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속초4.2℃
    맑음4.1℃
    맑음철원4.1℃
    맑음동두천5.0℃
    맑음파주2.5℃
    맑음대관령-1.8℃
    맑음춘천4.9℃
    박무백령도4.4℃
    맑음북강릉3.5℃
    맑음강릉5.3℃
    맑음동해5.3℃
    맑음서울7.6℃
    박무인천6.6℃
    맑음원주5.9℃
    맑음울릉도4.4℃
    박무수원4.8℃
    구름많음영월6.9℃
    맑음충주5.5℃
    맑음서산3.8℃
    구름조금울진5.3℃
    흐림청주8.1℃
    구름많음대전8.9℃
    맑음추풍령4.3℃
    맑음안동5.6℃
    맑음상주5.5℃
    구름조금포항7.4℃
    흐림군산6.6℃
    맑음대구7.1℃
    박무전주8.4℃
    맑음울산5.4℃
    맑음창원7.4℃
    흐림광주8.4℃
    구름많음부산7.7℃
    맑음통영8.2℃
    박무목포6.0℃
    맑음여수9.4℃
    박무흑산도5.1℃
    맑음완도5.7℃
    맑음고창4.3℃
    흐림순천4.3℃
    박무홍성(예)5.2℃
    구름많음5.9℃
    구름많음제주7.2℃
    구름많음고산7.8℃
    구름많음성산7.3℃
    구름많음서귀포9.5℃
    맑음진주4.8℃
    맑음강화3.7℃
    맑음양평7.0℃
    맑음이천7.5℃
    맑음인제3.8℃
    맑음홍천5.1℃
    맑음태백3.1℃
    구름조금정선군3.7℃
    구름조금제천4.6℃
    구름조금보은4.7℃
    구름많음천안4.6℃
    구름많음보령3.8℃
    구름많음부여7.1℃
    맑음금산8.0℃
    구름조금7.0℃
    맑음부안6.9℃
    구름많음임실6.8℃
    맑음정읍5.8℃
    맑음남원7.7℃
    흐림장수7.5℃
    맑음고창군4.0℃
    맑음영광군5.0℃
    맑음김해시6.7℃
    맑음순창군6.1℃
    맑음북창원7.9℃
    맑음양산시6.7℃
    흐림보성군6.2℃
    맑음강진군4.9℃
    맑음장흥3.3℃
    맑음해남2.7℃
    흐림고흥5.1℃
    맑음의령군5.9℃
    구름많음함양군7.9℃
    맑음광양시9.4℃
    맑음진도군2.5℃
    맑음봉화2.7℃
    맑음영주4.8℃
    맑음문경5.7℃
    맑음청송군1.7℃
    맑음영덕4.0℃
    맑음의성3.5℃
    맑음구미8.9℃
    맑음영천3.5℃
    맑음경주시3.7℃
    맑음거창5.6℃
    구름조금합천7.5℃
    맑음밀양6.2℃
    구름많음산청7.7℃
    맑음거제6.9℃
    맑음남해7.0℃
    구름조금5.2℃
  • 최종편집 2025-04-03(목)
 
‘평화의 숨결, 아시아의 미래’ 제17회 인천아시아경기대회가 9월 19일부터 10월 4일까지 인천을 비롯한 9개 도시에서 열린다. ‘45억 아시아인의 잔치’인 아시아경기대회가 인종·종교·영토 등의 갈등을 아우르는 화합의 장이 될 것으로 많은 아시아인들은 기대하고 있다.
 
이번 대회는 1986년 서울, 2002년 부산 이후 한국에서 치러지는 세번째 아시아경기대회다. 세번 이상 아시아경기대회를 개최한 나라는 태국(4회)과 한국뿐이다. 일본·중국·인도는 두번씩 개최했다. 다음 대회는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다.
 
아시아경기대회에는 45개국의 선수와 임원 1만3천여 명이 참가해 36개 종목(올림픽 종목 28개, 비올림픽 종목 8개)에서 총 3,442개의 메달을 놓고 경쟁한다. 북한의 참가로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 회원국이 모두 출전하는 만큼 명실상부한 ‘최고 대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p14_1990.jpg

북한은 14개 종목에 150명이 출전신청서를 제출했다. 체조의 리세광, 탁구의 리명순 등이 간판이다. 남자역도도 아시아 정상권이다. 하지만 2002년 부산 대회 때와 달리 응원단은 파견하지 않는다. 한국의 목표는 금메달 90개 이상 획득으로 5회 연속 종합 2위. 2002년 부산 대회에서는 96개, 2006년 도하에서는 58개, 2010년 광저우에서는 76개를 땄다. 중국은 1982년 뉴델리 대회 때 일본을 제치고 1위로 올라선 이후 독주하고 있다.
 
최고 효자 종목은 금메달 44개가 걸린 사격이다. 한국은 광저우에서 13개의 금메달을 땄으며 이번 대회에서는 15개를 노린다. ‘월드스타’ 박태환(수영), 리듬체조의 손연재, 체조의 양학선 등도 ‘금빛질주’를 다짐하고 있다. 야구와 축구는 사상 첫 동반우승을 노리고 있다.
 
아시아경기대회의 마스코트는 인천에만 서식하는 점박이물범을 모티브로 한 비추온, 바라메, 추므로다. 4,900억원이 투입된 주경기장은 63만1,975평방미터 부지에 연면적 11만3,620평방미터 규모로 착공 3년여 만에 완공됐으며 최대 6만2,818명을 수용할 수 있다.
 
개·폐막식은 임권택·장진 감독이 총감독과 총연출을 맡았다. 개막식에는 한류스타 싸이·EXO와 세계적인 중국 피아니스트 랑랑의 공연이 준비돼 있다. 고은 시인의 헌정시 ‘아시아드의 노래’에 곡을 붙여 소프라노 조수미와 인천 시민합창단이 열창한다. 성화 봉송에는 배우 이시영, 걸그룹 씨스타의 효린, 여자양궁의 기보배 등 4천여 명이 나섰다. 백령도·제주도·울릉도를 잇는 바닷길과 조선시대 옛길 등 전국 70개 시·군·구 5,700킬로미터를 달렸다.
 
개막식 입장권 가격은 10만~100만원, 일반 경기는 5천~5만원 선이다. 축구 결승전 입장권은 3만~10만원, 야구 결승전은 1만~5만원이다.
김영수 인천아시아경기대회 조직위원장은 “아시아경기대회가 인천만의 행사가 아니라 국가행사라는 점에서 국민들께서도 더 많은 관심과 성원을 보내 주시기 바란다”며 “대회 기간 하루쯤 인천의 날로 정해서 마음에 드는 경기를 관람하시고 문화행사도 둘러보시길 부탁한다”고 말했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인천아시안게임 19일 개막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
Home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14.09.16 10:35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