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속초6.7℃
    맑음2.5℃
    맑음철원1.0℃
    맑음동두천4.2℃
    맑음파주1.7℃
    맑음대관령-2.1℃
    맑음춘천3.1℃
    맑음백령도4.9℃
    맑음북강릉3.2℃
    맑음강릉4.5℃
    맑음동해4.3℃
    맑음서울7.3℃
    맑음인천6.2℃
    구름많음원주5.1℃
    맑음울릉도4.4℃
    구름조금수원4.8℃
    맑음영월4.8℃
    구름많음충주4.9℃
    맑음서산3.3℃
    구름조금울진5.4℃
    구름조금청주7.4℃
    구름많음대전7.8℃
    맑음추풍령3.1℃
    맑음안동4.8℃
    맑음상주4.3℃
    맑음포항6.2℃
    구름조금군산6.9℃
    맑음대구5.9℃
    구름많음전주7.5℃
    맑음울산4.9℃
    맑음창원6.2℃
    맑음광주7.6℃
    맑음부산7.8℃
    맑음통영6.7℃
    맑음목포5.5℃
    맑음여수8.7℃
    맑음흑산도5.4℃
    맑음완도5.2℃
    맑음고창2.7℃
    맑음순천4.0℃
    흐림홍성(예)5.4℃
    구름조금6.9℃
    구름조금제주7.4℃
    구름조금고산8.2℃
    구름조금성산7.7℃
    구름조금서귀포9.1℃
    맑음진주3.6℃
    맑음강화6.1℃
    구름많음양평5.8℃
    구름많음이천6.4℃
    맑음인제2.1℃
    구름많음홍천3.6℃
    맑음태백0.3℃
    맑음정선군2.1℃
    구름조금제천2.6℃
    맑음보은2.7℃
    구름많음천안4.5℃
    맑음보령3.7℃
    흐림부여7.2℃
    흐림금산7.7℃
    구름많음6.8℃
    맑음부안5.1℃
    구름많음임실6.2℃
    맑음정읍4.3℃
    구름많음남원6.3℃
    흐림장수6.8℃
    맑음고창군2.9℃
    맑음영광군4.0℃
    맑음김해시6.0℃
    구름많음순창군4.6℃
    맑음북창원7.0℃
    맑음양산시5.6℃
    맑음보성군6.2℃
    맑음강진군3.6℃
    맑음장흥2.6℃
    맑음해남1.6℃
    맑음고흥5.5℃
    맑음의령군4.5℃
    맑음함양군5.4℃
    맑음광양시7.9℃
    흐림진도군2.7℃
    맑음봉화0.2℃
    맑음영주2.5℃
    맑음문경4.5℃
    맑음청송군0.4℃
    구름조금영덕3.1℃
    맑음의성2.2℃
    맑음구미5.6℃
    맑음영천2.3℃
    맑음경주시2.0℃
    흐림거창5.0℃
    맑음합천6.4℃
    맑음밀양5.0℃
    맑음산청5.4℃
    맑음거제6.3℃
    맑음남해6.9℃
    맑음4.2℃
  • 최종편집 2025-04-03(목)
 

'김포 장릉 경관 훼손 논란'과 관련 국민 정서는 찬반으로 갈렸다. 지난 7월 문화재청은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김포 장릉 인근에 새로 들어서는 아파트 19개 동에 문화재 주변 경관을 훼손한다는 이유로 공사중지명령을 내렸다.


6442.jpg
해당 사진은 일반인이 접근할 수 없는 봉분 주변 언덕에서 촬영됐다. 사진출처=더불어민주당 이병훈 국회의원

결국 지난 9월 서울행정법원은 19개 동 중 12개 동의 공사 중지를 인정하는 가처분 결정을 했다. 건설사들은 이에 반발해 공사 중단 명령에 대한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냈으나 3건 중 2건이 법원에서 기각되면서 공사가 중단됐다. 하지만 지난 10일 열린 항고심에서 법원이 건설사들의 손을 들어주면서 공사 재개가 가능해진 상황이다. 이에 문화재청은 다시 항소의 뜻을 밝힌 상황이다.


문화재청은 건설사들의 명백한 위법 행위를 묵과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문화재청은 문화재 반경 500m 내의 역사 문화환경 보존지역에 짓는 20m 이상의 건축물이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사전 심의를 받아야 하지만, 이들 건설사들이 심의를 건너뛰고 건설 공사를 진행했다고 주장한다.


