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5-03(금)
 

세척제, 일회용 종이컵, 화장지, 일회용 기저귀 등 위생용품 전체 생산‧수입규모가 약 2조 4천억원으로 전년(2조 3,943억원) 대비 0.1% 소폭 증가했다. 


wredwsft6.jpg
인포그래픽=식약처 제공

 

국내 위생용품 생산실적(금액 기준)은 2조 16억원으로 전년(2조 399억원) 대비 1.9% 감소한 반면, 수입액은 3,960억원으로 전년(3,544억원) 대비 11.7% 증가했다. 


지난해 위생용품 산업 시장의 주요 특징은 ▲배달음식 수요 증가로 일회용 숟가락·포크·나이프 등 공급량 증가, 다회용 컵 사용 장려로 일회용 컵 사용 감소 ▲인구 고령화로 성인용 기저귀 공급량 증가 ▲손씻기 생활화로 핸드타월 생산량 증가 등이다. 


다만 일회용 숟가락․포크․나이프는 꾸준한 성장을 한 반면 일회용 컵 생산량은 감소했다. 매장 내 다회용컵 사용 장려 등으로 텀블러 사용이 활성화됨에 따라 일회용 컵의 공급(생산+수입)량은 감소해 2019년 대비 5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558890.jpg
연도별 일회용 기저귀 생산·수입량 자료=식약처 제공

 

인구 고령화로 성인용 기저귀 유통량 역시 증가 추세다. 일회용 기저귀 중 성인용 기저귀의 공급(생산+수입)량은 약 11만 1,900톤으로 전년(약 9만6천톤) 대비 약 17% 증가했으며, 이는 인구 고령화*에 따른 영향으로 분석된다.


반면에 어린이용 기저귀의 생산량은 다소 증가(1.7%)하였으나, 수입량은 감소(-2.9%)하여 전년과 유사한 공급 수준이었다.


또한 코로나19이후 손씻기의 생활화로 핸드타월 생산량 증가하고, 위생물수건처리업체수는 감소세다.


손씻기 문화의 정착과 코로나19의 영향으로 2021년 핸드타월의 공급(생산+수입)량(7만1,621톤)은 전년(6만6,761톤) 대비 7.3% 증가했고,  위생물수건 생산량은 전년과 유사한 수준이었다.


반면, 위생물수건처리업체수는 2021년 현재 235개로 전년 256개 보다 8.2%(21개)가 줄어들었으며, 위생물수건처리업이 신설되어 업체수를 파악하기 시작한 2018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생산실적(금액 기준)은 화장지가 가장 많고, 일회용 기저귀, 일회용 타월 순으로 조사됐다. 생산실적 상위 5개 품목은 ▲화장지 8,327억 원(41.6%) ▲일회용 기저귀 3,374억 원(16.9%) ▲일회용 타월 2,204억 원(11.0%) ▲일회용 컵 2,193억 원(10.9%) ▲세척제 1,789억 원(8.9%) 순으로 상위 5개 품목이 위생용품 전체 생산실적의 89.4%를 차지했다. 


화장지의 생산액은 전년 대비 0.4% 감소한 8,327억원이지만, 2019년부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일회용 기저귀의 생산액은 전년 대비 7.8% 감소한 3,374억원으로 2위였다. 


일회용 타월(핸드타월, 일회용 행주, 키친타월)은 키친타월의 생산액이 전년 대비 8% 성장하면서 전체 일회용 타월 생산액 증가(1.9%)로 이어져 세 번째로 많은 생산액(2,204억원)을 기록했다.

태그

전체댓글 0

  • 43319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배달음식 수요 증가 등으로 위생용품 2조 4천억 원 육박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