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과 공기만 좋아도 건강의 절반은 지킬 수 있다는 말이 있다. 물은 인체에 70% 이상 차지할 만큼 절대 필요한 요소이다.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성인이 하루에 필요로 하는 물의 양은 약 1,600~2,000ml이다. 하루에 2리터 페트병 정도의 물을 마셔야 하는 것이다. 물에 대한 인식제고와 함께 생수시장도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우리나라에 생수 시장이 형성된 시기는 1990년대 중반. 생수 시장은 그동안 매년 10% 이상 늘어날 만큼 이용자가 크게 늘었다. 국내 생수시장 규모는2000년 약 1,500억원, 2013년 약 5,400억원 그리고 2023년 약 2조3,000억원을 추정할 만큼 크게 늘었다.
생수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가운데, 환경문제도 불거졌다. 이에 최근에는 페트병에 수축필름이 감겨 있지 않은, 일명 무라벨 제품의 판매 비중도 빠르게 늘고 있다.
무라벨 페트병이 등장한 시기는 2020년초다. 짧은 기간 임에도 불구하고 친환경 제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지난해 무라벨 제품 매출은 생수 시장 전체 매출의 40%에 육박하는 약 9,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업계는 내다봤다.
초창기 제품은 페트병을 수축필름으로 감싸고 있는 형태였기에 무라벨 제품에 대한 인식이 낯설었다. 그러나 친환경에 대한 사회적 이슈가 확산되면서 업체들은 라벨을 거둬내고 용기에 브랜드를 각인하는 방식으로 패키지를 개발했다.
소비자들의 무라벨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업체들의 무라벨 제품에 대한 홍보 활동과 함께 매출 비중도 커졌다.
제주삼다수는 무라벨 제품인 ‘제주삼다수 그린’이 전체 판매규모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40%대, 약 1400억원에 이른다고 밝혔다. 제주삼다수 무라벨 제품이 출시된지 2년만에 거둔 친환경 결실이다.
또 롯데칠성음료는 2020년 국내 생수 브랜드 최초로 선보인 아이시스8.0 ECO 무라벨 생수를 앞세워 지난해 말까지 무라벨 생수 비중을 50%대로 확대했다고 밝혔다.
롯데칠성음료의 생수 매출은 지난해 약 2,700억원으로 예상되는데, 이중에 절반 이상인 1,400억 원 정도가 무라벨 제품 매출로 보인다.
동원샘물은 페트병 경량화, 비닐라벨 제거 등 친환경 경영 폭을 넓혀 나가는 가운데 지난해 생수 매출 1,000억 원 중에 무라벨 생수 비중이 약 200억원에 이른 것으로 보고 있다.
농심은 2021년 무라벨 백산수 판매를 시작으로 지난해는 무라벨 비중을 약 40%까지 끌어 올린 것으로 보인다. 농심은 생수 판매 물량의 50%를 무라벨로 전환할 경우 연간 60톤 이상의 필름 사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현재 생수 제품을 생산 판매하는 업체는 30여곳, 여기에 지자체 생산까지 더하면 50여곳에 육박할 것으로 보인다. 이들 제품의 대다수가 무라벨 제품을 개발, 확대하고 있어 무라벨 생수 비중은 2025년까지 50% 대에 이를 것으로 업계는 내다봤다.
안성근 기자 sobiza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