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01(토)
 

제주에서 볼일을 마치고 저녁 비행기 시간에 맞추다 보면 렌터카를 반납하기 수월한 애월읍 일대를 마지막으로 돌아보곤 한다.


'효리네 민박'으로 땅값도 뛰어올랐고 유명세를 치른바 애월은 이곳저곳 둘러볼만한 볼거리가 가득하다.


KakaoTalk_20201226_155615668.jpg
jtbc가 인수한 애월읍 효리네 민박집 대문은 굳게 닫혀 있다. 사진=류근석 기자

 

제주 동북쪽 해안가 애월을 벗어나 제주공항 쪽으로 달리다 보면 하귀 2리 바닷가 마을이 눈에 들어온다.


KakaoTalk_20201226_150228270.jpg
하귀 2리 바닷가 마을은 한창 재개발로 몸살을 앓고 있다. 사진=류근석 기자

 

소박하고 작은 바닷가의 이 동네는 개발과 전통의 갈림길에서 크고 작은 부침이 있었던 듯 깊은 생채기를 입은 채 수년이 흐른 듯 스산함이 느껴진다.


하귀 2리라는 명칭에서 '귀'자가 귀신을 연상케 하는지 아니면 의도적 연출인지 벽에 핏물로 쓴 것 같은 '관계자외 출입금지'라는 문구가 눈에 들어온다.


KakaoTalk_20201226_150228265.jpg
건물벽에 붉은색으로 쓰인 출입 금지 글씨가 괴기스러울 만큼 스산하다. 사진=류근석 기자

 

자동차 한 대가 겨우 다닐만한 시멘트 길을 따라 바닷가 쪽으로 조심스레 전진하다 보면 제법 주차할만한 공간이 나타나고 이곳에는 뜻밖에 뒛개물이라는 생소한 볼거리가 나타난다.


KakaoTalk_20201226_150228523.jpg
뒛개물 내부 사진=류근석 기자

 

 

6년 전 애월읍에서 돈을 지원해 복원했다는 뒛개물은 제주 해녀들이 사용했던 물로 알려져 있다. 뒛개물은 일종의 용천수나 솟아나는 샘이라고 할 수 있다.


뒛개물을 설명해 주는 안내판을 그래로 옮겨보면 '하귀 2리 뒷개안 서쪽 바닷가에서 솟아나는 물이며 원래 '개물'인데 두께물로 잘못 기록하는 경우도 있다. '뒷개물'은 두 곳인데 동쪽의 것을 뒷개물 서쪽의 것는 '터진물'로 구분해서 부르기도 했다. 예로부터 가뭄이 와도 마르지 않아 해녀와 어부들의 식수와 빨래 목욕을 했으며 용천수 보전사업으로 애월읍에서 지원을 받아 2014년 10월 28일 자로 복원되었다'라고 적혀 있다.


KakaoTalk_20201226_150228682.jpg
뒛개물 안래 표지판 사진=류근석 기자

 

좀 더 자세한 설명을 찾아보기 위에 검색을 해봤지만 그 이전에 뒛개물은 포구에서 쓰던 식수로 방치되어 오다가 2014년에 복원되었다는 정도가 '제주의 소리'에 기록되어 있을 뿐이다.


하지만 뒛개물은 복원 이후 마땅한 관리 주체를 찾지 못했는지 지금은 오염된 채로 버려져 있다.


KakaoTalk_20201226_150228592.jpg
뒛개물 주변 폐업한 건물 사진=류근석 기자

 

맑고 투명해야할 샘물은 각종 쓰레기들이 둥둥 떠 있고 물은 오염되어 퍼런 이끼류들이 가득 자라 있다. 사진 속의 물은 깨끗해 보일 수도 있지만 사실은 구토가 나올 정도로 더러웠다. 근접해서 찍은 사진을 올리기가 민망해 적당한 거리의 사진만 올렸다. 사진 왼쪽에 있는 잡초 주위의 부유물들은 쓰레기다.


KakaoTalk_20201226_150228432.jpg
부유물이 많은 뒛개물에 자라난 이끼류 사진=류근석 기자

 

뒛개물 바로 옆 건물은 카페였지만 지금은 영업을 하지 않고 있다. 폐업한 채 방치된 건물과 바다 뷰를 가로막은 신축 공사장은 야속하기만 하다.


KakaoTalk_20201226_150228388.jpg
뒛개물 옆 폐허 사진=류근석 기자

 

뒛개물 바로 뒤의 건물은 화재가 났었는지 짓다가 말았는지 그대로 버려져 있어 전쟁터 같은 폐허를 방불케 했다. 본의 아니게 공포체험 명소로 조명 받을까 우려된다. 여기가 정말 제주인지 의심이 들 정도다.


제주에서 가장 핫하다는 애월. 제주도와 애월읍은 지역 개발에 여념이 없겠지만 기왕 복원했던 '뒛개물'을 조금만 더 신경써 관리한다면 제주를 찾는 방문객에게 볼거리를 하나 더 줄 수 있지 않을까? 제주의 용천수를 자랑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태그

전체댓글 0

  • 66058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방치된 '뒛개물'로 본 제주 애월의 민낯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