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26(금)
 

프랑스의 마르세유 사람들은 전염병을 막기 위해 1580년에 이미 적극적인 매뉴얼을 만들어 놓았다.


모든 선박은 선원들의 ‘건강확인서’를 제출해야만 항에 들어올 수 있었다. 또한 모든화물, 승무원과 승객을 검사하여 질병의 징후가 있는지 확인했으며, 질병의 징후를 보일 경우, 선박은 마르세유 부두에 입항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검역을 마치고 난 후에라도 선박은 최소 18일간의 검역기간을 대기해야 했고, 무증상자라도 검역관이 전염병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한 사람은 마르세유 해안의 섬에 격리하여 최소 50일에서 60일간 관찰을 거쳐야만 했다. 


시 의회는 ‘보건위원회’를 설립했으며, 이 위원회는 도시 보건을 위해서 권고안을 작성해 놓았다. 마르세유에는 최초의 공립병원이 지어졌으며 의사와 간호사들을 채용했다. 또한, 보건위원회는 많은 양의 정보를 축적해 놓았고 시민들과 공유도 했었다.


이러한 꼼꼼한 방역 대책도 인간의 이기심에 의해 한순간에 무너지는 처참한 결과가 있었다. 1720년 중동의 레바논지역에서 출발한 상선 속에서 흑사병이 시작됐다. 


그리스의 서머나, 리비아의 트리폴리, 키프로스를 거치는 동안 승객과 승무원들이 전염되고 사망자가 속출했다. 


이탈리아 토스카나 지역의 리보르노 항에서는 이 배의 하역을 거부해서 참화를 면했다. 이어서 배가 향한 곳은 프랑스의 마르세유.


선박이 마르세유에 도착하자마자 항구 당국에 의해 라자렛의 검역소에 즉시 배치되었고 일정 기간 사람이나 물건은 배에서 내릴 수 없도록 매뉴얼대로 시행되고 있었다.


문제는 이 배에 실려있던 면화, 실크 및 화물들이었다. 마르세유에는 중동지역의 특산물과 독점권을 가지고 있던 상인들의 대형 창고가 있었고, 당시 중세 박람회가 열리기로 돼 있었기 때문에 그 물건들을 기다렸던 상인들은 마르세유 시에 검역 완화를 요청했다.


여러모로 조여오는 상인들의 압박에 마르세유시는 굴복하고 말았는데 그 대가는 처참했다. 흑사병이 발병한 후 2년 동안 마르세유의 총인구 9만 명 중 5만 명이 사망했다.


7.jpg
시체가 쌓인 마르세유거리. 사진출처=위키완드

 

그 인근 엑상프로방스 지역으로 확대된 결과 5만 명이 감염되어 사망했다고 한다. 이때의 재앙으로 경제와 인구가 회복하는 데는 45년이라는 긴 시간이 걸렸다.


인간은 스스로 지키기 위해서 큰 노력과 방비를 하지만 그 많은 노력이 무너지는 것은 그 시스템을 만들어 놓은 인간에 의해서다.


아무리 좋은 장비와 검역시스템을 갖추어도 숙주가 되어버린 인간의 이기심을 억제하지 못하거나 방심하는 순간 전염병은 소리 없이 빠르게 퍼진다.


전염되는 사람들은 내 지인, 내 가족부터이다. 지난봄 내내 집안에 갇혀 있었고 젊은 혈기에 갑갑증이 생기는 것  마저 다 이해하지만, 나 하나로 인해서 내 가족의 연장자가 사망한다면 그 후회를 어찌 감당할지 한 번쯤 생각해 봐야 하지 않겠나.


이태원클럽 확진자 발생을 기점으로 우리나라의 코로나바이러스 방제가 무너지고 다시 2차 확산 조짐을 보인다고 걱정이 크다. 상인들의 압박에 굴복하고 처참한 댓가를 치러야 했던 프랑스 마르세유시를 상기할 필요가 있다. 

 

글=이호준 칼럼리스트

20200419150932_egvruceb.jpg

태그

전체댓글 0

  • 04879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이호준의 문화ZIP] 마르세유 흑사병을 기억하라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