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조금속초7.9℃
    맑음-2.0℃
    맑음철원-1.3℃
    맑음동두천1.2℃
    맑음파주-1.5℃
    맑음대관령-2.6℃
    맑음춘천-0.9℃
    박무백령도6.3℃
    맑음북강릉7.3℃
    구름조금강릉9.7℃
    구름조금동해5.5℃
    박무서울5.0℃
    박무인천5.1℃
    맑음원주1.3℃
    맑음울릉도5.8℃
    박무수원2.9℃
    맑음영월-1.6℃
    맑음충주0.1℃
    맑음서산1.6℃
    구름조금울진3.2℃
    맑음청주4.9℃
    맑음대전3.4℃
    맑음추풍령0.8℃
    구름조금안동1.0℃
    맑음상주5.4℃
    맑음포항5.3℃
    맑음군산2.4℃
    맑음대구3.8℃
    박무전주3.3℃
    맑음울산3.2℃
    맑음창원5.1℃
    박무광주4.0℃
    구름조금부산5.8℃
    구름많음통영4.0℃
    박무목포4.8℃
    박무여수5.7℃
    구름조금흑산도5.8℃
    맑음완도4.0℃
    맑음고창0.0℃
    구름조금순천-1.6℃
    박무홍성(예)2.3℃
    맑음1.1℃
    흐림제주6.9℃
    구름많음고산7.8℃
    흐림성산6.8℃
    흐림서귀포7.2℃
    맑음진주0.1℃
    맑음강화2.4℃
    맑음양평2.0℃
    맑음이천1.1℃
    맑음인제-1.5℃
    맑음홍천-0.4℃
    구름많음태백-1.4℃
    맑음정선군-2.4℃
    맑음제천-2.1℃
    맑음보은-1.1℃
    맑음천안0.1℃
    맑음보령2.8℃
    구름많음부여3.7℃
    맑음금산-0.4℃
    맑음2.4℃
    맑음부안2.0℃
    맑음임실-1.1℃
    맑음정읍1.2℃
    맑음남원0.3℃
    맑음장수-3.1℃
    맑음고창군1.3℃
    맑음영광군0.9℃
    맑음김해시4.2℃
    맑음순창군-0.6℃
    맑음북창원4.4℃
    맑음양산시3.1℃
    구름많음보성군2.0℃
    구름많음강진군1.7℃
    구름많음장흥-0.3℃
    구름많음해남0.3℃
    구름많음고흥0.4℃
    맑음의령군0.5℃
    맑음함양군-1.1℃
    구름많음광양시3.6℃
    구름많음진도군2.0℃
    구름많음봉화-2.1℃
    구름많음영주0.4℃
    구름많음문경1.9℃
    맑음청송군-2.0℃
    맑음영덕3.7℃
    맑음의성-0.3℃
    맑음구미1.4℃
    맑음영천0.2℃
    맑음경주시0.5℃
    맑음거창-0.9℃
    맑음합천1.8℃
    맑음밀양1.8℃
    맑음산청0.0℃
    구름조금거제3.0℃
    구름많음남해4.3℃
    맑음1.4℃
  • 최종편집 2025-03-31(월)
 

경실련이 LH의 수도권 공공주택 자산보유실태(2022년말 기준)를 분석한 결과 LH 공공주택 총 취득가액은 44조이며, 주택 1호당 취득가액은 1.2억으로 나타났다. 


총 장부가액은 취득가액보다 4.5조가 떨어진 39.5조이며, 주택 1호당 장부가액은 1.1억으로 확인됐다. 


46302_2381671_1725495647546032912.jpg
표=경실련 제공

 

자산현황을 토지가격과 건물가격으로 구분하면, 토지는 취득가액과 장부가액이 모두 22조로 동일했다. 반면 건물의 취득가액은 22조였으나 장부가액은 4.5조가 떨어진 39.5조였다. 


토지는 장부가액과 취득가액이 동일한 반면 건물의 장부가액은 취득가액보다 떨어진 이유는 건물에 대해 감가상각 등을 적용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계속된 감가상각 적용으로 2023년 장부가액은 39.5조보다 더욱 낮아졌을 것으로 예측된다.


우리나라의 부동산 가격은 수십 년간 꾸준히 상승했다. 아무것도 하지 않고 주택을 보유하고만 있어도 엄청난 자산증가 효과를 볼 수 있다. LH의 자산평가방식이 얼마나 왜곡을 일으키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공공주택 취득가액과 공시가격을 비교했다.


46302_2381671_1725502400021668401J.jpg
사진출처=한국토지주택공사 누리집

 

조사결과 LH 공공주택 총 공시가격은 취득가액보다 8조가(18%) 늘어난 52조로 나타났다. 공공주택 1호당 공시가격은 취득가액보다 0.2억 늘어난 1.4억이며, 평당가격은 취득가액보다 119만원 늘어난 778만원이다. 2024년 공시가격 시세반영률은 정부발표 69%, 경실련 조사결과로 65%이다. 공공주택 공시가격이 크게 오른 것으로 볼 때 실제 시세를 반영한다면 공공주택 자산액은 훨씬 더 클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LH 공공주택 취득가액과 2024년 7월 기준으로 파악된 시세를 비교했다. 조사결과 공공주택 시세는 취득가액보다 두 배 이상 오른 93.6조로 추정됐다. 1.2억이던 호당 취득가액은 1.3억이 올라 2.5억이 됐으며, 695만원이던 평당 취득가액은 741만원이 올라 1,400만원이 됐다.


