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속초7.8℃
    구름많음4.3℃
    구름많음철원4.5℃
    구름많음동두천6.5℃
    구름많음파주4.0℃
    구름많음대관령-0.9℃
    구름많음춘천5.4℃
    구름많음백령도8.4℃
    구름많음북강릉7.5℃
    구름많음강릉8.1℃
    구름많음동해7.1℃
    구름많음서울8.9℃
    구름많음인천7.6℃
    구름많음원주5.8℃
    맑음울릉도8.1℃
    구름많음수원5.9℃
    구름많음영월2.8℃
    구름많음충주4.5℃
    구름많음서산2.9℃
    구름조금울진5.3℃
    구름많음청주8.5℃
    구름많음대전6.4℃
    구름많음추풍령3.2℃
    구름많음안동6.0℃
    구름많음상주4.0℃
    구름조금포항8.3℃
    맑음군산4.1℃
    맑음대구7.0℃
    맑음전주6.5℃
    박무울산6.9℃
    맑음창원8.6℃
    맑음광주7.6℃
    맑음부산10.3℃
    맑음통영9.4℃
    맑음목포6.9℃
    맑음여수9.8℃
    맑음흑산도9.0℃
    구름조금완도6.4℃
    맑음고창1.7℃
    맑음순천0.7℃
    구름많음홍성(예)3.7℃
    구름많음4.0℃
    구름조금제주10.7℃
    맑음고산10.8℃
    구름조금성산8.9℃
    박무서귀포12.8℃
    맑음진주4.5℃
    구름많음강화6.3℃
    구름많음양평6.0℃
    구름많음이천5.1℃
    구름많음인제3.6℃
    구름많음홍천4.7℃
    구름많음태백-0.3℃
    구름많음정선군1.2℃
    구름많음제천2.8℃
    구름많음보은2.5℃
    구름많음천안2.8℃
    구름많음보령4.0℃
    구름조금부여2.6℃
    구름조금금산2.4℃
    구름많음5.6℃
    맑음부안4.3℃
    맑음임실1.3℃
    맑음정읍3.3℃
    맑음남원2.9℃
    맑음장수0.0℃
    맑음고창군4.3℃
    맑음영광군2.6℃
    맑음김해시9.7℃
    맑음순창군2.3℃
    구름조금북창원10.2℃
    맑음양산시8.9℃
    구름조금보성군4.1℃
    구름조금강진군3.8℃
    구름조금장흥1.9℃
    맑음해남1.4℃
    구름조금고흥3.0℃
    구름조금의령군4.8℃
    구름조금함양군1.7℃
    맑음광양시8.6℃
    맑음진도군2.7℃
    구름조금봉화0.4℃
    구름많음영주3.8℃
    구름많음문경4.1℃
    구름많음청송군1.7℃
    구름조금영덕4.7℃
    구름많음의성3.1℃
    구름많음구미5.0℃
    구름많음영천3.5℃
    구름많음경주시4.1℃
    맑음거창
    맑음합천5.1℃
    맑음밀양7.5℃
    구름많음산청3.3℃
    맑음거제7.6℃
    맑음남해7.9℃
    맑음7.3℃
  • 최종편집 2025-04-09(수)
 

유독 스포츠 경기에서 욱일기가 눈에 띄는 건 우연일까. 욱일기는 일본이 제2차 세계대전 기간 중 사용했던 군기로 일본 군국주의를 상징한다. 아직도 일본 육상자위대와 해상자위대의 군기로 사용되고 있다. 전 세계인들이 독일 나치문양으로 알려진 스바스티카(불교만자 모양을 뒤집은 문양)는 익히 알고 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욱일기가 전범의 상징이라는 사실은 대부분 잘 모르고 있다.  

 

욱일기는 전세계 지구촌 생활 구석구석에서 일종의 디자인으로 그 의미를 모른 채 활용되곤 하는데 유독 스포츠 경기장에는 욱일기 모양이 자주 등장하곤 한다. 지난 8월에 열린 도쿄올림픽에서도 어김없이 욱일기 모양이 곳곳에 나타났다 

 

사이클-욱일기-2.jpg
도쿄올림픽 사이클 남자 도로 경기 중에 욱일기 응원이 등장했다고 누리꾼이 제보해왔다. 사진=서경덕 교수 제보

 

2020 도쿄올림픽에서 가장 큰 논란이 됐던 건 스포츠클라이밍 남자 콤바인 결선의 볼더링 3번 과제 암벽이 욱일기로 형상화됐다는 논란이 일었다. 일부에서는 지나친 해석이라는 의견도 있었지만 논란을 일으키기에는 충분했다.

 

클라이밍욱일기-1.jpg
도쿄올림픽 스포츠클라이밍 남자 콤바인 결선의 볼더링 3번 과제 암벽이 욱일기로 형상화됐다 (TV화면 캡처 : 누리꾼 제공)

'전 세계 욱일기 퇴치 캠페인'을 꾸준히 펼쳐온 서경덕 교수는 "2020 도쿄올림픽 뿐만 아니라 세계인들이 주목하는 스포츠 리그에서의 욱일기 문양 노출뿐만이 아니라, 모터 스포츠의 헬멧 및 유니폼 디자인에서도 사용된 사례들이 많았다"고 설명했다.  


스포츠_욱일기-1.jpg
지금까지 세계적인 스포츠 브랜드들이 사용했던 욱일기 디자인 모습들

서교수와 누리꾼들이 찾아낸 자료를 보면 유독 스포츠 브랜드들의 인스타그램 등 SNS 상에서의 욱일기 디자인 사용이 많았는데, 많은 팔로워를 보유한 계정들이라 시급한 조치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아울러 세계적인 스포츠 브랜드의 온라인몰, 해양 스포츠, 스포츠 센터(체육관) 등에서도 욱일기 문양이 다수 발견되는 등 전 세계 스포츠 분야 곳곳에서 욱일기 디자인은 은근히 사용되고 있었다.


스포츠욱일기-1.jpg
2019년 US오픈 테니스 대회때 욱일기 응원을 펼치는 관중(좌), 2019년 럭비 월드컵때 욱일기 머리띠를 하고 있는 관중(우)

 

서 교수는 "이런 전범기를 홈페이지 및 티셔츠 디자인으로 사용한다면 많은 아시아 팬들에게는 또 다시 큰 상처를 주는 행위"라고 강조했다.


스포츠욱일기-2.jpg
2018년 러시아 월드컵 당시 욱일기 응원을 펼치는 관중(좌), 2019년 프리미어12 당시 욱일기 응원을 하고 있는 관중(우)

 

서 교수는 "외국인들은 욱일기의 정확한 역사적 의미을 몰라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욱일기 문양을 활용한다고 비난만 할 것이 아니라 제대로 알려줘서 다시는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전했다.

 

이어 서 교수는 "전세계 누리꾼과 공조해 지구촌 곳곳에 숨어 있는 욱일기 디자인을 찾아내 꾸준히 없애 나갈 계획이다"고 설명했다.

전체댓글 0

  • 42125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욱일기는 전범기" 스포츠 속 욱일기를 막아라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
Home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1.10.15 21:08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