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속초9.5℃
    박무5.3℃
    맑음철원5.4℃
    맑음동두천6.0℃
    맑음파주4.9℃
    구름많음대관령3.0℃
    구름많음춘천5.5℃
    안개백령도1.8℃
    구름조금북강릉6.6℃
    맑음강릉9.5℃
    맑음동해9.4℃
    구름많음서울6.9℃
    박무인천6.3℃
    구름많음원주6.2℃
    맑음울릉도8.2℃
    박무수원6.3℃
    흐림영월6.5℃
    구름많음충주6.6℃
    맑음서산3.2℃
    맑음울진8.3℃
    흐림청주6.0℃
    박무대전5.4℃
    구름많음추풍령5.3℃
    구름조금안동7.0℃
    맑음상주6.9℃
    맑음포항8.6℃
    맑음군산4.1℃
    맑음대구7.7℃
    맑음전주4.4℃
    맑음울산8.0℃
    맑음창원8.8℃
    박무광주4.9℃
    맑음부산8.4℃
    맑음통영6.9℃
    맑음목포4.8℃
    맑음여수6.9℃
    맑음흑산도7.8℃
    맑음완도7.1℃
    맑음고창-1.0℃
    맑음순천4.0℃
    박무홍성(예)4.1℃
    맑음6.1℃
    맑음제주7.6℃
    맑음고산9.3℃
    맑음성산5.5℃
    맑음서귀포7.9℃
    맑음진주2.4℃
    맑음강화5.7℃
    맑음양평8.1℃
    맑음이천6.7℃
    흐림인제6.6℃
    구름많음홍천6.3℃
    흐림태백4.0℃
    흐림정선군6.6℃
    흐림제천5.7℃
    구름많음보은6.3℃
    구름많음천안6.4℃
    맑음보령2.6℃
    맑음부여3.1℃
    맑음금산3.8℃
    맑음5.0℃
    맑음부안3.9℃
    맑음임실0.6℃
    맑음정읍2.7℃
    맑음남원1.1℃
    맑음장수0.7℃
    맑음고창군1.1℃
    맑음영광군-0.5℃
    맑음김해시7.1℃
    맑음순창군0.9℃
    맑음북창원8.8℃
    맑음양산시7.0℃
    맑음보성군6.0℃
    맑음강진군2.4℃
    맑음장흥0.7℃
    맑음해남-0.6℃
    맑음고흥2.9℃
    맑음의령군5.9℃
    맑음함양군2.9℃
    맑음광양시5.7℃
    맑음진도군1.6℃
    흐림봉화5.9℃
    구름많음영주7.0℃
    구름많음문경6.9℃
    흐림청송군6.6℃
    구름많음영덕8.7℃
    구름많음의성7.8℃
    맑음구미7.5℃
    맑음영천7.9℃
    맑음경주시5.8℃
    맑음거창4.1℃
    맑음합천3.9℃
    맑음밀양4.6℃
    맑음산청4.7℃
    맑음거제7.0℃
    맑음남해9.4℃
    맑음8.9℃
  • 최종편집 2025-04-05(토)
 

보유자 ‘찬성’ 60% 내외인데, 비보유자는 ‘반대’ 70% 내외

비보유자는 지하 주차보다 충전에 대한 거부감 더 커


PYH2024080514260006500.jpg
인천 청라아파트 화재 원인이었던 벤츠 차량. 사진=연합뉴스

 

전기차 보유자와 비보유자 사이의 갈등이 커질 조짐이 있고, 그 중심은 지하 주차장에서의 주차와 충전이다. 이들의 태도는 정반대에 가까워 좁히기 어려워 보인다.


컨슈머인사이트의 ‘전기차 화재 소비자반응 추적 조사’ 1차와 2차는 추적조사 패널을 구축하기 위한 시도의 일부로 동일한 질문을 사용해 진행됐다. 기간은 1차 ‘8월7일~11일’과 2차 ‘8월12일~14일’이며 편의상 이를 1주차, 2주차 조사라 한다. 응답한 표본수는 총 4만5628명(1차 3만4685명, 2차 1만943명)이다. 