반면 건설사와 인천 서구청은 행정 절차에 문제가 없었다고 맞섰다. 사업 시행자인 인천도시공사가 2014년 해당 아파트와 관련해 문화재보호법상 '현상 변경 등 허가'를 받았다는 것, 이를 승계 받은 건설사들이 적법하게 아파트를 지었을 뿐이라는 주장이다. 


지난 9월 중순 한 방송사에서 관련 보도가 처음 나온 이후 여론은 둘로 나뉘었다. 공사 중단을 요구하는 측은 왕릉 뷰 훼손으로 인해 자칫 유네스코에 등재마저 탈락할 수 있다는 위기론까지 등장했다면서 이번에 봐주게 되면 자칫 선례가 되기 때문에 아파트를 부수는 한이 있더라도 막아야 한다는 국민청원까지 올라왔다.


다른 한편에서는 이미 분양까지 끝내고 다 지어진 아파트를 놓고 문화재청이 행정착오로 방관하다가 뒷북 제재를 하고 나서니 답답하다는 입장이다. 문화재 반경 500미터에 대한 명확한 기준도 없어 논란이고 평소 일반인들이 볼 수 없는 위치에서 굳이 아파트 경관 뷰 논란을 꺼낸 이유도 의아하다는 반응이다. 이들은 문화재청이 이 같은 상황에 대해 유네스코를 설득하려는 의지는 전혀 없어 보인다고 지적했다.


지난 9월 16일 첫 보도된 지 3일 후 장릉에 관심이 생겨 현장에 다녀왔다는 한 시민이 장릉 주면 사진을 위메이크뉴스에 보내왔다.  


KakaoTalk_20211216_140858914_01.jpg
일반인이 봉분에 최대한 접근할 수 있는 정자각 위치에서 촬영한 장면. 이 앵글에는 멀리 기중기가 일부 보이긴 하지만 아파트는 나무에 가려 보이지 않는다. 촬영일은 9월 19일로 아파트 골조가 모두 올라가 있는 상태다. 사진=손민영 님 제보
KakaoTalk_20211216_140858914_02.jpg
일반인이 최대한 멀리 볼 수 있는 위치에서 줌 기능을 활용해 촬영한 아파트 뷰 촬영 앵글. 멀리 기중기가 일부 보이긴 하지만 아파트는 나무에 가려 보이지 않는다. 촬영일은 9월 19일로 골조가 모두 올라가 있는 상태다. 사진=손민영 님 제보
KakaoTalk_20211216_140858914.jpg
봉분 주변으로 울타리가 있어 일반인이 봉분에 접근할 수 있는 최대한 가까운 위치. 언덕 너머 멀리 봉분이 보인다. 방송에서 논란이 된 사진 촬영 위치는 언덕 위 봉분 옆으로 추정된다. 사진=손민영 님 제보 

사진을 보내준 손민영(36 인천)씨는 "장릉 아파트 뷰 관련 논란을 직접 확인하기 위해 현장에 갔으나 정작 방송에서 촬영한 위치는 일반인들이 절대 접근할 수 없는 봉분에 가까운 언덕 주변이었다. 그 주변은 접근조차 힘든 금지구역인데 그 방송사는 제재를 어기고 봉분 언덕에 올라가서 촬영을 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전했다.


손 씨는 "일반인이 평소 접근할 수 있는 위치도 아닌 곳에 올라가서 아파트 뷰 논란을 일으킨 자체가 의문"이라면서 "무엇이든 보는 각도에 따라 결과가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실감한 사례다. 또한 시점도 때에 따라 다를테니 나무의 낙엽이 떨어져 아파트가 보일 수도 있을 것이라는 궁금증이 생겨 다시 가서 촬영해 볼 생각"이라고 말했다.


한편, 업계 관계자는 "소위 왕릉 뷰라고 하는 사진을 보면 능의 꼭대기인 능상에서 찍은 것이다. 하지만 후손들이 제사를 지내는 곳은 봉분에서 훨씬 아래 위치인 정자각인 것으로 알고 있다. 아파트가 올라올 때까지 누구도 알 수 없는 상황이었을 것이다.  문화재청이 유네스코의 하급 기관이 아닌 만큼 이런 사유를 들어 설득하면 해결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전체댓글 0

  • 20957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장릉 아파트 뷰 훼손 논란' 현장에서 본 각도의 차이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
Home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1.12.16 16:09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