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5-30(목)

전체기사보기

  • 삼성 TV 게임 기능 강화 이유는 'TV 콘솔 게임 급증'
    삼성전자가 2021년 QLED TV 신제품 전 라인업에 걸쳐 게임 관련 기능을 대폭 강화한다. 삼성전자는 AMD와의 협업을 통해 50형부터 85형에 이르는 Neo QLED TV 전 라인업에 업계 최초로 AMD의 ‘프리싱크 프리미엄 프로(FreeSync Premium Pro)’ 기능을 도입한다고 14일 밝혔다. Neo QLED 프리싱크 프리미엄 프로 사진=삼성전자 제공   AMD의 ‘프리싱크’ 기술은 게임 콘솔이나 PC 등 다양한 게임 콘텐츠가 TV 등의 디스플레이로 전달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입력 지연이나 화면 끊김 현상, 화면 왜곡 등을 감소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이다. 삼성전자가 이번에 도입한 AMD ‘프리싱크 프리미엄 프로’는 기존 프리싱크 기능에 명암비 최적화 기술인 HDR(High Dynamic Range) 기능을 추가해 화면 끊김 없는 부드러운 게임 영상을 HDR 화질로 더욱 더 선명하게 플레이 할 수 있게 만든 기능이다. 삼성전자는 TV를 이용해 게임을 하는 사용자들의 80% 이상이 마이크로소프트의 엑스박스(XBOX)나 소니의 플레이스테이션(PS) 같은 게임 콘솔을 사용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AMD의 ‘프리싱크’ 기술은 게임 콘솔에도 적용돼 있기 때문에 TV로 게임을 즐기는 사용자들에게는 매우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최근 게임들이 진화를 거듭함에 따라 고화질 게이밍 경험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구도 많이 늘어났으며, 이런 추세에 맞춰 HDR을 적용한 다양한 게임들도 시장에 속속 출시되고 있다. 국내 출시를 앞두고 있는 삼성전자의 Neo QLED에는 앞서 설명한 AMD ‘프리싱크 프리미엄 프로’ 기술은 물론 다양한 게이밍 관련 기능들도 탑재됐다. 삼성 Neo QLED TV는 △컬러 볼륨 100%와 12비트 백라이트 컨트롤로 어두운 영상 디테일과 정확한 색상 표현이 가능하며 △영상 신호를 처리해 화면에 내보내는 속도인 인풋 랙 최단 시간 적용(5.8ms) △업계 최초 와이드 게임 뷰 (Wide Game View)를 통해 21:9, 32:9 등으로 화면 조절 △업계 최초 게임바(Game Bar) 기능을 통해 다양한 게임 관련 정보를 쉽게 표시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모션 엑셀러레이터 터보+(Motion Xcelerator Turbo+)로 120Hz의 빠른 게임 모션 구현 △고정된 게임 UI에도 안심하고 게임을 즐길 수 있는 번인 걱정 없는 ‘Burn-in Free’ △AI 기반 게임 서라운드 사운드와 무빙 사운드+(OTS+)를 통해 몰입감 있는 사운드 플레이가 가능하다. 삼성전자는 업계 최초로 2018년 오토 게임 모드를 TV에 도입한 뒤 게이밍 TV 개발에 박차를 가해왔으며 그 결과, 2018년부터 올해까지 4년 연속 게이밍 부문 CES 혁신상을 수상한 쾌거를 이룬 바 있다. 삼성전자는 TV 게이밍 기술 강화를 위해 수시로 사내 토론을 통해 게임 매니아들의 의견을 청취하며 상품기획에도 반영하고 있다. 이번 AMD ‘프리싱크 프리미엄 프로’ 기술 탑재도 향후 HDR 기술을 채용한 TV 콘솔 게임 콘텐츠들이 급증할 것이라는 사내 의견을 반영한 결과다. 회사는 개발, 상품기획, UX, 서비스 등 각 분야의 게임 매니아들을 대상으로 게임 관련 과제를 주고 초대형 화면으로 즐기는 게임의 미래에 대한 창의적인 아이디어들이 나올 경우 이를 적극 채용할 계획이다.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성일경 부사장은 “글로벌 TV 시장은 보는 TV에서 즐기는 TV의 시대로 빠르게 넘어가고 있다”며 “더 좋은 화질과 큰 화면으로 즐기는 게이밍 경험은 점점 더 중요해질 것이며, 삼성이 TV 중심의 게이밍 경험을 주도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 전체
    • IT/신기술
    • 컴퓨터/가전
    2021-02-14
  • 무인 모빌리티 ‘타이거 TIGER’ 공개… 트랜스포머 1단계?
