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속초9.5℃
    박무5.3℃
    맑음철원5.4℃
    맑음동두천6.0℃
    맑음파주4.9℃
    구름많음대관령3.0℃
    구름많음춘천5.5℃
    안개백령도1.8℃
    구름조금북강릉6.6℃
    맑음강릉9.5℃
    맑음동해9.4℃
    구름많음서울6.9℃
    박무인천6.3℃
    구름많음원주6.2℃
    맑음울릉도8.2℃
    박무수원6.3℃
    흐림영월6.5℃
    구름많음충주6.6℃
    맑음서산3.2℃
    맑음울진8.3℃
    흐림청주6.0℃
    박무대전5.4℃
    구름많음추풍령5.3℃
    구름조금안동7.0℃
    맑음상주6.9℃
    맑음포항8.6℃
    맑음군산4.1℃
    맑음대구7.7℃
    맑음전주4.4℃
    맑음울산8.0℃
    맑음창원8.8℃
    박무광주4.9℃
    맑음부산8.4℃
    맑음통영6.9℃
    맑음목포4.8℃
    맑음여수6.9℃
    맑음흑산도7.8℃
    맑음완도7.1℃
    맑음고창-1.0℃
    맑음순천4.0℃
    박무홍성(예)4.1℃
    맑음6.1℃
    맑음제주7.6℃
    맑음고산9.3℃
    맑음성산5.5℃
    맑음서귀포7.9℃
    맑음진주2.4℃
    맑음강화5.7℃
    맑음양평8.1℃
    맑음이천6.7℃
    흐림인제6.6℃
    구름많음홍천6.3℃
    흐림태백4.0℃
    흐림정선군6.6℃
    흐림제천5.7℃
    구름많음보은6.3℃
    구름많음천안6.4℃
    맑음보령2.6℃
    맑음부여3.1℃
    맑음금산3.8℃
    맑음5.0℃
    맑음부안3.9℃
    맑음임실0.6℃
    맑음정읍2.7℃
    맑음남원1.1℃
    맑음장수0.7℃
    맑음고창군1.1℃
    맑음영광군-0.5℃
    맑음김해시7.1℃
    맑음순창군0.9℃
    맑음북창원8.8℃
    맑음양산시7.0℃
    맑음보성군6.0℃
    맑음강진군2.4℃
    맑음장흥0.7℃
    맑음해남-0.6℃
    맑음고흥2.9℃
    맑음의령군5.9℃
    맑음함양군2.9℃
    맑음광양시5.7℃
    맑음진도군1.6℃
    흐림봉화5.9℃
    구름많음영주7.0℃
    구름많음문경6.9℃
    흐림청송군6.6℃
    구름많음영덕8.7℃
    구름많음의성7.8℃
    맑음구미7.5℃
    맑음영천7.9℃
    맑음경주시5.8℃
    맑음거창4.1℃
    맑음합천3.9℃
    맑음밀양4.6℃
    맑음산청4.7℃
    맑음거제7.0℃
    맑음남해9.4℃
    맑음8.9℃
  • 최종편집 2025-04-05(토)
 

국가채무, 1년새 60조 증가…예산 대비로는 7조6천억 줄어

1인당 국가채무 2천179만…미확정부채 포함 국가부채 2천439조


C0A8CA3D000001618759ECCA000600F7_P4.jpg
국가채무 (CG)[연합뉴스TV 제공]

 

지난해 나랏빚이 60조원 가까이 늘면서 1천100조원대로 불어났다.


국가채무 증가 속도가 국내총생산(GDP) 증가율보다 가파르다 보니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은 처음으로 50%를 넘어섰다.


정부는 11일 국무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2023회계연도 국가결산보고서'를 심의·의결했다.


국가결산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가채무(중앙+지방정부 채무)는 1천126조7천억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전년 결산(1천67조4천억원)보다 59조4천억원 증가했다.


중앙정부 채무가 1천92조5천억원으로, 1년 전보다 59조1천억원 늘었다.


일반회계 적자보전(54조3천억원), 에너지·자원사업 특별회계 예탁(1조1천억원) 등에 기인한다.


지방정부 채무는 전년보다 3천억원 늘어난 34조2천억원으로 추정됐다. 오는 6월 이후 지자체 결산에서 확정된다.


2023년도 예산과 비교하면 지난해 결산 국가채무는 7조6천억원 줄었다.


국가채무는 2016∼2018년 600조원대, 2019년 723조2천억원이다가 코로나19 시기를 거치며 2020년 846조6천억원, 2021년 970조7천억원, 2022년 1천67조4천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기획재정부 김명중 재정성과심의관은 "그간의 재정적자가 누적되는 개념이기 때문에 매년 국가채무, 국가부채는 계속 증가하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국가채무의 GDP 대비 비율은 50.4%로 나타났다. 전년(49.4%)보다 1.0%포인트(p) 증가했다.


결산 기준으로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이 50%를 넘어선 건 1982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처음이다.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은 2011∼2019년 30%대를 기록하다가 2020년 40%대로 진입, 2022년 49.4%로 늘었다.


PCM20201015000102990_P4.jpg
국가채무 (PG)[김민아 제작] 일러스트

 

다만 정부는 2022·2023년도 본예산에서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을 이미 50%대로 추정했던 바 있다고 설명했다.


1인당 국가채무는 2천178만8천원으로 나타났다. 국가채무를 지난해 통계청 추계인구(5천171만3천명)로 나눈 값이다.


지난해 국가부채는 2천439조3천억원으로 전년(2천326조원)보다 113조3천억원 늘었다.


재정적자 보전을 위한 국채발행 잔액이 60조원 증가했고, 공무원·군인연금의 현재 가치액(연금충당부채)이 48조9천억원 늘었다.


국가부채는 지급 시기와 금액이 확정되지 않은 비확정부채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 때문에 정부는 국가채무와 국가부채가 다르다고 본다.


비확정부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연금충당부채는 장기간에 걸친 미래 지급액을 추정한 금액이다. 실제 지출은 연금보험료 수입으로 우선 충당하고 있어 국가가 당장 갚아야 할 빚과는 다르다는 게 정부 설명이다. 연합뉴스

태그

전체댓글 0

  • 57501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국가채무 1천127조 '역대 최대'…GDP 대비 첫 50% 돌파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
Home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4.04.11 13:58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