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21(금)
 
미르M.jpg
유력 온라인 게임 ‘미르’ IP의 적통(嫡統)인 ‘미르M’이 중국에 진출한다.

 

 지난 202011월 발매된 미르4’와 함께 위메이드의 IP(지식재산권) 역량을 각인시킨 주역 미르M: 뱅가드 앤 배가본드’(이하 미르M’)가 중국 시장에 본격 출정한다.

 

 배급사인 위메이드는 최근 중국 게임 업체 더나인(The9)미르M’의 중국 유통 계약을 체결했다. 정식 서비스 일정은 추후 공개될 예정이다. 1999년 설립된 더나인은 다양한 장르의 게임을 제작·서비스하고 있다. 블록체인과 AI(인공지능) 응용 분야로도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앞서 위메이드는 2023년 중국 국가신문출판서로부터 현지 서비스명 모광쌍용으로 판호(출시 허가권)를 발급받았다.

 

 ‘미르M’은 전 세계에서 5억 명 이상 회원을 거느리면서 게임 한류의 원조로 꼽히는 미르의 전설2’ IP에 기반한 모바일 MMORPG(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

 

 ‘미르의 전설2’ IP를 차용한 첫 번째 자체 모바일 게임인 미르4’의 경우 현대적 영상과 기능으로 각색한 반면, 2년 뒤인 20226월 나온 미르M’미르의 전설2’를 다시 추억할 수 있는 복원에 중점을 두면서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게 특징이다.

 

 ‘미르M’이 계승한 미르의 전설2’는 엔씨소프트 리니지시리즈와 더불어 한국산 온라인 MMORPG 르의 세계화를 이끌었다. 특히 서양 판타지가 게임 소재의 주류를 이루던 2000년대 초 1세대 온라인 게임 시장에 동양적인 색채와 스토리, 탄탄한 밸런싱으로 인기를 모았다.

 

 20013월 서비스를 시작한 미르의 전설2’는 당시 국내 게임 기업들이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중국 진출을 구상했다. 그로부터 6개월 뒤 중국에 입성한 이후 20년 넘게 흐른 지금도 현지에서는 이른바 짝퉁이나 아류작들이 범람할 정도로 미르의 전설2’ 관련 IP는 흥행 코드 중에서 으뜸으로 불린다. 또한 약 94000억 원 규모의 전기(‘미르의 전설2’의 중국명)게임 시장을 형성했다.

 

[미르의 전설2] 대표 이미지 (2).jpg
‘미르의 전설2’는 중국에서 게임 한류의 명제를 써내려간 주역으로 꼽힌다.

 미르의 전설2’는 중국에서 말 그대로 게임 한류의 돌풍을 일으켰다. 그 무렵 중국은 인터넷 인프라가 태동하던 시기였는데, 인터넷 보급과 함께 온라인 게임 사업 성장이 맞물리면서 미르의 전설2’는 바람을 탔다. 무협영화의 한 장면을 떠올리게 하는 캐릭터와 이야기 구성은 중국인들의 취향에 딱 맞아 떨어졌고, 이렇다 할 온라인 게임 없이 실험적인 몇몇 게임만 서비스되고 있던 중국 대륙에서 그동안 접할 수 없던 동양적인 판타지 세계관과 화려한 그래픽, 변화무쌍한 서사는 큰 인기를 담보했다.

 

 2002년에는 한국산 온라인 게임으로는 최초이면서 동시에 중국 내 온라인 게임으로도 처음으로 동시접속자 35만 명을 확보했다. 2004년에는 중국 게임 시장의 65%라는 어마어마한 점유율을 차지했다. 이듬해에는 마침내 세계 최초로 중국 동시접속자수 80만 명을 돌파해 기네스 북에 등재됐고, ‘미르의 전설2’를 개발한 박관호 현 위메이드 대표(회장)미르의 아버지라는 국민적인 칭송을 받았다.

 

 20091분기 들어 미르의 전설2’의 중국 내 누적 회원수는 2억 명으로 급증했다. 그 해 연말 중국인터넷네트워크정보센터에서 발표한 중국 인터넷 보급률 22.6%와 인터넷 사용자 수 36000만 명이라는 수치에 견줘보면, 중국 전체 인터넷 사용자 수의 약 59%미르의 전설2’ 이용자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덕분에 미르의 전설2’2011년 국내 단일 게임으로는 누적 매출 최대 기록인 22000억 원을 일궈냈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미르'의 적통(嫡統) '미르M' 중국 공략 시동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