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11(화)
 

김포에서 강남을 관통해 하남까지 이어지는 수도권 동서 노선  GTX-D가 하루아침에 김포에서 부천종합운동장 역으로 단축된 일명 '김부선' 노선을 두고 각종 불만이 제기되는 가운데 '국토부와 LH 직원 간의 모종의 유착설'이 점차 확산되는 분위기다.


IMG_6274.jpg
김포 장기에서 부천종합운동장역으로 단축된 GTX-D 김부선 노선

 

유착설 논란에 불을 지핀 것은 지난 4월 6일 연합뉴스 윤태현 기자가 쓴 '경찰, 부천종합운동장 역세권 개발 LH 직원 유착 의혹 내사'라는 기사가 뒤늦게 공유되면서부터다.


연합뉴스 윤 기자의 기사에 따르면 부천 원미경찰서는 지난 4월 6일 부천종합운동장 역세권 융·복합 개발사업과 관련해 사업부지 소유주 A씨와 LH 직원 B씨가 유착했다는 의혹을 내사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사업은 부천종합운동장 일대 4만9천㎡에 4천100억원을 투입해 지식산업센터 등을 짓는 것으로 2010년 부천시가 구상했으며 2017년부터는 LH가 추진하고 있다.


A씨는 사업부지 중 2만3천㎡가량을 소유하고 있으며 2012년부터 최근까지 이곳과 주변 소유지에 나무를 심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A씨가 사업 계획을 미리 알고 보상금을 더 받기 위해 나무를 심은 게 아니냐는 의혹이 일었다.


해당 기사를 접한 김포와 인천 시민들은 "김부선 노선의 탄생 비화가 여기에 있었네"라는 반응과 함께 당시 LH 사장을 지냈다가 국토부 장관에 임명됐던 전 변창흠 장관에 대한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면서 '김부선 노선'에 대한 강한 의구심을 나타내기도 했다.


한 누리꾼은 기사의 댓글에 "국토부 장관 바뀌고 나서 노선이 수정된 거면 확실히 부천종합운동장을 위해서 바뀐 거라고 볼 수 있겠다. 김현미 장관이었으면 아마 원안대로 진행되었을 것"이라면서 관련자에 대한 철저한 조사가 필요해 보인다는 의견을 남겼다.


TRERE.jpg
GTX-D 원안 노선도(경기도 제안 노선)

 

한편 이와 관련해 이재명 경기도 지사는 10일 페이스북에 "제4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 공청회에서 서부권 광역급행철도 노선이 대폭 축소된 것으로 나타나 도민들의 실망감이 매우 크다"라고 공감의 멘트를 남겼다.


이 지사는 "광역 교통망 구축은 경기도민의 삶의 질 개선과 균형 발전 측면에서 꼭 필요한 사업"이라며 "GTX A, B, C 노선이 남북을 잇는 거라면 D 노선은 동서를 잇는 사업"이라고 강조했다.


또한"국토부가 이런 중요한 노선을 경기도민들의 바람과 달리 대폭 축소한 것에 대한 거센 반발이 이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며 "당장 김포시장과 김포와 부천, 하남 등의 국회의원들을 비롯해 많은 경기도민들이 후퇴한 안을 비판하며 원안대로 사업을 진행할 것을 강력하게 요청하고 있다"라며 국토부의 결정에 일침을 놓았다.

태그

전체댓글 0

  • 1361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GTX-D 김부선의 탄생비화?…LH 직원 유착 의혹'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