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지방의회 선심성 포상 등 특혜 관행 근절”

  • 류근원 기자
  • 입력 2024.07.04 13:48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국민권익위원회 확인 결과 일부 지방의회에서 소속 공무원과 시민을 대상으로 포상을 추진하면서 포상에 따른 부상의 상한액을 정하지 않거나, 공적 심사를 생략하는 등 포상 남발과 포상 청탁 등의 부패유발요인이 확인됐다.


AKR20240704051900001_01_i_org.jpg
권익위, 지방의회 자치법규 개선 권고 [연합뉴스TV 제공]

 

또한, 음주운전·성범죄 등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사람이 포상 대상에 포함되거나 거짓 또는 부정한 방법으로 이뤄진 포상을 확인하고도 이를 취소하지 않는 등의 문제도 있었다.


이에 따라, 국민권익위는 ▲포상에 따른 상금이나 상패‧부상을 수여할 때 '공직선거법'에 저촉되지 않도록 상한 수준을 정하도록 하고, ▲공적심사위원회 구성 및 심사 규정을 조례에 반영하도록 했으며, ▲포상 대상에서 부적격자를 제외하고 부정한 방법을 포상을 받은 경우 이를 취소할 수 있는 근거와 절차를 마련하도록 권고했다.


또 다른 사례로, 일부 지방의회에서 교수나 변호사 등을 의정활동 등 자문을 위한 고문으로 위촉하면서 장기 연임을 제한하지 않아 특정인에 대한 일감 몰아주기나 친소관계에 따른 민관 유착 등 특혜로 이어질 수 있는 부패유발요인이 확인됐다.


이에 따라, 국민권익위는 지방의회의 고문 연임을 제한하는 규정을 마련하도록 하여 부패 발생을 차단하고 다른 전문가들의 진입장벽을 해소하였다.


이 밖에도 주민의 권리 또는 의무와 구체적인 관련이 없는 의정동우회 등 활동에 대한 보조금 지원 금지, 지방의원 국외출장 사전심사 기준 마련, 출장비 부당사용자에 대한 징계와 출장비 환수 의무화 등 다양한 부패유발요인을 개선했다.


국민권익위 정승윤 부위원장 겸 사무처장은 “자치법규에 대한 부패영향 평가는 2022년 79개 기초 시‧군‧구를 시작으로 작년 17개 광역시‧도와 61개 자치구 평가를 마쳤으며, 올해 86개 기초 지방자치단체를 마지막으로 완료할 것”이라고 계획을 밝혔다.


이어, “부패영향평가 개선권고에 따라 각 지자체의 조례가 개정되면 풀뿌리 민주주의의 근간이 되는 지역사회가 보다 투명하고 공정해질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덧붙였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신박한 컨설팅] 실패도 성장의 발판, 함께 만들어가는 ‘포용적 문화’
  • KBS2 토일드라마 ‘은수 좋은 날’, 가누다와 함께
  • “인플루언서 힘으로 지역 관광·중소 여행사 활성화 나선다”
  • AB인베브, 넷플릭스와 글로벌 브랜드 파트너십 체결
  • 차박 단속 5년 새 40배 증가… 송기헌 의원 “법령 공백 메워야”
  • 신한신용정보, 신용정보 업계 최초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인증 획득
  • 항공기 운항 증가에 ‘기내 불법행위’도 급증
  • 사이버렉카 피해자 쯔양, 국정감사 참고인으로 출석
  • 폴스타, 뉴욕 기후주간서 화석연료 반대 캠페인 전개
  • 한화생명, ‘K-브랜드지수’ 보험 상장사 부문 1위… 삼성화재·삼성생명 뒤이어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지방의회 선심성 포상 등 특혜 관행 근절”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