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26(금)
 

우리가 온라인에서 기사를 보고, 미디어를 읽고 보는 행위들 모두가 알고 보면 디지털 숫자를 인식하는 것이다.

 

66.jpg

 

데이터 공급자의 거대한 메모리장치에서 텍스트나 영상을 선택하면, 그것은 디지털 신호인 0과 1로 변환이 되어야 한다.

 

그다음 우리가 디지털 신호를 받아들인 후 아날로그 신호로 바뀌어 스마트폰이나 모니터, 스피커나 이어폰으로 보고 들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 정보들에 대한 공감(좋아요)을 하고 반응하는 모든 것들 또한 숫자 놀음이다. 그 숫자들로 인해 수익도 결정된다. 


그뿐 아니라 주민번호, 학번, 반번호, 키, 점수, 석차, 아파트 동, 호수, 자녀의 반 등등, 우리는 태어나서부터 모든 것이 숫자로 매겨진다. 

 

뼈빠지게 돈을 벌어서 아이들의 숫자(등수,성적)를 올리는데에 올인한다. 그리고 통장의 숫자가 늘어나고 줄어드는 것에 우리는 기쁨과 좌절을 느낄수 밖에 없다. 


국가도 숫자의 통제이고 관리이다. 18세기 독일에서 사용하기 시작한 ‘통계(statistics·statistik)’라는 단어의 어원이 ‘국가에 대한 과학(지식)’이다. 

 

정부는 수출실적, 재정, 실업률, 취업률, 금리, 이 모든 통계 숫자로 노심초사할 수밖에 없다. 민주주의의 사회는 계산 가능한 사회를 추구해야만 한다.

 

그 계산이 불가능해진다면 모라토리엄, 국가 부도가 되는 것이며 국가 간의 신뢰를 잃게 되는 것이다. 권위주의 사회에서는 이 숫자로 사람들을 통제하며 인위적으로 조작을 하여 사람들을 기만한다. 


최근 우리 모두에게 가장 중요한 숫자는 바로 코로나바이러스에 관련한 숫자다. 00번 확진자등, 치료자, 사망자 통계가 우리들 사회, 경제, 개인들에게 너무도 큰 영향을 주는 숫자들이다. 마스크를 구입하려 해도 주민번호 뒷자리 숫자를 확인해야 한다.

 

전 세계가 그 숫자에 일희일비하며 결과를 앞다투어 보도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방역시스템을 두고 많은 국가들이 모범사례로 손꼽는 이유는 바로 숫자에 대한 투명성과 신뢰이다. 

 

666.jpg

국제기구들도 소수점 하나에까지 민감하게 계산을 하는, 팬데믹이 가져다준 숫자의 세상이다.

 

그 디지털 숫자가 전자 신호에 불과 하지만 사람들은 숫자가 보여주는 결과에 민감하고 가슴 졸이고, 그것이 지배하는 세상에서 살고 있다.  


누군가는 영화 매트릭스의 모피어스가 한말을 떠올릴지 모르겠다.


“너가 생각하는 진짜가 뭔데?

그건 두뇌가 해석하는 전자 신호에 불과할지도 몰라.“


설혹 모피어스의 말처럼 숫자로 결정되는 이 세상이 허구라 할지라도 당장에 우리들은 숫자를 통제 해야만 한다.

 

정부의 통계는 백신이나 치료약 개발로, 경제는 예전의 수치로, 환자의 숫자는 제로를 향하여.

 

그 디지털 신호가 아나로그화 되어 사람들의 귀와 눈으로 들어와 많은 감동과 위안을 주게 될 날을 간절히 기다린다.

 

이호준 문화칼럼리스트

20200402233346_pmqlvqwe.jpg

태그

전체댓글 0

  • 50014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이호준의 문화ZIP] 우리는 숫자로 표시되며 숫자로 교감한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