취득가액보다 시세가 2배 이상 올랐다면 2024년 장부가액은 시세의 절반수준에도 한참 못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시세를 반영하여 자산을 평가한다면 만년 적자라는 LH의 재정실태도 전혀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46302_2381671_1725495671848771614.jpg
표=경실련 제공

 

공공주택 자산액이 가장 많이 오른 상위 10개 지역을 조사했다. 그 결과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공공주택의 자산액이 가장 많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성남시에는 공공주택 20,850호가 있으며 취득가액은 3조였는데 현재까지 9조가 올라 12조가 됐다.


자산액이 가장 많이 오른 지역을 순서대로 나열하면 경기도 고양시 3.9조, 경기도 화성시 3.5조, 경기도 하남시 3.2조, 경기도 남양주시 3.1조, 경기도 용인시 2.4조, 경기도 광명시 2.1조, 서울시 강서구 2조, 경기도 수원시 2조, 서울시 강남구 1.8조 등이다.


공공주택 평당 자산액이 가장 많이 오른 상위 10개 지역을 조사했다. 평당가격은 현실적인 체감이 어렵기 때문에 18평형 평균가격(평당가격*18)을 구하여 비교했다.


공공주택 평당가격이 가장 많이 오른 지역은 서울시 강남구이다. 18평형 기준 1.6억이던 취득가액은 7.2억이 올라 8.8억이 됐다. 다음으로 상승액이 큰 지역을 나열하면 서울시 서초구 5.7억, 서울시 송파구 5.5억, 경기도 성남시 5.1억, 서울시 동작구 4.5억, 서울시 강서구 4.3억, 서울시 강북구 3.6억, 경기도 하남시 3.4억, 경기도 의왕시 3.2억, 경기도 안양시 3억 순이다.


자산액이 가장 많이 오른 상위 10개 공공주택 단지를 조사했다.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위례 31단지는 취득가액이 3,924억이었는데 현재까지 1.3조가 올라 1조7,389억이 됐다. 취득가액에 비해 자산가치가 4.4배가 된 것이다.


다음으로 자산이 가장 많이 오른 단지를 순서대로 나열하면 경기도 성남시 백현마을 4단지 1.3조(5.2배), 경기도 성남시 백현마을 3단지 1.3조(5.5배), 서울시 강남구 수서주공 1단지 1조(3.8배), 경기도 성남시 봇들마을 6단지 1조(5.7배), 경기도 성남시 위례 35단지 8,744억(4배), 경기도 광명시 하안 13단지 8,096억(3.9배), 경기도 수원시 휴먼시아 32단지 8.013억(3.6배), 경기도 성남시 하얀마을 주공 6단지 6,845억(4.4배), 경기도 하남시 미사 17단지 6,731억(3배) 순이다.


공공주택 단지별로 평당가격이 가장 많이 오른 10개 단지를 분석했다. 평당가격으로는 얼마나 가격이 올랐는지 체감하기 어려우므로 18평형으로 환산하여 표기했다. 18평형 기준 가격이 가장 많이 오른 단지는 경기 성남 봇들마을 6단지이다. 1채당 취득가액이 1.4억이었는데 현재 시세는 8.7억이 오른 10.1억이다. 취득가액보다 무려 7.1배가 된 것이다.


다음으로 가격이 많이 오른 단지를 순서대로 나열하면 경기 성남 백현마을 3단지 8.7억(6.9배), 경기 성남 위례 31단지 8.6억(5.5배), 경기 성남 봇들마을 5단지 8.4억(7.2배), 경기 성남 백현마을 4단지 7.5억(6.5배), 서울 강남 수서주공 1단지 7.5억(4.8배), 서울 강남 에버시움 7.3억(6.6배), 서울 강남 에버시움 7.2억(6.1배), 서울 강남 자곡힐스테이트 6.8억(5배), 경기 성남 청솔마을주공 6단지 6.8억(5.4배) 순이다.


46302_2381671_1725502400021668401.jpg
경실련이 LH 수도권 공공주택 자산보유실태 분석결과 발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경실련 제공


경실련 측은 "LH의 공공주택 자산이 제대로 평가되지 않는다면 LH의 적자논리는 계속될 것이다. LH가 집장사 땅장사를 통해 수익을 거둬야 한다는 장사논리는 더욱 강해질 것이며, 국민을 위한 공공주택 확대는 뒷전으로 밀려날 수밖에 없다. 정부가 진정 주택가격 상승에 문제의식을 갖고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면 공공주택의 시세를 반영하도록 LH의 자산평가방식을 개선하고 이를 토대로 공공주택을 대거 늘려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태그

전체댓글 0

  • 30614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LH 적자사업 논리는 거짓' 보유 공공주택 시세 2배 올라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
Home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4.09.05 12:23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