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속초8.5℃
    맑음13.8℃
    맑음철원15.6℃
    맑음동두천14.5℃
    맑음파주12.3℃
    맑음대관령10.6℃
    맑음춘천14.7℃
    맑음백령도11.0℃
    맑음북강릉6.5℃
    맑음강릉8.8℃
    맑음동해8.1℃
    맑음서울15.6℃
    맑음인천12.8℃
    맑음원주15.5℃
    흐림울릉도7.9℃
    맑음수원12.2℃
    맑음영월13.2℃
    맑음충주14.0℃
    맑음서산12.0℃
    흐림울진10.3℃
    맑음청주16.8℃
    맑음대전15.5℃
    맑음추풍령16.3℃
    맑음안동13.8℃
    맑음상주18.1℃
    흐림포항11.0℃
    맑음군산12.6℃
    맑음대구11.2℃
    맑음전주15.0℃
    흐림울산9.9℃
    흐림창원12.7℃
    구름조금광주14.9℃
    흐림부산11.8℃
    흐림통영12.8℃
    맑음목포13.7℃
    흐림여수12.6℃
    맑음흑산도11.5℃
    맑음완도13.1℃
    맑음고창11.8℃
    흐림순천12.4℃
    맑음홍성(예)13.0℃
    맑음14.7℃
    흐림제주15.1℃
    맑음고산12.7℃
    맑음성산12.6℃
    흐림서귀포15.6℃
    흐림진주13.1℃
    맑음강화12.2℃
    맑음양평15.9℃
    맑음이천15.6℃
    맑음인제11.6℃
    맑음홍천13.6℃
    맑음태백8.5℃
    맑음정선군11.4℃
    맑음제천11.7℃
    맑음보은15.0℃
    맑음천안12.9℃
    맑음보령10.4℃
    맑음부여12.9℃
    구름조금금산15.2℃
    맑음14.8℃
    맑음부안12.7℃
    구름조금임실14.3℃
    맑음정읍12.9℃
    구름많음남원16.3℃
    구름많음장수14.8℃
    맑음고창군12.1℃
    맑음영광군12.0℃
    흐림김해시12.9℃
    구름조금순창군14.9℃
    흐림북창원13.8℃
    흐림양산시12.1℃
    맑음보성군13.3℃
    맑음강진군14.1℃
    맑음장흥14.4℃
    맑음해남13.4℃
    흐림고흥12.9℃
    흐림의령군14.6℃
    구름조금함양군16.8℃
    흐림광양시13.1℃
    맑음진도군13.3℃
    맑음봉화10.5℃
    맑음영주12.6℃
    맑음문경14.3℃
    맑음청송군9.7℃
    구름조금영덕10.1℃
    구름조금의성13.1℃
    구름조금구미15.3℃
    맑음영천9.5℃
    맑음경주시9.0℃
    구름많음거창16.5℃
    흐림합천15.0℃
    맑음밀양14.8℃
    흐림산청13.4℃
    흐림거제12.4℃
    흐림남해13.4℃
    흐림12.9℃
  • 최종편집 2025-04-23(수)
 

멕시코시티 정부, “센트로 지역 중국상인 문제 심각해”

장원 한인회장, “우리 한인상인들도 정부 조치 대비 필요”


장원회장-메인사진.jpg
장원 재 멕시코 한인회장(오른쪽)이 한인상점을 방문해 점주와 대화를 나누고 있다/ ©KMNEWS

 

장원 재 멕시코 한인회장은 지난 8일 멕시코시티 센트로 시장을 방문했다. 장 회장은 1년에 3~4회에 걸쳐 센트로 시장을 찾아 한인상인들의 노고를 살피고 각종 건의사항 등의 청취를 위해 센트로 시장을 찾는다. 장원 회장은 지난 4일부터 시작하여 9일까지 약 100여곳의 한인 상점을 방문했다.


장원 회장의 이번 센트로 방문은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중국상인들이 센트로 시장으로 대거 몰려옴에 따라 멕시코 현지 상인들 뿐만 아니라 한인상인들도 피해를 입고 있다. 장 회장은 이에 대한 대책 마련에 고심 중에 있으며, 한인상인들 상황도 살필 겸 상인들과 문제해결 논의를 위해 센트로 시장을 방문했다.


중국상인들에 의한 공급 젠트리피케이션?


멕시코시티의 콘데사(Condesa), 로마노르테(Roma Norte) 등의 지역에서 미국인들의 정착으로 젠트리피케이션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면, 센트로 이스토리코(Centro Histórico) 지역은 중국인들에 의한 또다른 모습의 젠트리피케이션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달리 말하면, 멕시코시티는 미국인에 의한 소비중심의 젠트리피케이션이 발생했다면, 센트로 이스토리코 지역은 공급중심 젠트리피케이션이 발생했다고 볼 수 있다.


젠트리피케이션은 어떤 지역에 부유층이나 외국인 인구가 증가하기 시작하면서 그 지역의 저소득층 주민들이 다른 곳으로 이주하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멕시코시티 중심가나 살기 좋은 곳이라고 이름이 난 지역에 외국인들, 특히 미국인들이 모여 들면서 지가나 임대료 상승을 유발했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Claudia Sheinbaum) 멕시코시티 정부 하에서 UNESCO 및 에어비앤비 회사와의 제휴를 통해 ‘멕시코시티를 라틴 아메리카 창조 관광의 수도이자 디지털 노마드를 위한 글로벌 목적지’로 만들기 위해 시정부가 젠트리피케이션에 맞서 싸우는 대신 더 많은 외국인의 유입을 장려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면서 문제가 더욱 커졌다.


