8.8℃
    구름많음고산6.6℃
    구름많음성산7.9℃
    구름많음서귀포10.0℃
    구름많음진주7.7℃
    구름많음강화5.0℃
    구름많음양평6.3℃
    구름많음이천7.4℃
    구름많음인제3.2℃
    흐림홍천4.9℃
    맑음태백2.3℃
    구름조금정선군4.2℃
    구름조금제천4.8℃
    구름조금보은6.1℃
    구름많음천안6.6℃
    구름많음보령7.6℃
    구름많음부여8.4℃
    맑음금산6.3℃
    구름많음6.8℃
    맑음부안7.5℃
    구름조금임실7.1℃
    구름많음정읍7.1℃
    흐림남원6.7℃
    구름많음장수4.4℃
    구름많음고창군7.3℃
    흐림영광군6.7℃
    구름많음김해시7.7℃
    흐림순창군6.5℃
    구름많음북창원8.5℃
    구름조금양산시8.1℃
    흐림보성군8.2℃
    흐림강진군7.6℃
    흐림장흥7.8℃
    구름많음해남7.4℃
    구름많음고흥7.9℃
    구름많음의령군8.6℃
    구름많음함양군7.6℃
    흐림광양시8.3℃
    구름많음진도군7.6℃
    맑음봉화4.4℃
    맑음영주5.2℃
    맑음문경6.8℃
    맑음청송군6.0℃
    맑음영덕7.1℃
    맑음의성7.7℃
    맑음구미8.3℃
    맑음영천8.5℃
    구름조금경주시7.7℃
    구름조금거창6.5℃
    구름많음합천8.8℃
    구름조금밀양7.7℃
    구름많음산청7.2℃
    구름많음거제6.7℃
    흐림남해6.8℃
    구름많음8.5℃
  • 최종편집 2025-03-30(일)
 

한국소비자원(원장 윤수현)이 신규 조사한 ‘한국의 소비생활지표(2023)’를 분석한 결과, 부산광역시의 소비생활 만족도는 이전 조사에 비해 모든 분야에서 상승했고, 우선 추진해야 할 정책은 소비자교육 실시로 확인됐다.


4354.jpg

인포그래픽=한국소비자원 제공

 

2023년 부산지역 소비자(646명)가 체감한 '종합 소비생활만족도'는 전국 최고점인 73.2점으로 전국 68.1점 대비 5.1점 높았다. 또한 이 점수는 2021년 조사한 67.8점에서 5.4점 상승한 점수이다.

  

부산지역의 소비생활만족도는 2021년과 비교해 모든 분야에서 상승했고, 특히 생활위생·미용 분야가 77.1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주거·가정용품(76.9점), 의료·케어(76.4점)에서도 만족도가 높았는데, 특히 주거·가정용품은 가장 큰 폭(15.3점↑)으로 상승했다.

  

분야별 소비생활 중요도는 식품·외식분야가 92.9%로 가장 높았고, 의류(47.1%), 주거·가정용품(35.9%), 금융·보험(27.7%) 순이었다. 특히 ’21년 대비 소비생활 중요도가 상승한 분야는 의류(16.2%p↑), 식품·외식(15.7%p↑), 주거·가정용품(15.2%p↑)으로 나타났다(중복응답).

  

이번에 처음으로 조사한 항목인 ‘소비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소비가치’는 품질이 89.9%로 가장 높았고, 적정한 가격(67.6%), 안전(60.5%), 구매의 편리함(44.9%), 친환경·지속가능성(18.7%), 브랜드 이미지(18.3%) 순으로 나타났다(중복응답).


부산지역 소비자의 전자상거래 이용률(72.0%)은 2021년(84.9%) 대비 12.9%p 감소했다. 전자상거래 유형별로는 모바일쇼핑 이용률이 68.9%로 가장 높았고, 인터넷쇼핑(27.2%), 금융플랫폼(21.2%), SNS플랫폼쇼핑(15.5%)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산지역 소비자 10명 중 7명이 이용하는 모바일쇼핑은 부산 14개 구 중 수영구(85.0%)에서의 이용률이 높았으며, 모바일쇼핑에서의 소비자 문제 경험률(6.5%)은 금정구 35.7%, 부산진구 4.2%로 나타나 부산지역 내에서도 격차를 보였다(14개 구 조사기준).


부산지역 소비자의 지속가능소비 실천 수준은 59.2점으로 전국(57.1점) 대비 높게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40대(60.5점)가 잘 실천하는 반면 20대 청년층(58.1점)과 60대 이상 고령층(58.3점)은 낮게 나타나 지속가능소비 활성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지자체가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으로는 소비자교육 실시가 31.3%로 전국(24.6%)보다 6.7%p 높았다. 특히 20대(33.6%), 60대 이상(33.6%)의 수요가 높게 나타나, 청년층과 고령층이 지역소비자 시책 추진의 정책 대상으로 확인됐다. 

태그

전체댓글 0

  • 07628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한국의 종합 소비생활만족도 부산광역시가 가장 높아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
Home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4.11.27 23:36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