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5-15(수)
 

공공요금인 전기·가스요금이 연이어 오르고 있다. 올 하반기인 7월·10월에는 공공요금 인상이 예정돼 있다. 치솟는 물가에 서민들의 한숨만 깊어지고 있다. 


Screenshot 2022-05-06 at 11.38.20.jpg
자료=산업통상자원부/그래픽=연합뉴스

6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 1일부터 주택용·일반용 도시가스 요금이 8.4% 인상됐다. 이는 한 달 만의 인상으로, 지난 4월 기준원료비 조정으로 도시가스 요금이 평균 1.8% 오른 데 이어 또 한 차례 추가 인상된 것이다. 4인가족 기준으로 가스요금은 두 달 새 3310원 정도 올랐다. 


특히 4월에는 전기요금도 kWh당 총 6.9원이 올랐다. 4인가족 기준 월평균 전기요금 부담은 2120원 오른 셈이다. 


지난해부터 대선이 지나면 전기·가스요금 모두 오를 것이라고 예고된 바 있다. 가스요금은 미수금이 늘어나자 지난해 말 2022년 민수용(주택용·일반용) 원료비 정산단가 조정안을 의결해 단계적으로 요금을 올리기로 했고, 전기요금 역시 올해 적용할 기준연료비를 총 9.8원을 인상하겠다고 밝혔다.


아직 다 오른게 아니다. 올해 공공요금 인상분도 남아있다. 가스요금은 오는 7월과 10월에도 인상이 예고되어 있고, 전기요금도 10월 추가로 오를 계획이다. 


외식 물가도 급등했다. 가정의 달 5월, 어린이날, 어버이날 등 가족 행사에 외식이 많아질 것으로 예상되는데, 외식물가가 6.6% 오르면서 지난 98년 이후 24년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지난 2020년 8월 외식 물가 상승률은 0.6% 수준이었는데 1년8개월 만에 무려 6%가 급등했다. 


지난해 파값이 크게 올라 '파테크'란 말까지 유행하고 파를 직접 키워 먹는 경우도 많았는데, 파 이외에도 농·축·수산물 같은 원재료 가격이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코로나19로 인한 중국 상하이 봉쇄 사태가 발생하면서 원자재 가격과 곡물가와 식용유, 유가까지 동반 상승 중이다. 여기에 인도네시아의 팜유 수출 제한까지 겹쳐 향후 외식물가는 더 오를 가능성이 높아졌다.


Screenshot 2022-05-06 at 11.38.35.jpg
자료=통계청/그래픽=연합뉴스

통계청에 따르면 외식물가 중 39개 품목 중 갈비탕이 가장 많이 올랐다. 무려 12% 넘게 가격이 상승했다. 이어 생선회, 김밥 순으로 가격이 크게 올랐으며 피자, 자장면, 치킨도 9% 이상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 뿐만 아니다. 고기류도 대부분 올랐는데, 소고기, 돼지갈비, 삼겹살 순으로 가격이 급등했다.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39개 품목 중 햄버거만 오르지 않았다. 햄버거 가격이 오르지 않은 이유는 할인행사로 인해 가격이 한시적으로 조정됐기 때문이다. 

 

밖에서 먹는 외식물가 뿐만 아니라, 집에서 시켜 먹는 음식값도 크게 올랐다. 원재료 상승도 있지만, 배달료 상승이 한 몫하고 있다. 배달음식을 시키기 위해선 최소 주문금액 이상을 결제해야 한다. 그러다 보니 필요 이상으로 주문을 더 할 수 밖에 없어 음식값이 오른 측면도 있다.  


냉면 한그릇을 배달앱을 통해 주문하는 경우 평균 1만원 이상을 결제해야한다. 하지만, 최소 주문이 1만8천원으로 설정돼 있으면 메뉴를 추가로 시켜야 한다. 거기에 배달료까지 합치면 2만원이 훌쩍 넘는다. 혼자서 냉면 한 그릇을 배달시켜 먹는데 2만원이 넘게 드는 셈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배달 수요가 폭증했고 그만큼 소비자가 부담해야 하는 배달료는 동반 상승했다. 편리해진 배달앱 덕분에 외식물가는 급등했다. 배달음식 가격이 오른 것 만큼 소비자 부담은 늘었고 배달료 불만도 쌓여갔다. 배달비가 1만원까지 오르자 배달앱 불매운동까지 일어났던 적도 있다.   


하지만, 최근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 따라 배달 수요가 줄어들면서 지난달 대비 10~20% 감소했다. 벌써부터 배달앱이 쇠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전체댓글 0

  • 8792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전기·가스요금 줄인상에 '외식물가' 급등...허리 휘는 서민경제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