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속초6.6℃
    맑음7.3℃
    구름조금철원6.6℃
    맑음동두천9.8℃
    맑음파주8.3℃
    구름조금대관령-0.7℃
    맑음춘천7.7℃
    구름많음백령도7.4℃
    맑음북강릉8.3℃
    맑음강릉8.6℃
    맑음동해7.4℃
    맑음서울11.2℃
    맑음인천8.6℃
    맑음원주9.1℃
    맑음울릉도8.9℃
    맑음수원7.6℃
    구름많음영월7.3℃
    맑음충주7.7℃
    맑음서산4.9℃
    구름조금울진7.8℃
    맑음청주11.5℃
    맑음대전9.8℃
    맑음추풍령6.9℃
    맑음안동10.5℃
    맑음상주9.4℃
    맑음포항10.4℃
    맑음군산7.0℃
    맑음대구10.8℃
    맑음전주9.0℃
    맑음울산9.2℃
    맑음창원10.9℃
    맑음광주10.6℃
    맑음부산12.1℃
    맑음통영10.7℃
    박무목포8.1℃
    구름조금여수12.1℃
    구름조금흑산도8.6℃
    구름조금완도10.7℃
    맑음고창4.6℃
    맑음순천7.0℃
    맑음홍성(예)6.4℃
    맑음7.8℃
    구름많음제주12.6℃
    구름많음고산12.4℃
    구름조금성산10.8℃
    구름조금서귀포14.2℃
    맑음진주8.5℃
    맑음강화7.6℃
    맑음양평9.7℃
    맑음이천10.6℃
    구름조금인제6.7℃
    구름조금홍천8.1℃
    구름많음태백2.2℃
    맑음정선군4.8℃
    구름조금제천5.4℃
    맑음보은6.1℃
    맑음천안6.4℃
    맑음보령4.5℃
    맑음부여6.1℃
    맑음금산6.8℃
    맑음8.9℃
    맑음부안6.4℃
    맑음임실4.7℃
    맑음정읍6.2℃
    맑음남원6.1℃
    맑음장수3.1℃
    맑음고창군6.0℃
    구름조금영광군5.8℃
    맑음김해시12.5℃
    맑음순창군6.2℃
    맑음북창원13.1℃
    맑음양산시12.8℃
    구름많음보성군11.4℃
    구름많음강진군8.2℃
    구름많음장흥5.2℃
    구름많음해남5.1℃
    구름조금고흥8.0℃
    맑음의령군9.5℃
    맑음함양군6.5℃
    맑음광양시11.9℃
    구름많음진도군5.1℃
    맑음봉화4.1℃
    구름많음영주7.2℃
    맑음문경8.4℃
    맑음청송군5.0℃
    구름조금영덕6.5℃
    맑음의성6.9℃
    맑음구미9.2℃
    맑음영천7.9℃
    맑음경주시7.3℃
    맑음거창
    맑음합천9.9℃
    맑음밀양10.2℃
    맑음산청8.7℃
    맑음거제12.6℃
    맑음남해10.4℃
    맑음12.5℃
  • 최종편집 2025-04-08(화)
 

정부 주장 65.5% vs 경실련 조사결과 35%, 최대 68%~최저 10%로 편차 

낮은 과표로 인한 보유세 특혜 최고는 삼성SDS빌딩, 16.4억으로 추정


image_331780551720673866828.jpg
10일 경실련에서 진행한 1천억 이상 실거래 빌딩 공시지가 및 보유세 분석결과 발표 기자회견장 사진=위메이크뉴스 류근원 기자

 

최근 4년 동안 서울에서 거래된 1천억 이상 실거래 빌딩의 총 거래금액은 27조 809억이다. 이 중 건물값에 해당하는 시가표준액 3조 3,397억이며 토지가격 23조 7,412억, 공시지가는 토지시세의 36% 수준인 8조 6,266억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빌딩 공시지가 시세반영률은 2020년 36%, 2021년 36%, 2022년 38%, 2023년 35%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정부는 연도별 전국 공시지가 시세반영률이 2020년 65.5%, 2021년 68.6%, 2022년 71.6%, 2023년 65.5%라고 밝혔다. 전국과 서울이라는 지역적 차이를 감안하더라도 매년 시세반영률이 30%가량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는 것이 경실연의 주장이다. 


공시지가와 건물값에 해당하는 시가표준액을 더해 과세기준 시세반영률을 계산한 뒤 경실련이 조사한 실제 아파트 공시가격 시세반영률 정부가 발표한 2023년 아파트 공시가격 시세반영률은 69%이다. 