위와 같은 사항은 소비측면의 젠트리피케이션이고, 센트로 이스토리코 지역에서 중국상인은 공급측면의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이들의 몰려들면서 그 지역의 저소득 소상공인들이 다른 곳으로 이주하게 되는 현상으로 이해하면 된다.


대형점포-광고.jpg
센트로 이스토리코의 한 거리에 설치된 대형점포 광고. 소규모 상점들이 조금씩 사라지고 있다/ ©KMNEWS

 

중국상인들 기존 임대료의 2~3배 제안


멕시코 주요일간지 레포르마(Reforma)가 지난달 18일 이 문제를 심도있게 다뤘다. 제목에 ‘경제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ción económica)’이라는 표현을 쓰면서 부제목에 ‘중국침략의 충격을 진단할 것(Medirán impactos de ‘invasión’ china)’이라는 제목의 기사가 신문에 게재됐다.


레포르마에 따르면, 중국산 제품을 판매하는 대형 매장들이 2021년 코로나가 점차 몰락해갈 무렵부터 늘어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법적 허점을 통해 중국산 상품을 실은 컨테이너가 수입되어 트레일러에 실려 멕시코시티 오브레라(Obrera) 지역에 도착한다. 이 제품들은 센트로 시장에서 판매되고 센트로 중국상인들은 더 많은 상품들이 몰려옴에 따라 더 많은 창고와 건물이 필요하게 됐다.


레포르마는 이러한 중국상업 쓰나미로 인해 센트로 이스토리코 지역은 최대 17개의 건물과 100여개의 사업체가 중국인에 의해 점령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했다.


중국계 상인들은 상점을 창고로 개조하기 위해 건물주나 임대인들에게 최대 3배의 임대료를 더 지불하겠다고 제안하여 기존 세입자들이 쫓겨나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이에 대해 한인상인들도 어려움을 토로했다. 최근 들어 임대인들이 임대료를 2~3배 가격으로 올려달라고 하거나 어느 임대인은 다른 점주가 들어올 예정이니 언제까지 가게를 빼달라는 통보도 받았다는 것이다. 한인상인들은 하는 수없이 좀 더 임대료가 저렴한 지역으로 옮기거나 심지어는 사업을 접는 상인들도 발생하고 있다.


센트로 시장지역은 비교적 작은 규모의 점포들이 다수 모여있다. 그러나 중국상인이 들어오면서 인접지역의 점포들을 모두 임차하여 공간을 넓히거나 건물을 매입하여 대형점포들이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점점커지는-매장.jpg
중국상인이 경영하는 매장안의 모습/ ©KMNEWS

 

센트로지역의 레푸블리카 데 칠레(República de Chile)거리와 브라질 거리의 경우 신부 드레스나 결혼관련용품을 취급하는 가게가 즐비했다. 그러나 요즘 이 거리를 거닐다 보면 이 가게들은 점차 문을 닫고 생활용품을 취급하는 중국상점들이 늘어나고 있음을 직감할 수 있다.


멕시코 일간지 라호르나다(La Jornada)의 인터뷰 내용에 따르면, 이 지역에서 15년간 신부 드레스를 취급한 한 멕시코 상인은 “2019년에 문화회랑으로 지정된 브라질과 칠레거리 사이의 온두라스 거리는 걷기 편하도록 포장도로를 넓히는 작업을 통해 가리발디(Garibaldi)쪽으로 가도록 되어 있었지만 지금은 중국 상인들의 하역작업이 점령했다”고 말했다.


멕시코시티 정부도 이 문제에 대해 분석 중


레포르마에 의하면, 멕시코시티 정부도 이 문제에 대한 심각성을 인식하기 시작했다. 마르티 바트레스(Martí Batres) 현 멕시코시티 시장은 지난달 17일 문제의 심각성을 인정하고 조치를 취할 것임을 밝혔다.


바트레스 시장은 “우리는 다각도로 이 문제를 분석하고 진단할 것”이라면서 “상업적인 부분, 범죄적인 부분, 사회적인 부분 등 다방면으로 조사하겠다”고 덧붙였다.


파들랄라 아카바니(Fadlala Akabani) 멕시코시티 경제개발부 장관은 ”우리는 그들의 부동산 사용과 시민에 대한 안전을 우려하고 있고, 이는 일종의 경제적 젠트리피케이션”이라며, “특히 센트로 이스토리코 지역에서 건물 소유주에게 더 많은 임대료를 지불하는 중국상인들과 관련한 모든 정보를 수집하여 심도있게 분석해야 한다”고 말했다.


멕시코시티 국립 상공회의소(Canaco)에 따르면 센트로지역 기존 상인들의 손실은 650억 페소에 달하며, 이로 인하여 380억 페소가량의 세원이 부족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레포르마의 기사는 중국 상인에 대한 대대적인 조치가 예상되는 내용일 수 있지만, 여기에는 한인 상인들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장원 회장은 전했다. 장 회장은 방문하는 한인상점마다 “멕시코시티 정부차원에서 조치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니, 창고관리나 팍투라(세금계산서) 등 어느 정도 가능한 준비는 해야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그는 그러면서 “우리가 지금부터라도 팍투라들을 일정부분 확보해 둔다면 정부기관 단속시 우리가 어느정도 대응할 수 있는 여력이 있기 때문”이라며 사전준비의 필요성을 다시한번 강조했다.


(멕시코시티=위메이크뉴스) 심영재 특파원 report.kmnews@gmail.com

태그

전체댓글 0

  • 25151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멕시코시티, 몰려오는 중국상인에 밀려나는 한인 상인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
Home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4.07.11 09:43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