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속초6.8℃
    박무4.4℃
    흐림철원4.2℃
    흐림동두천5.5℃
    구름많음파주5.4℃
    구름많음대관령0.4℃
    구름많음춘천5.0℃
    안개백령도4.6℃
    구름많음북강릉6.2℃
    구름많음강릉7.7℃
    구름많음동해7.6℃
    비서울7.9℃
    흐림인천7.1℃
    흐림원주7.0℃
    비울릉도9.7℃
    박무수원7.2℃
    흐림영월7.0℃
    흐림충주7.9℃
    구름많음서산5.1℃
    구름조금울진8.0℃
    박무청주7.8℃
    박무대전7.3℃
    맑음추풍령6.6℃
    맑음안동8.6℃
    구름많음상주8.3℃
    맑음포항11.1℃
    맑음군산5.9℃
    맑음대구11.3℃
    박무전주7.1℃
    맑음울산11.0℃
    맑음창원9.6℃
    박무광주7.6℃
    맑음부산11.3℃
    맑음통영10.6℃
    맑음목포6.9℃
    맑음여수10.4℃
    맑음흑산도6.6℃
    맑음완도7.5℃
    맑음고창4.2℃
    맑음순천7.0℃
    박무홍성(예)6.8℃
    흐림8.2℃
    맑음제주10.5℃
    맑음고산10.8℃
    맑음성산10.4℃
    맑음서귀포10.2℃
    맑음진주9.4℃
    흐림강화6.2℃
    구름많음양평7.4℃
    흐림이천7.2℃
    구름조금인제3.1℃
    흐림홍천5.8℃
    맑음태백4.9℃
    구름많음정선군4.7℃
    흐림제천6.6℃
    흐림보은7.2℃
    흐림천안7.7℃
    맑음보령5.4℃
    맑음부여6.4℃
    흐림금산7.1℃
    흐림7.1℃
    맑음부안5.4℃
    맑음임실4.7℃
    맑음정읍4.7℃
    맑음남원6.6℃
    맑음장수4.3℃
    맑음고창군4.4℃
    맑음영광군4.5℃
    맑음김해시10.7℃
    맑음순창군5.4℃
    맑음북창원11.4℃
    맑음양산시11.3℃
    맑음보성군8.2℃
    맑음강진군6.4℃
    맑음장흥6.9℃
    맑음해남6.4℃
    맑음고흥8.5℃
    맑음의령군9.0℃
    맑음함양군8.0℃
    맑음광양시9.5℃
    맑음진도군4.2℃
    맑음봉화7.4℃
    구름조금영주6.4℃
    구름많음문경7.7℃
    맑음청송군8.4℃
    맑음영덕10.1℃
    맑음의성7.6℃
    맑음구미7.8℃
    맑음영천10.1℃
    맑음경주시10.7℃
    맑음거창7.4℃
    맑음합천10.9℃
    맑음밀양10.9℃
    맑음산청8.0℃
    맑음거제11.3℃
    맑음남해10.9℃
    맑음11.0℃
  • 최종편집 2025-04-05(토)
 

국립정신건강센터(센터장 곽영숙)가 전국 15세 이상 69세 이하 국민 3,000명을 대상으로 약 3개월간 진행한 정신건강 인식조사에 따르면 정신질환 이해도는 4.05점으로 2022년 대비 0.1점 상승하였고, 부정적 인식과 수용도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student-5752322_640.png
일러스트=픽사베이

 

인식이 개선된 항목은 ▲누구나 정신질환에 걸릴 수 있다(2022년 83.2% → 2024년 90.5%), ▲정신질환은 일종의 뇌기능 이상일 것이다(2022년  49.3% → 2024년 61.4%) 등이 있으며, ▲내가 정신질환에 걸리면 몇몇 친구들은 나에게 등을 돌릴 것이다(2022년  39.4% → 2024년 50.7%), ▲정신질환이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더 위험한 편이다(2022년  64.0% →2024년 64.6%)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방법을 알고 있다(2022년  27.9% → 2024년 24.9%) 등은 상대적으로 인식이 악화됐다.

 

‘평소 자신의 정신건강 상태’를 묻는 문항에 대해, 응답자의 55.2%가‘좋다’라고 평가하였다. 또한, 전체 응답자의 78.8%가 ‘평소 건강한 정신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라고 답하였다. 하지만, 지난 1년간 정신건강 문제 경험률은 73.6%로 2022년  결과(63.9%)에 비해, 9.7%p 증가하였다.

 

특히, ▲심각한 스트레스(2022년  36.0% → 2024년 46.3%), ▲수일간 지속되는 우울감(2022년  30.0% → 2024년 40.2%), ▲기타중독(인터넷, 스마트폰 등)(2022년  6.4% → 2024년 18.4%) 등은 2022년도 결과 대비 10%p 이상 증가하였다. 이러한 정신건강 문제 경험 시, 도움을 요청했던 대상은 ‘가족 및 친지’가 49.4%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정신과 의사 또는 간호사(44.2%), 친구 또는 이웃(41.0%) 순이었다.

 

정신질환 사례별(Case Vignette) 인식은 주어진 사례를 보고 해당 질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으로, 총 3가지 사례(▲주요 우울 장애, ▲정신과적 증상이 불분명한 자살사고, ▲조현병)에 대해 1,000명씩 유의 할당하여 조사하였다.

  

앞서 정신건강에 대한 일반적 이해도가 높아진 것과는 달리, 제시된 정신질환 사례를 정확하게 인식한 비율은 주요 우울 장애 43.0%, 조현병 39.9%로 다소 낮았다. 또한, 부정적 인식에서 ‘정신질환자는 위험하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64.6%인 것과 달리, ‘사례와 같은 정신질환 문제가 있는 사람들은 다른 사람에게 위험하다.’라고 응답하는 비율이 매우 낮았다.


국립정신건강센터 곽영숙 센터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2022년 대비 정신건강 문제 경험률이 높아진 것과 달리,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방법을 아는 비율은 오히려 감소하였다”라며, “정신건강 문제는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며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교육을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태그

전체댓글 0

  • 78724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대한민국 국민 절반 '심각한 스트레스'… 2년전보다 10% 늘어 46.3%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
Home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4.07.04 12:45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