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속초12.5℃
    맑음6.4℃
    맑음철원5.3℃
    맑음동두천7.9℃
    맑음파주5.3℃
    맑음대관령5.4℃
    맑음춘천7.1℃
    맑음백령도8.3℃
    맑음북강릉12.3℃
    맑음강릉12.7℃
    구름많음동해12.9℃
    맑음서울9.4℃
    맑음인천9.7℃
    맑음원주7.0℃
    흐림울릉도11.0℃
    맑음수원7.6℃
    구름조금영월6.9℃
    맑음충주6.3℃
    구름많음서산6.0℃
    흐림울진12.6℃
    구름많음청주10.0℃
    구름조금대전8.1℃
    구름많음추풍령8.8℃
    흐림안동10.1℃
    구름조금상주9.6℃
    흐림포항14.7℃
    구름조금군산8.2℃
    흐림대구13.1℃
    구름많음전주8.6℃
    흐림울산14.1℃
    흐림창원14.1℃
    구름많음광주9.8℃
    흐림부산15.4℃
    흐림통영14.5℃
    구름많음목포11.2℃
    흐림여수12.7℃
    구름많음흑산도9.4℃
    흐림완도11.3℃
    구름많음고창7.8℃
    흐림순천9.7℃
    맑음홍성(예)6.7℃
    구름많음8.8℃
    흐림제주13.3℃
    흐림고산12.4℃
    흐림성산12.7℃
    흐림서귀포16.2℃
    구름많음진주13.3℃
    맑음강화8.4℃
    맑음양평8.4℃
    맑음이천8.5℃
    맑음인제7.1℃
    맑음홍천7.4℃
    흐림태백6.8℃
    맑음정선군9.2℃
    맑음제천5.3℃
    맑음보은5.6℃
    구름많음천안6.5℃
    구름조금보령5.0℃
    구름많음부여5.1℃
    구름많음금산6.6℃
    구름많음7.6℃
    맑음부안9.3℃
    흐림임실7.6℃
    구름많음정읍7.2℃
    구름많음남원8.0℃
    흐림장수6.3℃
    구름많음고창군9.3℃
    구름많음영광군9.6℃
    흐림김해시14.8℃
    구름많음순창군10.2℃
    흐림북창원15.0℃
    흐림양산시15.8℃
    흐림보성군12.6℃
    흐림강진군11.4℃
    흐림장흥11.2℃
    흐림해남11.0℃
    흐림고흥11.3℃
    구름많음의령군13.7℃
    흐림함양군11.2℃
    흐림광양시11.9℃
    흐림진도군11.3℃
    구름많음봉화8.5℃
    구름조금영주9.6℃
    맑음문경8.8℃
    흐림청송군11.1℃
    흐림영덕12.5℃
    흐림의성11.8℃
    구름많음구미10.9℃
    흐림영천12.1℃
    흐림경주시13.8℃
    흐림거창8.5℃
    흐림합천12.6℃
    구름많음밀양14.2℃
    흐림산청12.2℃
    흐림거제14.8℃
    흐림남해12.6℃
    흐림15.6℃
  • 최종편집 2025-04-25(금)
 

관광지와 테마파크, 캠핑장 등지에서 전동카트를 대여해 편리하게 이동하는 서비스가 인기를 끌고 있지만, 잇따른 사고로 인해 안전관리 강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golf-cart-29995_640.jpg
전동카트 일러스트=픽사베이

 

한국소비자원은 전국 전동카트 대여업체 15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안전실태 조사 결과를 8일 발표하고, 일부 전동카트의 안전장치 미흡과 운행경로의 위험성을 지적했다.


소비자원에 따르면 최근 전동카트 사고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지난해 7월에는 주행 중인 카트에서 화재가 발생했고, 5월에는 내리막길 커브에서 차량이 전도돼 4명이 다쳤다. 보행자와의 충돌, 탑승객 추락 사례도 보고됐다.


조사 결과 대여업체 15곳 중 11곳(73.3%)은 운전자의 면허 소지 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무면허자도 전동카트를 운전할 수 있는 상황이었다. 또한 12개 업체(80%)는 이용자에게 안전모를 제공하지 않았고, 이 중 8대의 전동카트는 좌석 안전띠조차 제대로 설치돼 있지 않았다.


전동카트는 개방형 구조로 돼 있어 사고 시 탑승자가 차량 밖으로 튕겨 나갈 위험이 높다. 이에 따라 안전모와 안전띠 착용이 필수적이나, 현장에서는 이를 제대로 갖추지 않은 경우가 다수 확인됐다.


등화장치 역시 부실한 것으로 드러났다. 조사 대상 전동카트 15대 중 6대는 전조등, 후미등, 제동등, 방향지시등 가운데 일부가 고장이거나 아예 설치되지 않은 상태였다. 특히 조사대상 차량 중 일부는 전조등은 있으나 방향지시등이 없고, 후미등도 꺼져 있어 야간 주행 시 사고 위험이 컸다.


운행경로 또한 안전 사각지대였다. 8개 운행경로 중 3개(37.5%)는 낭떠러지나 비탈면 인접 구간이 포함돼 있었고, 이 중 1곳은 방호울타리가 훼손되거나 일부만 설치돼 있었다. 주의표시가 없는 경우도 많아 위험구간을 운전자가 인지하기 어려웠다.


게다가 4개 경로에서는 야간 대여가 이루어지고 있었는데, 이 중 한 곳은 조명시설이 전무해 시야 확보가 어려운 상황이었다. 해당 경로에서 운행된 전동카트는 후미등과 제동등, 방향지시등이 모두 설치돼 있지 않았다.


소비자원은 안전조치가 미흡한 사업자에게 대여절차와 장비 점검·보수를 권고했으며, 관할 지방자치단체에 제도적 보완을 요청했다. 전동카트를 이용하는 소비자에게는 △운전 가능 면허 소지자 운전, △안전수칙 준수, △안전모 및 좌석안전띠 착용 등을 당부했다.

태그

전체댓글 0

  • 50003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전동카트 안전관리 '구멍'…무면허 운전·안전장치 미비 속출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
Home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5.04.08 19:20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