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가철을 앞두고 렌터카 관련 소비자 상담이 급증하고 있다. 녹색소비자연대에서 소비자상담을 분석한 결과, 1372 소비자상담센터를 통해 접수된 자동차대여(rent a car) 및 카쉐어링(Car sharing) 소비자 상담건수가 2018년 230건에서 2020년 298건으로 약 3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인대물배상 사고가 했을 경우 보험처리를 묻는 소비자상담이 많았다. 책임보험에 가입돼 있지만 사고 시 소비자에게 일정부분 책임을 전가하는 약관에 동의하게 하는 사례, 자차보험 가입사고 시 보장한도를 낮게 정하여 수리비, 휴차료를 과다하게 청구하는 사례, 대여기간 중도 해지에 따른 과다하게 위약금을 청구하는 사례 등이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렌터카 고객 A씨는 지난 3월 3일 기아차 K7을 70만 원에 한 달 이용하는 계약을 했는데 이후 3월 17일 사고 발생 후 렌터카 업체에서 대인, 대물, 자손처리 면책금 150만원을 요구했다며 부당함을 호소했다.
또 다른 고객 B씨는 2017년식 현대차 아반떼를 30일 간 빌렸는데 중앙선 침범으로 단독사고 발생해 렌터카 업체가 수리비 530만 원을 청구했으며, 이후 폐차하기로 진행하면서 폐차 비용 500만 원을 카드로 지불하려고 하자 거부당했다.
지난 4월 4일부터 11일까지 기아차 K5를 온라인으로 대여 신청한 고객은 온라인 신청 시 보험료 관련 약관을 확인하지 못한 상황에서 사용기간 동안 보험적용이 되지 않아 1일 사용 후 해지 요청을 했다가 잔여기간 사용료 50%에 대한 위약금을 내야했다.
녹색소비자연대는 “소비자들이 렌터카 계약을 할 때 업체의 약관이 소비자분쟁해결기준이나 표준약관을 준수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고 당부하며, “렌터카 사고시 소비자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면책금과 보험관련 내용을 보완하고, 카세어링을 추가하는 등 소비자피해 예방과 합리적인 소비자피해 해결을 위해 2011년에 개정된 자동차대여(렌트) 표준약관의 개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BEST 뉴스
-
신길5동 지주택, 500억 횡령 의혹…조합원들 “10년 기다렸는데 빚더미”
서울 영등포구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조합장 장세웅)에 또다시 충격적인 의혹이 제기됐다.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 시위 현장 사진출처=지역주택조합 SNS 25일 JTBC 보도에 따르면 서울시가 파견한 공공 변호사와 회계사 실태조사에서 최소 500억 원 규모의 자금 유용 정황... -
대한전선-LS전선 해저케이블 분쟁, 1년 넘긴 수사와 재계 파장
LS전선 동해공장 전경 사진=LS전선 제공 대한전선과 LS전선의 해저케이블 기술 유출 의혹을 놓고 진행 중인 경찰 수사가 1년을 넘겼다. 비공개 영업비밀 침해 사건 특성상 혐의 입증이 까다로워 수사가 지연되는 가운데, 이번 사안이 국내 해저케이블 산업 주도권과 재계 구도에 ... -
“티웨이보단 나을줄 알았다…분노의 대한항공 결항기”
지난해 티웨이항공이 이른바 ‘항공기 바꿔치기’가 항공업계의 역대급 결항 사태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가운데, 당시 사건을 뺨치는 사태가 발생했다. 심지어 LCC가 아니라 FSC인 대한항공이라는 점에서 승객들의 비판이 커지고 있다. 대한항공 사진=연합뉴스 항공업계에 따르면, 지난... -
[단독] 삼성 갤럭시폰, 이미지 파일로 원격 해킹 가능?
반고흐 미술관의 오디오 가이드 기기로 사용되는 갤럭시 S25+를 사용하는 모습 사진=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의 갤럭시폰에서 제로데이 보안 취약점(CVE-2025-21043)이 확인됐다. 제로데이 공격은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을 때 그 문제의 존재 자체가 널리 공표되기도 전에 ... -
“유기견 보호소를 ‘실험동물 창고’로…휴벳 사태 전모
전북 익산에 본사를 둔 동물용 의약품 개발사 휴벳과 이 회사가 운영·연계한 동물병원 및 보호소들이 연달아 동물 학대·관리 부실 의혹에 휩싸이고 있다. 정읍 보호소 유기견 안락사 후 카데바(해부 실습용 사체) 사용, 군산 보호센터의 실험 비글 위탁 관리, 돼지 사체 급여 논란이 잇따라 불거지면서, 한 기업과 그와 ... -
ITX 열차 10대 중 7대 ‘미납’… 고의 지연 업체, 입찰 제한 추진
노후 무궁화호 대체를 위해 도입 중인 ITX-마음 열차가 계약 물량의 3분의 2 이상 납품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계약을 따낸 업체의 반복적인 지연에도 실질적인 제재 수단이 없어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8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정준호 의원(더불어민주당·광주 북구갑)이 한국철도공사로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