    현대자동차그룹이 모빌리티와 로보틱스 기술의 융합을 통해 이동의 한계를 뛰어넘는 신개념 미래 모빌리티 개발에 나선다. 현대차그룹은 변신하는 지능형 지상 이동 로봇 ‘타이거(Transforming Intelligent Ground Excursion Robot, TIGER)’를 현대차그룹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처음 공개했다. 현대자동차그룹이 걸어 다니는 무인 모빌리티 타이거를 최초 공개했다. 사진=현대자동차그룹 제공   현대차그룹 산하의 미래 모빌리티 담당 조직 ‘뉴 호라이즌스 스튜디오(New Horizons Studio)’에서 개발한 타이거는 2019년 CES에서 처음 공개했던 걸어 다니는 모빌리티 ‘엘리베이트(Elevate)’와 유사한 모듈형 플랫폼 구조를 갖췄다. 이번에 공개된 타이거의 첫 번째 콘셉트 모델은 ‘X-1’으로 명명됐으며 여기서 ‘X’는 ‘실험용(Experimental)’을 의미한다. 타이거는 길이 약 80cm·폭 약 40cm·무게 약 12kg에 4개의 다리와 바퀴가 달린 소형 무인 모빌리티로 성능이 뛰어난 오프로드 차량도 갈 수 없는 험난한 지형까지 지능형 로봇 기술과 바퀴를 결합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타이거의 차체는 △다양한 센서를 활용한 과학 탐사 및 연구 △응급 구조 시 긴급 보급품 수송 △오지로의 상품 배송 등 일반 차량으로는 어려운 다목적 임무 수행에 적합하게 설계됐으며 전진과 후진뿐만 아니라 좌우로도 쉽게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대칭적인 디자인(Symmetric Design)’ 구조를 갖췄다. 장애물이 있거나 바퀴를 이용해 지나기 힘든 지형을 통과해야 할 때는 로봇 다리의 보행 능력을 이용하고 평탄한 지형에서는 4륜구동 차량으로 변신해 속도를 내서 주행할 수 있다. 또한 차체 내부에는 별도의 화물 적재실을 갖춰 물품 보호 기능을 강화했으며 로봇 다리로 상시 수평을 유지할 수 있어 험로와 극지 등 노면의 상태가 불규칙한 공간에서도 물품을 안전하게 운송할 수 있다. 뉴 호라이즌스 스튜디오는 타이거를 오픈 이노베이션 방식으로 개발하기 위해 인공지능(AI) 기반의 엔지니어링 설계 분야의 선두 기업 ‘오토데스크(Autodesk)’, 콘셉트 디자인 전문 기업 ‘선드버그-페라(Sundberg-Ferar)’와도 긴밀히 협업했다. 오토데스크와는 AI 기반의 ‘제너레이티브 디자인(Generative Design)’ 기술로 타이거의 다리·휠·섀시·타이어까지 가볍고 견고한 3D 프린팅 제조가 가능하도록 설계 부문에서 협업했으며 선드버그-페라는 외부 스타일링·차체·섀시·다리 부품 설계 및 소프트웨어 개발 부문에 참여했다. 제너레이티브 디자인(Generative Design)은 설계자가 설정한 조건과 정의에 따라 수백·수천 개의 최적화된 디자인을 신속하게 제시하는 방법이다. 현대차그룹은 향후에도 뉴 호라이즌스 스튜디오를 중심으로 중심으로 전 세계의 혁신적 기업과 협력을 통해 미래 모빌리티의 새로운 가능성을 다각도로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현대차그룹 뉴 호라이즌스 스튜디오의 존 서(John Suh) 상무는 “타이거와 같은 미래 모빌리티와 그 토대가 되는 신기술은 우리의 상상력이 새로운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한다”며 “뉴 호라이즌스 스튜디오에서는 차량의 설계와 제조 방식 그리고 미래 모빌리티의 개념을 재정립할 방안을 끊임없이 찾아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 전체
    • IT/신기술
    • 4차산업/ AI
    2021-02-14
  • LG전자, 디지털 전환 위해 'LG 데이터 포털' 오픈
    LG전자는 쉽고 빠른 데이터 분석을 통해 새로운 고객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최근 ‘LG 데이터 포털’을 오픈한다고 14일 밝혔다. LG전자가 쉽고 빠른 데이터 분석을 통해 새로운 고객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최근 LG 데이터 포털을 오픈했다. 직원들이 LG 데이터 포털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사진제공=LG전자)   데이터 분석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임직원 누구나 포털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활용해 대량의 데이터를 몇 번의 클릭만으로 분석할 수 있다. LG전자는 데이터 분석의 중요성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그 동안 축적한 데이터를 활용해 새로운 고객가치를 만들어내기 위해 사내에 시스템을 구축하게 됐다. 시스템 구축을 위해 CFO부문 업무혁신담당, CSO부문 DX전략담당, CTO부문 서비스플랫폼담당 등 3개 조직이 힘을 모았다. LG 데이터 포털에서 제공하는 셀프서비스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기능은 대량의 데이터를 분석해 의미 있고 효율적인 정보를 도출한다. 