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조금속초7.9℃
    맑음-2.0℃
    맑음철원-1.3℃
    맑음동두천1.2℃
    맑음파주-1.5℃
    맑음대관령-2.6℃
    맑음춘천-0.9℃
    박무백령도6.3℃
    맑음북강릉7.3℃
    구름조금강릉9.7℃
    구름조금동해5.5℃
    박무서울5.0℃
    박무인천5.1℃
    맑음원주1.3℃
    맑음울릉도5.8℃
    박무수원2.9℃
    맑음영월-1.6℃
    맑음충주0.1℃
    맑음서산1.6℃
    구름조금울진3.2℃
    맑음청주4.9℃
    맑음대전3.4℃
    맑음추풍령0.8℃
    구름조금안동1.0℃
    맑음상주5.4℃
    맑음포항5.3℃
    맑음군산2.4℃
    맑음대구3.8℃
    박무전주3.3℃
    맑음울산3.2℃
    맑음창원5.1℃
    박무광주4.0℃
    구름조금부산5.8℃
    구름많음통영4.0℃
    박무목포4.8℃
    박무여수5.7℃
    구름조금흑산도5.8℃
    맑음완도4.0℃
    맑음고창0.0℃
    구름조금순천-1.6℃
    박무홍성(예)2.3℃
    맑음1.1℃
    흐림제주6.9℃
    구름많음고산7.8℃
    흐림성산6.8℃
    흐림서귀포7.2℃
    맑음진주0.1℃
    맑음강화2.4℃
    맑음양평2.0℃
    맑음이천1.1℃
    맑음인제-1.5℃
    맑음홍천-0.4℃
    구름많음태백-1.4℃
    맑음정선군-2.4℃
    맑음제천-2.1℃
    맑음보은-1.1℃
    맑음천안0.1℃
    맑음보령2.8℃
    구름많음부여3.7℃
    맑음금산-0.4℃
    맑음2.4℃
    맑음부안2.0℃
    맑음임실-1.1℃
    맑음정읍1.2℃
    맑음남원0.3℃
    맑음장수-3.1℃
    맑음고창군1.3℃
    맑음영광군0.9℃
    맑음김해시4.2℃
    맑음순창군-0.6℃
    맑음북창원4.4℃
    맑음양산시3.1℃
    구름많음보성군2.0℃
    구름많음강진군1.7℃
    구름많음장흥-0.3℃
    구름많음해남0.3℃
    구름많음고흥0.4℃
    맑음의령군0.5℃
    맑음함양군-1.1℃
    구름많음광양시3.6℃
    구름많음진도군2.0℃
    구름많음봉화-2.1℃
    구름많음영주0.4℃
    구름많음문경1.9℃
    맑음청송군-2.0℃
    맑음영덕3.7℃
    맑음의성-0.3℃
    맑음구미1.4℃
    맑음영천0.2℃
    맑음경주시0.5℃
    맑음거창-0.9℃
    맑음합천1.8℃
    맑음밀양1.8℃
    맑음산청0.0℃
    구름조금거제3.0℃
    구름많음남해4.3℃
    맑음1.4℃
  • 최종편집 2025-03-31(월)
 

지난 14일, ‘2021 월드 케이팝 콘서트’가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위드 코로나’를 맞아 정부 차원에서 개최한 이번 콘서트는 약 3000명 규모의 팬과 함께 대면으로 진행됐으며 그동안 얼어붙었던 대중음악 공연계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


BF.28104709.1-1200x.jpg
‘2021 월드 케이팝 콘서트’ 현장 사진출처=한국 국제문화교류진흥원 한류지원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대중음악계는 많은 것이 바뀌었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공연에 대한 방역조치가 엄격하게 적용되다 보니 대중음악 콘서트 매출액은 지난해보다 85%가량 감소했다. 


팬데믹 장기화로 인해 대면접촉을 피하는 ‘언택트 콘서트’가 활성화됐다. 온라인으로 공연을 즐길 수 있는 새로운 문화가 태어났다. 하지만 언택트 콘서트는 현장 콘서트 분위기를 그대로 전달하기에는 부족한 게 사실이다. 


일상 회복을 위한 ‘위드 코로나’가 시행되면서 연말 성수기를 앞두고 공연기획사들은 우후죽순으로 공연 일정을 발표하고 있다. 콘서트를 기다리고 있던 팬들의 기대도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코로나19가 아직 끝나지 않았다. 당장 ‘언택트 콘서트’가 사라지지도 않을 것이다. 이미 새로운 문화로 등장한 '언택트 콘서트'는 방역조치로 탄생한 단순한 돌파구가 아닌 핵심 산업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 기술의 발달과 소비의 다양성은 ‘언택트’ 문화를 지속시킬 수 있다. 


‘언택트’는 동일한 비용 대비 홍보효과가 더 크다. 실시간 소통도 가능하다. ‘AR 합성기술’을 이용해 무대를 다채롭게 만들고 ‘3D 입체 사운드 기술’을 통한 입체적 사운드를 제공한다. 만약 콘서트 무대 바로 앞 좌석 양끝에 앉아 한쪽 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만 듣는 것보다 스피커나 이어폰만으로도 훌륭한 사운드를 들을 수 있다. 화려한 카메라 워크를 통해 아티스트의 열창을 감상할 수 있다면 감동을 느끼기에 충분하다. 

 

레오나드로 다빈치의 '모나리자'를 굳이 직관하지 않아도 해상도 높은 사진을 통해 감상할 수 있다. 콘서트도 마찬가지다. 실제 콘서트 현장에 가지 않더라도 언택트 콘서트를 통해 감동을 받을 수 있다. 


‘위드 코로나’와 오프라인 공연의 활성화로 공연업계의 호황은 기대되지만 코로나19가 만든 ‘언택트 콘서트’를 임시방편으로만 치부하지 말았으면 한다. 


201603231_1280.jpg
BTS의 ‘언택트 콘서트’ 사진출처=빅히트 뮤직

 

코로나19 사태 이후 사회가 변화한 것처럼 콘서트도 다양해지면 어떨까? 오프라인과 온라인은 소통 방식과 효과가 명확히 다르다. 실제 콘서트와 언택트 콘서트는 분명히 다르다. 직관하거나 대면만이 유일하다는 관점에서 벗어나 온오프라인의 장점을 서로 조화롭게 결합하거나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때다. 

 

코로나19는 사라져야 하지만 '언택트 콘서트'는 남아있기를 희망한다.


KakaoTalk_20210916_133800790.png
글=오지헌 칼럼니스트 (STUDIO AM 대표)
태그

전체댓글 0

  • 9855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위드 코로나’와 언택트 콘서트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
Home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1.11.26 12:49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