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속초13.7℃
    비20.2℃
    흐림철원15.8℃
    흐림동두천13.8℃
    흐림파주15.8℃
    흐림대관령18.1℃
    흐림춘천20.7℃
    비백령도4.9℃
    흐림북강릉17.0℃
    흐림강릉19.0℃
    흐림동해12.3℃
    비서울16.4℃
    비인천15.9℃
    흐림원주22.1℃
    흐림울릉도14.2℃
    비수원16.6℃
    흐림영월22.4℃
    흐림충주21.2℃
    흐림서산18.3℃
    흐림울진13.0℃
    흐림청주22.2℃
    흐림대전20.7℃
    흐림추풍령18.7℃
    흐림안동22.1℃
    흐림상주20.4℃
    흐림포항16.7℃
    흐림군산19.7℃
    흐림대구21.3℃
    비전주17.4℃
    흐림울산15.6℃
    비창원15.1℃
    비광주17.2℃
    흐림부산14.8℃
    흐림통영15.7℃
    흐림목포16.1℃
    흐림여수14.2℃
    비흑산도11.6℃
    흐림완도14.9℃
    흐림고창16.2℃
    흐림순천14.8℃
    비홍성(예)21.8℃
    흐림19.6℃
    비제주17.5℃
    흐림고산14.6℃
    흐림성산16.2℃
    비서귀포15.9℃
    흐림진주15.2℃
    흐림강화13.6℃
    흐림양평21.7℃
    흐림이천21.6℃
    흐림인제22.4℃
    흐림홍천21.5℃
    흐림태백17.2℃
    흐림정선군21.7℃
    흐림제천21.1℃
    흐림보은20.0℃
    흐림천안16.8℃
    흐림보령20.4℃
    흐림부여20.5℃
    흐림금산21.0℃
    흐림17.9℃
    흐림부안16.2℃
    흐림임실15.3℃
    흐림정읍17.4℃
    흐림남원17.7℃
    흐림장수15.0℃
    흐림고창군17.0℃
    흐림영광군16.1℃
    흐림김해시16.7℃
    흐림순창군16.9℃
    흐림북창원17.0℃
    흐림양산시18.3℃
    흐림보성군14.6℃
    흐림강진군15.4℃
    흐림장흥15.4℃
    흐림해남15.6℃
    흐림고흥14.6℃
    흐림의령군17.5℃
    흐림함양군16.8℃
    흐림광양시15.5℃
    흐림진도군14.9℃
    흐림봉화19.5℃
    흐림영주21.1℃
    흐림문경17.1℃
    흐림청송군20.2℃
    흐림영덕14.1℃
    흐림의성21.7℃
    흐림구미20.5℃
    흐림영천19.8℃
    흐림경주시18.9℃
    흐림거창16.9℃
    흐림합천19.0℃
    흐림밀양18.8℃
    흐림산청15.8℃
    흐림거제14.6℃
    흐림남해16.2℃
    흐림17.4℃
  • 최종편집 2025-04-12(토)
 

성수기 여행 수요 분산, 계절별 여행 수요 다양화

2023년 숙박업 동향 점수는 전년보다 소폭 개선


37253_1706448463.jpg
ONDA 최근 3개년 온라인 숙박 판매 동향

 

2023년에도 국내 온라인 숙박 시장은 성장세를 이어갔다. 해외 여행 수요 증가나 제주도 소폭 역성장 등 악재도 있었지만 여행·숙박 산업의 전망은 여전히 밝고, 방한 관광객 증가에 대한 기대도 크다.


29일 호스피탈리티 테크 기업 온다(ONDA)가 발표한 ‘2023~24 호스피탈리티 데이터 & 트렌드 리포트’에 따르면 지난해 ONDA를 통한 온라인 숙박 판매액은 전년 대비 24.9%, 2021년 대비 두배 이상(118.5%) 증가했다.


37253_1706448472.jpg
온라인 플랫폼별 최근 3개년 매출액 동향

 

2023년 숙박 트렌드는 ‘다양화’라고 정의할 수 있다. 성수기에 집중됐던 여행 수요가 분산되며 계절별로 여행을 즐기는 수요가 증가했다. 2022년 가장 예약이 많았던 달은 7월이었지만, 지난 2023년에는 6월이었다. 전통적인 성수기인 7, 8월은 2, 3위, 10월과 11월이 각각 4, 5위를 차지했지만 2·3위 권과 4·5위의 격차는 지난해보다 크게 줄었다.


또 여전히 강원·제주·수도권에 가장 많은 여행객이 몰리고 있으나 전남·충남·부산의 숙박업 매출액이 전년 대비 각각 48%, 30%, 29% 증가하며 크게 성장했다.


37253_1706448484.jpg
숙박 유형별 최근 3개년 객단가 동향

 

숙박 형태별로도 코로나 시기 집중됐던 독립형 숙소들의 인기는 주춤한 반면 호텔·리조트 등 다수가 묵는 숙박 시설의 인기가 높아졌다. 가장 대표적으로 호텔의 객단가는 지난해보다 16% 증가한 15만8000원을 기록했지만, 풀빌라는 2023년 31만4000원에서 12.5% 떨어진 27만4000원으로 집계됐다.


풀빌라의 객단가는 다소 하락했지만 ONDA 내부 거래액은 지난해보다 62.7% 증가하면서 여전히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풀빌라 숙소의 공급과 수요 모두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경쟁 심화로 객단가는 다소 하락했다고 풀이할 수 있다.


37253_1706448490.jpg
숙박 유형별 2024년 업계 전망 설문 조사 결과

 

숙박업계 종사자 321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1월 실시한 ‘업계 설문조사’에서도 숙박업 전체 동향 점수는 6.9점을 기록, 2022년 6.1점보다 소폭 상승했다. 호텔 및 리조트, 숙박 관련업 종사자들은 7점이 넘는 점수를 준 반면, 펜션 등 중소 숙박업주들은 평균 6점을 줬다.


2024년 전망도 엇갈린다. 호텔 및 리조트 종사자의 51%가 2024년 전망을 긍정적으로 봤지만, 중소 숙박업주의 긍정적 전망은 22%에 불과했다. 긍정적인 이유로는 ▲중국 여행자 증가 ▲새로운 여행지 및 여행 형태로의 지속적인 관심을 꼽았다. 부정적 이유로는 ‘경기 침체 장기화’에 따른 걱정이 가장 많았다.


또 ONDA는 해외 유명 리서치 기업, 글로벌 OTA의 시장 트렌드 전망을 이 리포트에 함께 실었다. 이 리포트는 온다 기업블로그에서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다.


ONDA 최준호 대외홍보실장은 “2022년 대비 2023년 온다 트렌드 리포트 다운로드 수가 4배 이상 늘어나며 많은 관심을 보여주고 계신다”며 “앞으로 더 세분화되고 전문적인 보고서를 발간해 숙박업계에 도움이 되겠다”고 말했다.


한편, ONDA는 호텔 및 숙박업 관계자들을 위해 반기마다 숙박산업의 동향을 담은 ‘호스피탈리티 데이터 & 트렌드 리포트’를 발표하고 있다. 리포트에 포함된 데이터는 국내 최대 규모의 통합 판매 시스템(ONDA HUB)에서 지난 3년간 거래된 263만 건의 실제 판매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다. 전체 리포트는 ONDA 기업 블로그 내 리포트 & 콘텐츠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다.

태그

전체댓글 0

  • 35695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국내 숙박 트렌드…여행 다양성 증가 중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
Home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4.01.29 10:32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