임직원은 포털 사이트에 업로드된 누적 데이터를 활용해 차트나 그래프 등 시각화된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임직원은 데이터 분석 결과를 유관부서에 공유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서로 다른 직원이 동일한 분석 작업을 각각 하지 않아도 된다. 하나의 분석 결과를 여러 사람이 다양한 각도에서 해석하면 혼자서는 쉽게 발견할 수 없었던 숨은 가치를 찾아낼 수 있다. 포털 내 데이터 분석 결과를 공유하는 대시보드(게시판)에서는 댓글을 달아 피드백을 남길 수 있다. 임직원은 포털을 활용해 개인적으로 관리하는 데이터도 편리하게 분석할 수 있다. 데이터의 유형(제품 데이터, 시스템 데이터 등), 형태(정형, 비정형 등), 활용영역(연구, 기획, 품질, 서비스 등) 등 여러 속성을 입력한 뒤 실제 데이터를 업로드하면 언제든지 셀프서비스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기능을 활용해 해당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회사는 데이터 포털을 운영해 여러 곳에 산재돼 있는 데이터를 한 곳에 모을 수 있다. LG전자는 새로운 협력사가 제안한 단가의 적정성을 파악하기 위해 축적해온 품목별 견적 데이터를 분석해 활용하고 있다. 실무자는 시각화된 품목별 견적 데이터를 활용함으로써 쉽고 빠르게 가격이 적정한지 비교하고 분석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 결과는 거래처별 구매 전략을 수립해 구매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직원들은 데이터를 활용해 새로운 제품을 기획하는 데 인사이트를 얻거나 기존 제품의 기능을 개선할 수 있다. LG전자가 지난해 출시한 일체형 디자인의 원바디 세탁건조기 ‘트롬 워시타워’는 세탁과 건조를 하나의 제품에서 끝낼 수 있다. 이 제품의 ‘건조준비’ 기능은 세탁이 끝나면 바로 건조를 시작할 수 있도록 세탁이 종료되는 시간을 감안해 자동차가 엔진을 예열하는 것처럼 건조기의 컴프레서를 미리 가동한다. 연구원들은 건조준비 기능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테스트 결과를 분석했다. 이를 통해 건조준비 기능을 갖춘 워시타워가 일반 건조기를 사용할 때보다 건조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또 데이터 분석을 통해 워시타워가 세탁이 끝난 후부터 건조를 시작할 때까지 건조기에 세탁물을 넣는 시간 등을 단축해 고객이 이전과 같이 세탁기와 건조기를 각각 사용할 때에 비해 세탁과 관련된 시간을 최대 60분 가량 줄일 수 있음을 확인했다. 데이터 분석 결과는 개발한 제품의 효용성을 활용하는 데 사용되고 마케팅을 위한 좋은 도구가 되기도 한다. LG전자는 개인정보가 없는 비식별 데이터를 제품에서 수집해 고객의 더 나은 삶을 위해 유용하게 활용하고 있다. 스마트 가전에서 발생하는 정보는 제품의 기존 기능과 신규 기능에 대한 고객들의 사용 패턴 외에도 지역별, 시간대별 사용성 차이 등을 분석하는 데 사용한다. 회사는 제품을 개선하거나 신제품을 기획할 때 제품 데이터 분석 결과를 적극 반영하고 있다. 또 제품 데이터는 가전제품을 최적의 상태로 관리해주는 프로액티브 서비스(Proactive Customer Care)를 위해서도 필요하다. 프로액티브 서비스는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제품 데이터를 활용해 작동상태를 분석하고 예상되는 고장을 사전에 감지해 고객에게 알려준다. LG전자는 고객이 LG 씽큐(LG ThinQ) 앱에 연결한 제품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분석해 고객에게 필요하거나 유용한 기능을 제안하기도 한다. 제품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는 회사의 보안 관련 정책에 따라 철저하게 보호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LG전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 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 관련 법령을 준수하며 고객이 LG 씽큐 앱에 가입할 때 정보 수집 및 이용에 동의한 경우에 한해 데이터를 수집해 활용한다. LG전자는 데이터 포털이 임직원이 데이터 분석에 할애하는 시간을 대폭 줄여 업무 효율을 높일 뿐 아니라 기존에 발견하지 못했던 고객의 니즈까지 찾아내 새로운 고객가치를 창출하며 디지털 전환을 앞당길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LG전자 CSO(최고전략책임자) 조주완 부사장은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함으로써 고객가치를 혁신하고 일하는 방식을 개선해 미래사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전체
    • 경제
    • 기업
    2021-02-14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