하지만 경실련이 서울 주요아파트를 대상으로 조사한 공시가격 시세반영률은 60%에 그쳤다(경실련 보도자료, 2024.06.26.). 이번 분석에서는 경실련이 조사한 서울 주요아파트의 연도별 공시가격 시세반영률을 적용 비교했다.


4년간 총 빌딩 과세기준은 11조 9,663억으로 총 거래금액 27조809억의 44%이다. 아파트 공시가격은 이보다 22% 더 높은 66%이다. 지난 4년간 아파트 보유자가 빌딩 보유자 보다 자산가치를 22% 더 높게 평가를 받은 상태로 세금을 냈다는 의미이다. 


연도별 과세기준 시세반영률은 2020년 46%, 2021년 44%, 2022년 43%, 2023년 42%이다. 경실련이 조사한 서울 주요아파트의 공시가격 시세반영률은 2020년 67%, 2021년 67%, 2022년 69%, 2023년 60%로 연도별 과세기준 시세반영률은 공시가격 시세반영률보다 18%~26% 더 낮다. 특히 2022년에는 26%로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공시지가 시세반영률이 가장 낮은 빌딩 5개를 조사했다. 2023년 거래된 무신사캠퍼스E1의 토지가격은 984억인데 비해 공시지가는 109억에 불과하여 공시지가 시세반영률이 11%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공시지가 시세반영률이 낮은 빌딩을 순서대로 나열하면 2022년 거래된 CORNER50 11%, 삼일빌딩 16%, 영시티 17%, LG전자가산B 19% 순으로 나타났다. 무신사캠퍼스E1과 CORNER50의 경우 매각 직전에 건물이 신축됐다. 이들 건물에 대한 시가표준액은 거래년도 다음 해의 금액을 적용했다.


이어서 공시지가 시세반영률이 가장 높은 빌딩 5개를 조사했다. 2023년 거래된 문정프라자는 토지가격은 2,285억, 공시지가는 1,556억으로 시세반영률이 68%나 됐다. 같은 해 거래된 무신사캠퍼스E1의 공시지가 시세반영률이 10%인 데 비해 58%나 차이 난다. 다음으로 공시지가 시세반영률이 높은 빌딩을 순서대로 나열하면 더블유몰 65%, 종로타워 63%, 롯데손해보험빌딩 61%, 우덕빌딩 60% 순으로 나타났다. 


현행 공시지가를 그대로 적용한다면 빌딩을 보유한 부동산 부자, 재벌들은 큰 세금혜택을 볼 수밖에 없다. 그래서 빌딩 토지가격에 연도별 공시가격 시세반영률, 80%시세반영률을 각각 적용한 뒤 현행 제도 하에 빌딩 보유자들이 얼마나 많은 보유세 혜택을 받았는지 계산했다. 


공시지가를 적용한다면 최근 4년간 1천억 이상 빌딩 거래로 총 500.5억의 보유세를 내야 한다. 그러나 만일 매년 공시가격 시세반영률 정도만 공시지가에 적용했더라도 316.7억이 더 많은 816.2억의 보유세를 내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일 시세반영률을 80% 이상으로 올린다면 공시지가를 적용했을 때보다 449.9억이 더 많은 950.4억의 보유세를 내야 할 것이다. 


공시지가 시세반영률 80% 적용 시 얼마나 더 많은 보유세를 내야하는지 계산했다. 2020년에는 179.7억, 2021년에는 65.7억, 2022년에는 150.4억, 2023년에는 54억의 보유세를 더 내야한다. 공시가격과 동일한 시세반영률만 적용해도 2020년 127억, 2021년 49.3억, 2022년 111.3억, 2023년 28억 보유세를 더 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시지가의 낮은 시세반영률 덕분에 어떤 빌딩이 가장 많은 보유세 혜택을 봤는지 계산했다. 삼성SDS 빌딩은 공시지가 적용 시 보유세를 13.6억 내야 했지만 시세 80% 적용 시 16억이 늘어난 30억을 보유세로 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그랜드센트럴은 1.8억, 신한투자증권타워는 14.4억, 가양이마트는 14억, 파크원타워2는 13.9억의 보유세 혜택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올해 공시가격 시세반영률을 작년과 동일하게 2020년 수준인 69% 수준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경실련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작년 공시가격 시세반영률은 60%, 올해 시세반영률은 65%로 나타났다.

태그

전체댓글 0

  • 65605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천억원 이상 빌딩 공시지가 시세반영률, 정부발표의 절반에 불과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
Home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4.07.11 14:01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