이들 중 전기차 보유자는 2544명(전체의 5.6%)이며, 이 조사가 전기차 화재 사건 직후에 시작됐기 때문에 전기차보유자가 더 많이 참여했을 가능성이 있다. 3차 조사부터는 표본틀에서 목표 표본수 만큼 독립표집할 예정이다.


■ 예상되는 사회갈등의 핵심 주제는 ‘주차와 충전’


전기차 보유자와 비보유자 간의 갈등을 유발할 핵심 주제는 전기차의 ‘지하 주차장 주차와 충전’이다. 보유자는 주차와 충전에 대해 찬성이 각각 66%, 59%인 반면, 비보유자는 반대가 67%, 75%였다[그림1]. 반면 보유자의 ‘반대’, 비보유자의 ‘찬성’은 모두 10%대에 그쳤다. 이 문제에 대한 양자의 태도는 찬성과 반대로 극명하게 갈려 합의점을 찾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3466T.jpg

 

1~2차 조사의 차이를 보면 보유자는 주차와 충전에 찬성하는 비율이 각각 5%p, 7%p 상승했다. 초기 충격에서 다소 벗어나 현실적인 입장으로 되돌아 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비보유자도 찬성이 각각 2%p 늘었으나 그 비율이 10% 내외에 그쳐 경계심을 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비보유자는 지하 ‘주차와 충전’ 중 ‘충전’에 대해 더 거부감이 컸다(+8%P). 충전 자체가 위험하다고 느낄 뿐 아니라, 이 시설이 차지하는 공간이 유용한 주차 공간을 더 줄어들게 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 보유자의 걱정은 ‘차’ 문제에서 ‘이웃’ 문제로 옮겨 가


전기차 보유자의 걱정거리에 대한 1차-2차 조사 결과를 비교하면 주목할 만한 변화가 있었다. 걱정의 순위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1위 ‘화재 사고에 대한 배상 책임 소재’는 7%p(60%→53%) 줄었고, 2위 ‘화재 발생 불안감’은 6%p(51%→45%) 감소했다[그림2]. 가장 큰 걱정거리 2개 요소만 비율이 감소했고 그 폭도 매우 컸다(참고. 전기차 화재 이후…보유자의 가장 큰 걱정은 ‘배상 책임 소재’).


3466.jpg

 

반면 ‘내연기관차 보유자와의 사회적 갈등’(29%)과 ‘주변 사람들의 불편한 시선’(33%)에 대한 우려는 각각 6%p, 4%p 증가했다. 또한 주차 관련된 ‘주거·일터의 주차문제’(24%)와 ‘다른 공공장소의 주차 문제’(18%)도 모두 1차에 비해 2%p 증가했다.


이는 전기차 보유자의 우려가 ‘차’ 관련 문제에서 ‘사람’ 관련 문제로 옮겨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기차 보유자가 차로 인해 다른 사람과의 관계가 이전보다 불편해지고, 더 갈등적 관계로 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시의성 있는 현실 파악이 문제 해결의 기초


전기차 화재 사고는 이제 전국민적인 관심사가 됐고, 대다수가 이해당사자의 입장에서 바라보고 있다. 관심의 핵심은 지하 ‘주차와 충전’이다. 이에 대한 보유자와 비보유자의 의견은 극과 극을 달리는 상황이다. 전기차 보유자는 여러모로 힘들고 억울하고, 비보유자는 불안하다. 사회적 갈등의 최소화,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의 최소화를 위해 조속하고 슬기로운 해결이 필요하다.

태그

전체댓글 0

  • 40486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전기차 보유자-비보유자,‘주차-충전’ 놓고 갈등 커질 조짐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
Home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4.08.20 23:52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